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사태가 우려되던 현대차그룹(정몽구 회장)의 노사협상이 지난 26일 노사 간 극적인 합의를 했다. 이로써 파업이 다음 달로 넘어가는 최악의 사태는 피하게 됐다. 현대차 노사는 이번 임금협상을 통해 노조의 핵심 요구사항이었던 호봉제를 도입하고, 각종 인센티브 개념을 적용하는 등 나름대로의 성과도 얻었다. 모양새는 노사 양측이 ‘윈-윈’하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그러나 실제 내부를 들여다보면 현대차가 노조에 백기를 든 것이다. 왜? 무엇 때문에 사측이 노조에 백기를 들었는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재계 일각에선 노조가 현대차 비자금 사건 때문에 불투명해진 정의선 기아차 사장에 대한 경영권 승계를 문제 삼지 않는다는 것에 사측과 묵시적 타협을 한 것이라는 말이 흘러나오고 있다. 무려 21일간 지속된 파업 후유증과 현대차의 경영권 승계에 대해 전망해 본다.

현대차그룹에 비상이 걸렸다. 내부제보자의 제보로 촉발된 현대차 비자금 문제로 정몽구 현대차 회장이 구속되면서 경영위기를 맞았다. 60여일 간의 경영 공백을 깨고 일선에 나선 정 회장에게 내려진 첫 번째 숙제는 현대차 파업이었다. 파업은 무려 21일간 지속됐으며 생산차질액도 1조원을 훌쩍 넘기는 등 파업을 둘러싼 생채기도 어느 때보다 컸다.파업초기 회사 측은 강경노선을 택했다. 노조와의 타협을 거부하고 법과 원칙대로 집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 7월 26일 잠정합의안을 보면 회사가 노조의 안을 100%수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협상배경을 놓고 재계 일각에선 현대차의 사측과 노조 측이 ▲정의선 기아차 사장의 경영권 승계를 문제 삼지 않겠다. ▲비자금 사건 확대 금지 등에 대해 묵시적 합의를 한 것이라는 설이 흘러나오고 있다.현대차 비자금 사태이후 정 회장은 사재 1조원의 사회 환원을 약속했다.

‘회사기회의 편취’혐의를 받은 비상장 계열사인 글로비스 주식을 전량 사회에 환원키로 했다. 정의선 사장은 기아차 주식을 매입해 그룹 경영에 필요한 지분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에 중대한 차질이 빚어졌다.정 사장은 기아차→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로 이어지는 그룹 순환출자 구도를 잘 활용해 기아차 주식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경영권 확보를 시도했다. 지금까지 기아차 지분 2.0%를 확보하는 과정에서는 글로비스, 본텍 등 비상장 계열사 지분을 매각해 마련한 자금을 활용했지만 앞으로는 이런 방식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것으로 여겨진다. 재계 일각에선 정공법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치고 있다. 정 회장이 정당한 세금을 내고 보유지분을 정 사장에게 증여하는 방법이다. 정 회장이 보유한 현대모비스(7.9%)와 현대차(5.20%) 지분 중 한 쪽을 처분해 세금을 내면 된다는 구체적인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지분 매입을 통해 경영권을 승계한다고 해도 정 사장이 넘어야 할 산은 경영능력 검증이다. 노조는 그간 정몽구 회장의 ‘황제경영’을 비판해 오며, 경영권 승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견제를 해 왔다. 때문에 정 사장에게 경영권을 승계하는 과정에서 노조의 반발에 부닥칠 경우 심각한 전략적 차질이 불가피하다. 회사 측이 이번에 노조 주장을 들어 준 것도 이 같은 후일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일 것이라는 설이 재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다른 한편에선 사측이 노조 측의 안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실제 이유는 다른데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실 올해 현대차 임금협상에서는 회사 측은 협상이 결렬될 때까지 정몽구 회장의 부재 등을 이유로 제대로 된 제시안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 또 연초부터 환율하락, 유가상승 등 대외적인 경영환경 악화를 이유로 노조에 일방적으로 임금동결을 요구하며 압박했다. 하청 업체에 대해서도 하청단가를 깎았다.

그러면서 실제 정 회장 등 이사회 임원들은 임금을 올리고, 고액 배당을 받아 챙겼다. 정 회장이 받은 주식 배당은 300억원이 넘는다. 이것이 결국 노조의 반발을 더욱 키우는 꼴이 됐다. 특히 현대차 비자금 사태로 경영진의 도덕성이 땅에 곤두박질 친 점도 노조가 예년보다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빌미가 됐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회사 측이 노조 측에 법대로 강경하게 대처한다고 해도 명분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사측은 노조 측과 윈-윈 차원에서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 냈다. 겉으로 보면 회사 측이 협상에서 이긴 것처럼 보이지만, 내막을 따져보면 노조의 안을 100% 들어주는 것으로 끝을 냈다.

