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 믿을 수 없다?” 방지대책 급하다

일요서울은 뉴스 키워드를 통해 한 주 이슈를 점검하는 ‘生生 키워드 쏙! 생활경제’코너를 진행한다. 최신 IT트렌트부터 시사성 있는 생활경제 까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이에 대한 해법도 함께  알아 볼 전망이다. 이번호는 [되풀이되는 라돈 공포]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가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원안위와 식약처, 생활용품 및 의료기 방사선·라돈 위험 신속대응 촉구 기자회견’에서 시중에 판매되는 B사의 도마를 대상으로 방사선 측정을 하고 있다. [뉴시스]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가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원안위와 식약처, 생활용품 및 의료기 방사선·라돈 위험 신속대응 촉구 기자회견’에서 시중에 판매되는 B사의 도마를 대상으로 방사선 측정을 하고 있다. [뉴시스]

 

  생활용품 이어 신축아파트에서도 검출…당국은 늑장대응 
  몸에 닿는 용품은 기준치 의미 없어…소비자들 ‘발동동’


라돈 생리대, 라돈 온수매트, 라돈 침대에 이어 이번에는 라돈이 검출된 아파트가 등장해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전주시의 한 신축아파트 대리석 등 건축자재에서 촉발된 ‘라돈 아파트 공포’는 수원 광교신도시 일부 신축아파트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되면서 지역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신축아파트 ‘라돈과 전쟁 중’

지난 11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지난 8월 사용검사를 받은 광교신도시 내 A아파트 일부 입주자들로부터 “간이 라돈 측정기를 이용해 화장실 선반을 측정한 결과 환경부의 공동주택 권고기준인 200㏃/㎥의 10배 이상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됐다”는 민원이 접수됐다. 

현재 시의 중재로 해당 시공사와 입주자들 간 대책 마련을 놓고 협의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A아파트의 경우 현행법상 시공사의 책임을 묻기 어려워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행 실내공기질 관리법은 공동주택 입주 전 실내공기질 측정과 공고를 강제하고 있지만, 라돈의 경우 2018년 1월 1일 이후 사업승인을 받은 경우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라돈 아파트가 이들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는 다는 것.

환경부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연구용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이뤄진 서울과 인천, 김포, 춘천, 세종 등 9개 지역 아파트 178가구 대상 조사에서 약 15% 인 27가구에서 라돈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인 100베크렐(Bq/㎥)을 초과했다.

이에 따라 라돈 공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아파트 입주자 카페도 등장했다.

다수의 아파트 입주자 카페에서는 라돈 측정 기구인 ‘라돈아이’ 대여처와 측정 후 수치를 공유하는 사례가 공개 돼 있다. 수치가 높게 나온 단지 주민들 사이에선 시공사에 문제가 된 자재에 대한 교체를 요청 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입주자 B씨는 “시공사에 이미 민원을 넣은 단지도 있다”면서 “그런데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당장 발암 물질이 내 집안에 들어와 있다고 하니 꺼림칙해 인테리어 업체에 연락해 직접 인조대리석으로 바꾸는 이들도 많다”고 밝혔다.

라돈(Rn)은 우라늄과 라듐이 붕괴되면서 땅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방사성 기체를 말한다. 라돈의 경우, 주택 등의 지하실로 스며들어가 암을 일으킬 정도로 유해한 농도로 위험한 물질이다. 라돈 중독이 주는 잠재적인 위협 중 대표적인 것이 폐암이다. 

실제로 채굴현장에서 일하는 광부들은 우라늄이 붕괴해서 고농도의 라돈을 흡입해서 폐암에 걸려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위해성 평가 강제할 법적 근거 절실

지난 5일 MBC ‘생방송 오늘 아침’에서는 ‘온수 매트에도? 끝나지 않은 라돈 공포’라는 주제로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온수매트에서 라돈이 검출됐다는 방송영상이 공개됐다.

라돈이 검출된 제품은 (주)대현하이텍에서 제조한 하이젠 온수매트로 제품에서 218Bq/㎥의 라돈이 검출됐다. 이는 법적 기준치인 148Bq/㎥을 넘어선 수치다.

논란이 일자 해당 업체는 라돈 검사결과 이상이 없다는 검사표를 공개했지만, 불안감을 호소하는 고객을 위해 교환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생활용품에서 속속 라돈 검출 의혹이 제기되면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조사 품목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국내 유통업체를 통해 수입된 해외 라텍스와 메모리폼 베개 등에서 라돈에 의한 피폭선량이 안전기준을 초과 조사 중이다. 하지만 조사 결과 발표 시기를 확정하지 않아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한편 생활 방사능이 기준치 이상 나오는 건자재를 쓰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도 발의됐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2일 국토교통부 장관이 방사선방출건축자재를 정해 고시할 수 있도록 하고, 주택건설공사를 시공하는 자는 국토부와 환경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방사선방출건축자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주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라돈 침대 참사 뒤에도 여전히 감시 체계가 구멍이 뚫려있는 셈입니다. 정보를 바로 공개하고 국민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해선 위해성 평가를 강제하는 법적 근거가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