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인구 자연증가 여력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현재 추세대로 갈 경우 올해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서고 전체 인구도 2030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24일 통계청은 '2015년 출생·사망통계'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 건수는 통계 작성(1970) 이후 최저치인 163000명에 그쳤다고 전했다.
 
1980년대 초반 60만명 대에서 꾸준히 감소하던 인구 자연증가 건수는 2000년대 초반 3분의 1 수준인 20만명대로 줄었다. 이후 10여년간 20만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3년부터 다시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16만명대까지 떨어졌다.
 
1980년대 초부터 꾸준히 진행된 저출산 현상은 최근 인구 증가 여력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결과를 초래했다.
 
198186만명 출생아 수는 지난해 절반 수준인 43만명대로 줄어들었다. 반면 1980년대부터 30여년간 24만명 안팎을 유지하던 사망자 수는 2010년부터 점차 증가하기 시작해 지난해 27만명 대까지 늘어났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통계청은 올해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고 있다.
 
2028년이 되면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가 역전되면서 인구 자연증가 건수가 마이너스로 접어들고, 2030년에는 해외 인구 유입을 포함해도 전체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출산율을 끌어올리더라도 이같은 인구 변화의 추세를 바꾸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우리나라는 1983년 출산율이 2.1명 이하로 떨어지면서 저출산이 시작됐다""그때 태어난 아이들이 30년이 지나 출산 연령이 되면서 출생아 수가 굉장히 많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과장은 "당장 내년에 출산율이 높아지더라도 인구 증가 효과는 30년 정도가 지나야 나타나지만, 한 번 나타나면 거스를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이 때문에 출산 정책의 효과는 장기적으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hwikj@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