호봉제 첫 도입…매년 기본급 `자동인상`

노사는 7만665원(기본급 대비 5.1%) 인상, 호봉제 도입분 7,335원으로 총 기본급 7만8,000원 인상안에 잠정합의했다. 현대차가 처음으로 호봉제를 도입하게 됐다. 회사 측은 교섭체결 이후 1개월 이내에 호봉위원회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4월부터 소급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임금 협상 없이도 매년 기본급이 일정부분까지 자동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 또 현대차 노사는 오는 2009년부터는 주간 2교대 시행과 연계해 생산직에 한해 월급제도 도입키로 합의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호봉제 도입으로 임금협의 없이도 매년 기본급이 자동적으로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며 “최저 기본급 인상에 대해서만 다시 매년 협의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과급 차등지급 등 `인센티브` 개념 도입

현대차는 성과급을 경영성과에 따라 차등해 지급하는 등 인센티브 개념을 도입했다.현대차 노사는 올해 사업계획인 176만7,000대 생산을 100% 달성할 경우 150%, 95% 달성시 100%, 90% 달성시 50%의 성과급을 지급키로 합의했다. 또 생산, 정비, 영업, 연구, 일반직 등에 따라 임금체계를 달리하기 위해 직무수당을 신설하고, 이미 수당을 받고 있는 부서에 대해서는 노동 강도에 맞게 조정키로 했다.현재까지 현대차는 직군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하게 임금과 수당을 지급해 왔다. 이번 안이 적용되면 노동 강도가 높은 노동자들이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경영성과에 연동해 성과급을 지급하거나 노동 강도에 따라 수당을 달리 적용하는 방식 등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 개념”이라며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앞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무노동 무임금 원칙 지켜지지 않는 현대차

현대차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 현대차는 컨베이어산업 특성상 어느 한 공정이 멈추면 사실상 자동차 생산이 올 스톱이 된다. 파업이 길어져 차량 생산대수가 줄면 도저히 생산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측은 이 때문에 파업 때마다 노조 측에 협상 주도권을 내놓기 일쑤다. 그 때문에 ‘무노동 무임금’원칙도 사실상 깨지고 있다.현대차는 올해만 성과급 최고 250% 외에 하반기 생산목표 달성 격려금 50%, 생산성 향상 격려금 100만원, 품질목표 달성 격려금 200만원 등 각종 명목의 격려금을 몰아준다. 이 돈은 파업으로 인해 발생한 조합원 임금 손실을 사실상 보전해주는 성격이 짙다.

생산차질 2004년 대비 5배 육박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노조가 너무 과도하게 파업을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지탄도 받은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현대차 노조는 협상결렬을 선언한 이후 지난달 26일부터 이날까지 총 21일째 파업을 벌여왔다. 지난 24일 기준으로 파업으로 인한 전체 생산차질은 9만1,647대, 매출차질 1조2,651억원 등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04년 임금협상 때의 생산차질 2,631억원에 비해 5배에 달하는 규모다. 임금협상과 함께 단체협상까지 진행됐던 지난해의 5,795억원에 비해서도 2배를 넘는다.

현대차 노조는 총인원 4만3,000명이다. 총 11개에 달하는 노조 내 각 계파가 있다. 회사 조직이라기보다는 거대 사회집단이나 다름없다. 노조위원장의 지위는 예산이나 딸린 식구들을 감안할 때 웬만한 지방 중소도시의 자치단체장 못지않은 수준이다.재계는 이번 현대차가 노조 파업을 수습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투명성이 없는 오너의 독단적 경영이 만들어 낸 폐단과 이를 미끼로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려는 노조에 대해 환골탈태를 보여주길 요구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먼저 지난 4월 정 회장 구속 직전 국민에게 약속한 사재 1조원의 사회 환원과 협력사 지원, 일자리 창출, 계열사 자율경영체제 강화,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 확보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정 회장 1인에 의존하는 ‘황제경영’은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재계의 한 관계자는 “정 회장의 공백이 곧바로 그룹경영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대서야 어떻게 글로벌 기업이라고 자부할 수 있겠는가. 현대차가 안고 있는 모든 현안 문제는 따지고 보면 황제경영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지금 현대차는 국내외 매출 감소에 노조의 파업까지 겹쳐 내우외환의 시련에 직면해 있다. 정 회장이 석방되어 경영일선에 나선 만큼 활력이 되살아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대차 노사가 서로 화합하여 위기를 극복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이것이 정 회장의 석방을 탄원한 수많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길이며, 현대차가 진정한 초일류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방향이기 때문이다.

# 럭셔리 SUV 한국시장 공략한다아우디Q7 신차 발표

아우디 코리아(대표: 도미니크 보쉬)는 지난 7월 27일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아우디의 고성능 럭셔리 SUV ‘아우디 Q7’의 신차발표회를 가졌다. 이날 350마력 4,200cc V8 FSI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Q7 4.2 FSI’와 233마력의 최첨단 아우디 디젤 엔진이 장착된 ‘Q7 3.0 TDI’ 등 두 종류의 모델을 선보였다. 이날 발표된 ‘아우디 Q7’은 아우디가 만든 최초의 SUV(Sports Utility Vehicle)로 다이내믹한 성능과 최첨단 기술, 다목적 차량의 특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는 야심작. 디자인과 성능, 승차감, 안전 등에서 새롭게 탄생한 Q7은 온·오프로드 주행성을 완벽하게 구현한 3세대 고성능 럭셔리 SUV차량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아우디 Q7’은 국내 판매 모델 중 처음으로 한글 MMI(Muti-media Interface) 시스템을 장착했다. 현지 언어 지원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한글 MMI는 그만큼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우디는 Q7에 장착된 한글 MMI를 시작으로 연내에 A6와 A8까지 확대 적용하기 위해 현재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차량 가격은 부가세를 포함해 디젤 모델인 ‘Q7 3.0 TDI 디럭스’ 8,950만원, ‘Q7 3.0 TDI 수프림’ 9,450만원, 가솔린 모델인 ‘Q7 4.2 FSI’ 1억 2,450만원이다. 아우디 코리아 관계자는 “아우디 Q7은 ‘콰트로 중의 콰트로’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현존하는 최고의 SUV로 인정받고 있다”며 “아우디는 한글 MMI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레스티지 브랜드 아우디를 소유한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