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9일 실시된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전멸했다. 서울 관악을, 인천 서·강화을, 광주 서을, 경기 성남·중원 4곳에서 전패했다. 선거가 끝나면 여야 정치권은 으레 하는 말이 있다. “국민이 무섭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민심이 천심이다” 등이다. 그러나 여야는 선거가 끝나면 무섭다던 국민을 얕잡아보고는 안하무인격으로 막간다. 민심을 천심으로 받아들인다면서도 민심 대신 당리당략에 따라 천심을 짓밟는다.

벌써부터 4·29 재·보선 승리와 패배 원인을 놓고 여야 정치권은 각기 계파별로 다른 말을 한다. 새정연에서는 4·29 재·보선을 지휘한 문재인 대표의 주류 측과 비주류 측(비노무현계)간의 견해가 다르다. 비노 측에서는 문 대표가 비노계인 김한길·박지원·박영선·안철수 등 에게 동반유세를 제안하지 않았던 게 잘못이라고 한다. 성완종 파문 호재에도 불구하고 성의 두 차례 특별사면과 관련한 새누리당의 공격에 새정연 지도부가 적극 대응하지 못한 게 실책이라고 한다. 문 대표가 “정권심판론”을 강조함으로써 유권자에게 피로감을 주었고 유능한 후보자를 공천하지 못한 것도 지적된다. 저와 같이 비노계는 선거 참패 책임을 문 대표 개인에게 꽂는다.

그에 반해 주류인 문 대표 측에서는 야권의 후보 분열을 패인으로 내세운다. 문 대표의 무능이 아니라 개개인 후보들의 난립에 책임을 돌린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실패, 인사실패, 부정부패에 대한 국민의 분노 등을 새정연이 유권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고 자성한다.

한편 새누리당 측에서는 승리 요인으로 김무성 대표의 지도력을 부각시킨다. 김대표의 “지역 일꾼론”과 “지역발전론”이 야당의 성완종 파문으로 폭발한 “부패정권 교체론”을 넘어섰다고 한다. 4800km를 누빈 김 대표의 부지런한 선거유세 효과도 부각시킨다.

물론 4·29 재·보선의 승리·패배와 관련해 여야가 각기 내놓은 주장들이 틀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4·29 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은 보다 근본적인 데 있다.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좌편향 통합진보당에 대한 국민적 거부를 꼽지 않을 수 없다. 4·29 재·보선 4곳 중 3개 선거구에는 헌법재판소의 통진당 해산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옛 통진당 의원들이 다시 출마했다. 그러나 그들은 모조리 유권자들에 의해 배척되었다. 두 후보는 선거 전에 자신들에 대한 지지율이 한 자리 숫자로 머물자 중도 사퇴했다. 나머지 한 후보는 끝까지 버텼지만 선거 득표율이 한 자리수로 그쳤다. 통진당에 대한 국민의 철퇴가 내려진 것이다. 유권자 정치의식의 보수화를 의미한다.

둘째, 새정연 완패에서 드러난 민심은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대정부 강경투쟁에 대한 국민의 피로감 표출과도 무관치 않다. 새정연은 지난 1년동안 세월호 유족들의 강경시위 때마다 적극 참여하였다. 새정연은 마치 세월호 강경파 유족회의 국회 분실처럼 처신, “민생정당”이 아니라 “투쟁정당”이란 이미지를 굳혔다. 4·29 선거는 유권자들이 “투쟁정당”을 거부하고 “민생정당”을 지지한다는 정치문화의식을 보여주었다.

셋째, “선거에서는 정당이 분열하면 필패한다”는 교훈을 재확인케 했다. 새정연은 광주 서을에서조차 분열로 자폭하고 말았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야는 4·29 재·보선에서 드러난 민심과 천심을 직시해야 한다. 당 대표의 선거전략 실패니 성공이니 하며 기술적인 측면만을 내세우며 진정한 민의를 놓쳐서는 아니 된다. 4·29 재·보선의 천심은 좌편향 정당에 대한 거부, 유권자의 보수화, “투쟁정당” 거부와 “민생정당” 선호로 나타났다. “민심은 천심”이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정치권은 4·29 재·보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국정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천심은 민심을 거부한 정당에게 벌을 내린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