새정치연합 ‘조강특위’ 출발부터 '삐걱'

▲ photo@ilyoseoul.co.kr

안철수계 송호창 사퇴…중도·비노 소외론 확산
당내 일각, 분당 시나리오 여전히 살아있다

[일요서울 | 박형남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15일 조강특위원회(이하 조강특위)를 구성해 첫 회의를 갖고 지역위원장 선정 관련 논의를 시작했다. 특히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전국 246개 지역위원회를 대상으로 위원장 공모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안철수계 송호창 의원이 조강특위 위원으로 한때 임명됐다. 여기에다 ‘비대위의 꽃’인 조직사무부총장 자리를 공석으로 뒀다. 이는 새정치연합이 계파갈등에 무척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른바 ‘계파갈등’은 새정치연합의 궁극적 해결 과제이자,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각 계파의 대리인들로 구성되다보니, 다분히 계파갈등 성격의 의견 마찰도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많다. 당 재건과 조직정비에서 나선 조강특위가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 속사정을 들여다봤다.

“당초 박영선 원내대표의 최측근인 강래구씨가 조직사무부총장을 맡아 박 원내대표의 당 장악 의도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있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들어서면서 해촉된 상태다. 이후 인선을 안 할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조강특위에 소속된 한 의원실 관계자는 조직사무부총장 임명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인사는 조강특위가 돌아가는 상황을 지켜봤을 때, 기대감 속에서도 우려스러운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이 인사는 “걱정이 앞서면서도 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사무부총장에 임명할 만한 인물이 없다”며 “계파간 이해 충돌을 막을 만한 인물이 없다고 보면 된다”고 귀띔했다.

당초 당에서는 조직사무부총장 자리를 놓고 논란이 많았다. 공석으로 두느냐, 마느냐 여부가 핵심이었다. 실제 당에서는 조직부총장이 조강특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때문에 당내에서 문희상 비대위원장을 염두에 두고 아예 자리를 비워두는 방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당헌 당규에 있는 자리기 때문에 마냥 공석으로 둘 수 없다는 여론이 충돌했다. 그 결과 ‘공석’에 무게 추가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인물없다" 이면에는 계파 갈등 사전 차단

또 새정치연합에서는 “계파 안배 측면이 아주 없다고는 안 하겠다”는 조강특위 윤관석 간사의 말처럼 지역위원장 선출에 있어서 지역을 잘 알고 있는 시도당위원장 출신이 전면에 나섰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른바 ‘용광로 조강특위’라는 당의 설명에 부합한 측면도 있지만, 계파갈등에 대한 우려가 강하게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문재인, 박지원, 정세균 등 차기 당권주자들의 입지가 확대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조강특위 위원 구성을 살펴보면, 당연직으로 손학규계 조정직 사무총장, 비노·친박지원 성향의 강창일 윤리위원장, 간사는 범친노인 윤관석 의원이 맡고 있다.

특히 여성몫으로 비노인 이언주 의원, 김근태계인 유은혜 의원, 정세균계 김영주 의원, 친노·문재인계인 장하나 의원, 시민단체 출신으로 친박영선계인 남윤인순 등이 발탁됐다. 여기에 지역몫으로 서울 오영식(정세균계), 경기 김태년(친노, 문재인계), 충청 및 강원은 변재일(김한길계), 호남 및 제주는 이윤석(박지원계), 주승용(김한길계), 영남은 허성무(중립성향) 등이 차지했다. 반면, 안철수계 송호창 위원은 경기도 몫으로 발탁됐으나 사퇴했다.

당내에서는 각계파별 대리인들이 대거 참여한 조강특위 인선에 대해 “계파 갈등을 최대한 억제한 인선이 아니냐”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하지만 비노진영에서는 “지역별 할당책임제를 도입해 특정 계파에게 유리한 조강특위 운영이 되는 것 아니냐”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조경태 의원이 “조강특위에 대해 벌써부터 여러 가지 볼멘소리들이 많이 있다”며 “혹시나 특정 계파 패권 세력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조강특위 위원 선정을 통해 각 지역위원장 선정에 적극 참여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지역 위원장 선임 과정에서 당내에 상당한 반발도 예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실적으로 당의 혁신은 물 건너갔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며 “비대위 구성에서부터 비주류에 대한 배려가 거의 상실됐다. 계파의 나눠먹기가 시작됐다는 얘기가 많다”고 말한 것 역시 친노 인사가 지역위원장으로 임명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견제 발언으로 볼 수 있다.

