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드라마가 인기를 끌더니만, 갑자기 연예인의 대부업 광고 모델문제로 불씨가 옮겨 붙었다. 광고라는 것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야 하는 것이다 보니 연예인이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에는 아주 좋다.

대부업체들은 다른 광고의 출연료 보다 많이 줄뿐만 아니라 약간 인기가 낮아도 연예인이라는 점 때문에 모델이 된다. 소비자금융이 주류인 대부업 광고에서의 이야기다.

사실 광고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것도 다름이 아닌 일간신문을 통해서이다. 소위 말하는 줄 광고나 작은 박스 광고를 통해서이다. ‘어음할인’ ‘채권매입’ ‘담보대출’ ‘돈 놀분’ 이런 문구에 전화번호만 달랑 나오는 줄 광고는 경제신문뿐만 아니라 주요 일간지들에도 자주 나온다. 이런 광고는 역사가 아주 깊다. 과거에는 시장을 홍보할 수단이 없었다. 그래서 주요 신문 매체를 이용했고 생활정보지가 등장하면서 금융광고는 생활정보지 광고 시장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광고의 비중도 점차 커졌다. 일주일 광고에 몇 천만원이나 들어간다고 하는 소문도 들린다. 그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문자, 이메일,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도 하고 있다. 영업을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고객을 모으는 일은 어느 기업이나 업종에서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대부업에서는 생명과도 같다. 그래야 고객이 모이고 이 고객들에게 대출을 실행할 수가 있다.

기업 단기자금일 경우에는 팩스를 많이 이용한다. 팩스로 안내문을 보내고 때로는 전화로 안내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조성된 시장도 알고 보면 무척 크다. 대략 몇 천억원 정도라고 추정이 되기는 하나 이것도 그냥 추정일 뿐이다. 왜냐하면 소규모로 (100~200억원) 기업단기 자금을 영업하는 업자들이 수백 명에 달하기 때문이다.

몇 년 전 마포 근처에서 기업단기 자금을 하던 대부업체가 세무조사를 받았는데 당시 이 업체가 일으킨 대출이 1000억원이 넘었다는 소문이 있다. 해당 업체의 관련자나 가족 등 그 언저리에서 영업을 하던 업체가 몇 십 개였다는 게 회자된 바 있다. 그냥 팩스나 전화로 영업을 안내하는 수준인데 말이다.

요즘에는 은행이나 캐피탈 회사 같은 2금융권에서도 사업자 대출에 대한 안내문을 팩스로 보내고 있는 게 현실이다. 대부업 선진국인 일본 같은 경우는 TV광고는 물론이고 지하철 광고를 비롯, 거리에 샌드위치맨까지 등장하고 있다. 종종 전봇대등에 벽보 같은 것이 붙어있기는 하나 현지인들의 이야기로는 이런 광고
는 불법업자들이 붙인 광고라고 한다. 일본에서 불법적인 업자들의 이율은 연 360%라니 몰래 벽보를 붙일 수밖에 없는 것이 이해가 되기도 한다.

지금 시점에서 우리에게 논란이 되고 있는 연예인 모델의 광고는 한국적인 정서에서는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연예인들은 대중의 지지를 받아서 사는 사람들이다. 즉 대중이 좋아해야만 출연도 자주하고 출연료도 오르고 광고모델도 할 수 있는데 다수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업종의 모델로 나오니 비난을 받을 수밖에. 그래서 ‘대부업 광고인지 몰랐다’ ‘이런 광고인줄 몰랐다’ ‘대출이 어려운 사람에게 좋은 광고인줄 알았다’ ‘매니저가 계약해서…’ 이런 궁색한 해명에 대중은 또 한번 실망감을 갖게 되는 게 아닐까. 어느 가수가 병역을 기피하기 위해서 변명하는 것처럼 말이다.

제공: (주)중앙인터빌 www.interbil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