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내사에 세무조사까지“이를 어쩌나…”

최근 LG그룹이 재계의 화두로 등장했다. 검찰을 비롯해 청와대, 국세청이 LG그룹을 노리고(?) 있다는 소문이 흉흉한 탓이다. 이미 검찰이 LG그룹 계열사 곤지암리조트와 LGCNS에 극비 내사를 벌이는가 하면 LG상사에 대한 국세청 세무조사까지 시작했다. 재계 일각에서 “LG그룹이 MB정부의 친노기업 사냥 타깃으로 떠올랐다”는 뒷말이 나도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미 2002년 LG그룹에 노무현 전 대통령 아들 노건호씨가 입사해 ‘현직 대통령과의 관계’가 주목받은 바 있다.

LG그룹에 대한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 3월 곤지암리조트에 대한 검찰의 내사 때부터다. 작년 12월 개장한 곤지암리조트는 LG그룹이 지난 1995년부터 개발에 착수한 리조트개발사업으로 총 사업비만 2000억원 이상 들어갔다. 하지만 팔당상수원 보호 구역인 탓에 개발이 제한돼 왔고 환경부의 반대가 극심해 사업인허가가 쉽지 않았다. 사업이 재개된 것은 참여정부가 들어선 2004년, 국내최초로 ‘오염총량제’가 도입되면서였다. 특혜의혹을 불러왔던 것도 이 대목이다. 곤지암리조트는 2004년 국정감사에서 특혜와 로비 의혹을 받았고 각종 논란에 휩싸였다.


LG그룹 전방위 압박 중

업계가 이번 검찰의 재수사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이유는 이번 재수사가 2004년 수사와 초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검찰이 LG곤지암리조트와 관련해 수사를 벌인 건 2004년, 2006년을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다. 과거 검찰의 수사 초점은 LG의 곤지암리조트 개발사업에 대한 LG일가의 1조원대에 달하는 시세차익 및 부동산 투기 의혹 등과 관련해 내사를 벌였다면 이번에는 권력형 비리 사건에 포함시켜 재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주시하는 것은 곤지암리조트뿐만이 아니다. LG그룹 계열사 LGCNS도 검찰의 내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철도시설공단 입찰에서 LGCNS가 선정되면서 특혜가 주어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탓이다. 특히 입찰 과정에서 LGCNS가 2위 업체보다 90억원이나 비쌌음에도 불구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그 배경이 의구심을 더하고 있다.

철저하게 통제를 받아야만 하는 평가위원들이 지정된 장소를 떠나 집으로 귀가하는가 하면, 일부 정치권 인사가 로비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 이미 LGCNS는 철도시설공단 통신관련 3차 사업 모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1000억원대 사업을 독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LG그룹의 고민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검찰 내사와 별개로 다른 한편에서는 국세청 세무조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3월 중순부터 세무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LG상사가 바로 그곳이다. LG그룹 측에서는 정기 세무조사라고 밝히고 있지만 최근 재계에서 정기 세무조사는 ‘정기’기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급격한 경기침체와 함께 국세청이 기업들을 상대로 세무조사를 대폭 유예해 왔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세무조사 방침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이지만 이 역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국세청은 오랫동안 세무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법인과 명백한 탈세제보가 있는 기업들에 한해 세무조사를 실시한다는 지침을 각 지방국세청에 내려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LG상사 내부적으로 탈세제보가 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하는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한때 LG생명과학까지 세무조사 대상자가 됐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친노 기업서 MB 성향기업 변신

재계 일각에서는 이같은 정부당국의 LG그룹 압박이 곱게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MB정부는 출범 이후 검찰은 대기업 관련 수사에서 적잖은 성과를 이끌어냈다. 특히 친노기업으로 알려진 태광실업을 비롯해 프라임그룹, 애경그룹, 동양그룹 등이 검찰에 기소된 바 있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번 LG그룹 관련 내사, 세무조사 등 역시 ‘친노기업 사냥’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LG그룹은 노 전 대통령의 아들인 건호씨를 입사시키면서 ‘대통령 아들이 입사한 기업’이라는 별칭을 얻은 바 있다. 건호씨는 2006년 9월부터 무급휴직으로 유학을 떠났지만 지난해 10월 미국 MBA과정을 마친 뒤 LG그룹으로 다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검찰의 내사가 곧 유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의혹을 깨끗이 씻을 수 있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앞으로 진행될 검찰 수사 및 세무조사가 LG그룹을 둘러싼 의혹이 어떤 결말을 맞이할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