실제 당에서는 지역별 책임제와 관련 서울은 정세균계인 오영식 의원, 경기는 문재인계인 김태년 의원, 호남과 제주는 박지원계인 이윤석 의원이 선정된 것에 의구심을 던지고 있다. 대의원과 당원이 가장 많은 수도권과 호남에 차기 당권주자 빅3로 불리는 문재인, 박지원, 정세균 비대위원에게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경기 몫으로 배정된 안철수계 송 의원과 호남 몫으로 알려진 김한길계 주 의원은 당의 발표에서 지역할당책임자가 아니라 별도의 위원으로 배정된 것으로 밝혀져 실권이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비노 진영은 서울, 경기, 호남, 충청·강원, 경남 등 5명이 지역위원장 심사와 추천의 실질적 권한을 갖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대의원의 경우 수도권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 다만 호남의 경우 손학규계 이춘석 의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얘기가 됐다가 막판에 빠지면서 이 의원이 호남에서 일정한 실권을 가질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기자와 만난 비노계 한 인사 역시 다음과 같은 상황을 우려, 당에 대한 걱정을 드러냈다. 한 당직자는 “친노 인사들이 대부분 장악해 비노의 입장을 전면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여러 차례 목소리를 냈지만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친노-비노 간의 마찰로 시작부터 뻐걱거리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차기 전당대회에 앞서 임명되는 지역위원장 분포도에 따라 대표 경선에서 계파별 판세 예측이 가능하다. 쉽게 말해 친노 인사들이 지역위원장 자리를 많이 차지할수록 대표 및 최고위원 경선에서 친노가 유리해진다”면서 “친노가 활개하는 것을 견제하려고 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이 때문에 비노 일부 진영에서는 ‘친노 너희 마음대로 해 봐라’라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당내 범친노인사가 과반 이상이란 것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현재 당내에서는 지역구 의원의 경우 100% 가까이 지역위원장에 임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럴 경우 현역 친노 인사들이 대부분 장악한다. 이 가운데 서울과 경기 지역의 현역 국회의원이 없는 지역위원회에서 비례대표와 기존 지역위원장간의 대결, 계파간의 대결이 불가피할 시 실권을 잡은 친노가 당을 장악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안철수계’ 위원인 송호창 의원의 사퇴가 가뜩이나 불안한 계파간 힘의 균형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송 의원은 “지난 주 목요일 밤 늦게 조강특위 참여 제안을 받고 고사하려 했으나 당을 위해 참여해달라는 권고에 제안을 받아들였다”면서 “그 후 며칠 동안 조강특위 참여가 책임 있는 모습일까 고민했고, 숙고 끝에 조강특위에 참여하지 않는 게 옳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송 의원의 사퇴로 범친노·구주류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지게 됐다는 시각이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비노, 중도 소외론’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안철수, 비노 탈당 명분쌓기 중?

이에 대해 비노 진영 한 인사는 “비노, 중도 소외론이 불면서 ‘분당’에 대한 우려는 당내에 전반적으로 퍼져 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정동영, 추미애 의원을 비대위에 참여시키지 않은 것은 ‘친노가 장악하겠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이런 배경 때문인지 분당에 무게 추가 실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새정치연합 비노 진영 일부에서는 친노가 장악한 당의 미래는 없다며 친노만 남겨두고, 3지대에서 신당을 창당하자는 극단적인 생각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안철수 전 대표도 "밖에서 미래세력을 준비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문을 준비했다가 취소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안 의원과 비노 진영에서 탈당을 위한 명분 쌓기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제 지난달 말 비노 성향의 전·현직 의원 20여 명이 결속해 ‘친노 패권주의 배격’을 기치로 내건 ‘구당구국모임’을 결성, ‘분당론’에 불을 지피고 있기 때문이다.
7122love@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