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S 활용한 스마트폰 알람 지원…보행자 안전 서비스 확대

교통사고 예방 및 자율주행차량의 효율적인 주행 등을 지원하는 C-ITS(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시스템 개발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9일 스마트폰 서비스 개발업체와 C-ITS를 활용한 보행자 안전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이 서비스가 개발되면 보행자는 교통이 복잡한 인근 도로에서 접근하는 차량 정보를 휴대폰을 통해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서비스는 내년 6월경에 개발‧성능 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며, 이르면 7월부터 대전-세종 도로 구간에서 시범 운영될 계획이다.

 

KT 5G 자율주행버스 <뉴시스>

차량-인프라 간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는 차세대 첨단교통체계(C-ITS) 서비스 범위와 지원 대상이 휴대폰을 소지한 보행자로 대폭 확대된다.

C-ITS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한 데이터 연계를 기반으로 도시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자율주행차 도입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점검해 안전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가 보행자 중심으로 확대되면, 버스정류장이나 교통이 혼잡한 곳에서 보행자가 차량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어 교통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도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 정보 등을 받을 수 있으며, 고속도로에서도 수시로 도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별도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던 C-ITS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C-ITS 단말기 간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ICT(정보통신기술)기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 과제로, 미래형 도시 조성을 위한 첨단교통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다.

국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세계 각 국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관련 프로젝트 중 가장 높은 비율은 스마트교통 프로젝트로, 세부 내용은 교통 상황 모니터링 체계, 첨단 주차 시스템, 공유 자동차 및 자전거,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 등 미래교통 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미국은 내년부터 C-ITS 단말기 상용화 장착을 의무화할 예정이며, GCTC(Global City Teams Challenge)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공유하는 등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도 2025년까지 1조 위안(약 165조 원)의 투자 계획과 함께 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에서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지식형 산업으로의 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유럽 e-Call 단말기는 2015년 신규 출고차 및 5톤 이하 화물차에 의무적으로 장착됐으며, 2033년까지 모든 차량 단말기에 부착을 의무화시킬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자동차 도로교통 분야 ITS계획 2020 수립을 통해 차량 간 통신을 위한 첨단교통체계(C-ITS)를 도입하고, 실증사업 도시를 서울시와 제주도로 선정해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세종시, 자율주행차 대중교통서비스 상용화 박차

스마트시티 글로벌 기업 존슨콘트롤즈 EEI(Energy Efficiency Indicator) 조사에 의하면, 전 세계 도시의 대부분이 스마트시티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 중 22%만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대부분은 전략 수립을 위한 논의‧준비 등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61%가 향후 1년간 에너지 효율 부문과 재생 에너지, 스마트시티 기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최근 세종시는 스마트폰 개발업체와의 협업으로 가장 빠르게 자율주행차 대중교통서비스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BRT(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 실증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세종시는 미래차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과 기술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자율주행 및 스마트시티 특화 도시로서의 브랜드를 공고히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세종시가 선보인 완전자율주행 순환 셔틀 서비스 ‘NAVYA’

SKT-KT, 5G 자율주행 플랫폼 핵심 기술 가속화

스마트시티 5G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두고, SK텔레콤과 KT는 자율주행차 시장 선점을 목표로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연구팀과 손잡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차에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지난달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은 자율주행차용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과 내장형 차량 센서, 딥러닝 조향 제어 장치 등을 경차에 탑재할 수 있도록 소형화 했다.

SK텔레콤은 경차 자율주행 허가에 이어, 차량공유 서비스와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한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차량공유 서비스 이용 고객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로 차량을 호출하면, 자율주행차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는 차량호출 기술과 자율주차 기술 등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배송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KT도 자율주행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25인승 자율주행 버스에 대한 운행 허가를 받은데 이어, 올해 초에는 45인승 대형버스의 자율주행 허가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구·제주 등 지자체들과 C-ITS 자율주행 실증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KT는 5G 자율주행 플랫폼의 핵심 기술을 검증할 예정이며, 5G 기술이 자율주행차에 조기 적용되도록 자동차 및 부품 제조사들과 협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또한 KT는 스마트 ICT 환경 구축을 목표로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 기가코리아(Giga KOREA)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20년까지 무선으로 기가급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스마트 ICT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KT는 ‘5G 자율주행 실증 사업’에 참여하는 17개 참여 기관과 협력해 5G V2X(차량-사물 간 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서비스 모델을 발굴할 예정이다.

KT는 C-ITS를 활용해 각종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센서와 실시간으로 주고 받아 교통사고 예방, 도로교통관리 첨단화, 원활한 자율협력주행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후측방 단거리 레이더 독자 개발

운전자의 개입 없이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기술을 위해서는 고성능 센서와 고정밀 맵을 통한 정교한 인지와 측위, 제어 기술 등이 필요하다.

국내 독자기술로 최근 후측방 단거리 레이더 개발에 성공한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기술을 담을 수 있는 통합 ECU(자율주행 플랫폼) 개발을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통신기술(V2X), 딥러닝 기반 센싱 등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집중해 레벨3 이상의 고속도로 자율주행시스템 기술을 2022년까지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2020년부터 국내 완성차에 공급할 계획이며, 올해 안에 자율주행에 필요한 레이더 4종을 모두 개발 완료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내년까지 차량-사물 통신(V2X)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통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0년부터 이 시스템을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스마트교통 시스템은 무선 통신으로 교통 정보를 주고받는 시스템인 만큼,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보안문제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안관제 서비스와 SIEM(컴뷰터 보안 소프트웨어)기술을 접목하려는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정보통신업계의 한 보안 전문가는 “스마트카 시장이 급속한 성장을 보일 전망이지만, 시스템 도입에 앞서 해킹 방지를 위한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잘못된 교통정보가 전송되거나,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