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 가계 빚 이자로 챙긴 호실적…금융권 성과급‘킹’은?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금융기관들이 불황으로 고통받는 국민을 외면한 채 ‘얌체 영업(이자 수익)’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챙겨 `’돈잔치’를 벌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연봉의 80% 이상을 성과급으로 챙긴 금융사 수장도 있다.

직원들의 급여 수준도 대기업보다 매우 높다. 이에 정부가 손실은 책임지지 않고 성과만 챙기는 금융권의 억대 성과급 관행에 제동을 걸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논란이 될 전망이다.

이 소식을 접한 일부 서민들은 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면서도 고액 성과급에 대해선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며 하소연한다.

최희문 21억6천만 원-정몽윤 9억6천만 원-김정태 6억3천만 원
“업종 본질 이해 부족” 볼멘소리…금융당국, ‘손실 나면 환수’ 제동


금융권 성과급은 기본 억대 수준, 많게는 수십억 원에 이른다. 증권업계 성과급도 평균 10억 원대다. 보험과 카드업계도 고액성과급을 받기는 마찬가지다.

단순하게 이 사안을 보면 실적이 좋아 많은 수당을 받아가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속살을 들춰보면 서민들의 눈물(?)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어제 오늘의 지적이 아닌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 은행들이 실적증가에 행복한 비명을 지르는 사이 국민은 이자 부담에 허덕인다.
은행들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많이 올리는 방식의 ‘손쉬운 이자장사’를 통해 국민의 이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가중 평균금리는 지난해 8월 2.95%에서 올해 5월 3.47%까지 치솟았다. 특히 예금과 대출금리(예대금리) 차이는 같은 기간 1.64%p에서 올해 5월 1.99%p까지 확대됐다. 이는 대출 금리의 인상 속도를 예금금리의 인상 속도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같은 기간 기업대출의 예대금리 차이는 반대로 0.04%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은행들이 개인 금융소비자를 중심으로 예대금리 차이를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의 이러한 행태에 결국 금융당국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은행의 단기업적 중심의 ‘이자장사’가 국내 소비 둔화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당국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누구 위한 금융기관인가
 
이에 부응하듯 금융당국도 메스(수술할 때 사용하는 칼)를 들 전망이다. 투자 손실은 나 몰라라 하고 성과 보상만 꼬박꼬박 챙긴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금융당국이 성과급 제도를 뜯어고치기로 한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9월부터 성과급을 4년에 걸쳐 나눠 지급하도록 하고 손실이 나면 성과급을 환수하는 한편, 성과급 상한을 전 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소비자연맹 한 관계자는 “손해가 발생할 경우 책임을 묻는 것은 단기 실적주의를 지양하고 중장기적으로 책임경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며 “성과뿐 아니라 손실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하는 성과급 제도가 금융회사들의 책임경영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월가 탐욕 빰치는 수준 ‘논란’
 
한편 지난 4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 은행권의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3조15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6% 증가했다. KB금융(8830억 원)이 지난해 보다 가장 높은 52.1%의 순익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며, 뒤이어우리은행(4350억 원), 하나금융(4430억 원), 기업은행(3070억 원), 신한금융(7310억 원) 순으로 41.5%~6.9%의 순익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은행들은 이러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주와 은행원을 대상으로 한 수익 분배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금융회사들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16년도 사업보고서를 보면, 최희문 메리츠종금증권 사장은 지난해 성과급 21억6000만 원을 포함해 26억80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성과급이 전체 연봉의 80%가 넘었다.

윤경은 KB증권 사장도 지난해 성과급 20억원 등 27억2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이외에도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 9억6000만 원,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6억3000만 원을 성과급으로 챙겼다.

일부 증권사들은 성과급 액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사 숫자가 늘어난 탓에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런 환경 속에서 번 돈의 일부를 성과급 방식으로 직원들에게 되돌려주고 있다. 보너스 개념보다는 일종의 급여라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은행은 사정이 다르다. 어려울 때 공적자금을 받아놓고 예대마진을 높여 사상 최대 이익을 내고 있다. 국민의 세금이 투입된 은행이 성과급 잔치를 하는 것은 문제다. 월가의 탐욕을 규탄하는 미국 시위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