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대책 이후 두 달 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단위 : %)
9·13 대책 이후 두 달 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단위 : %)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둔화되며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9·13 대책 발표 이후에도 꿈쩍하지 않고 있던 매도자들이 주식시장 불안, 미중 무역 분쟁, 금리인상 가능성 등 거시경제 변수들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호가를 낮춰 매물을 내놓고 있다.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은 모두 0.00% 변동률로 보합세를 보이며 진정국면에 진입했다. 신도시는 중동, 분당, 광교 역세권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04% 상승했고 경기·인천도 0.02% 올랐다.

9·13 대책 발표 이후 매매가격 상승폭 둔화 지속
신규 공급, 임대사업자 매물 출시로 전세시장 안정

부동산114가 9·13대책 발표 이후 두 달간 서울 자치구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노원이 3.30%로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고 이어 구로(2.48%), 관악(2.38%), 성북(2.27%) 등의 순이었다. 그동안 가격 상승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서남·동북권이 크게 오른 것이다. 반면, 9·13대책 이전 가격 상승폭이 가팔랐던 송파(1.13%), 강남(1.09%), 동작(0.94%), 용산(0.52%) 등은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줄었다.

전세시장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이 지난주에 이어 0.00% 보합세를 보였고 신도시는 위례와 동탄 등 신규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하락하며 0.01% 떨어졌다. 경기·인천도 보합이다.

매매

서울은 ▲동작(0.07%) ▲서대문(0.07%) ▲은평(0.07%) ▲관악(0.04%) ▲성북(0.04%) ▲성동(0.03%) ▲중랑(0.03%) ▲마포(0.02%) 순으로 상승했다. 동작은 노량진동 쌍용예가가 1000만 원, 대방동 신한토탈이 1000만 원-3000만 원 올랐다. 노량진동이나 대방동 일대 저평가된 아파트가 인근 아파트와 갭을 메우며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서대문은 남가좌동 DMC파크뷰자이가 500만 원 올랐고 은평은 응암동 백련산힐스테이트 2차, 3차가 500만 원-1500만 원 상승했다.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매매가격이 강세다. 관악과 성북은 저가 아파트 위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관악은 봉천동 월드메르디앙이 1500만 원, 성북은 돈암동 돈암힐스테이트가 5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송파(-0.13%) ▼강동(-0.02%)은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 위주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송파는 잠실동 주공5단지가 1500만 원-2500만 원, 강동은 둔촌주공이 500만 원-1500만 원 정도 떨어졌다. 9·13 대책 이후 매수세가 줄어들자 매도인들이 호가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신도시는 ▲중동(0.11%) ▲분당(0.09%) ▲광교(0.07%) ▲평촌(0.04%) ▲동탄(0.02%) ▲일산(0.01%) 순으로 상승했다. 중동은 역세권 위주로 매수세가 이어지며 상동 한아름동성이 250만 원-500만 원 가량 올랐다. 분당은 서현동, 야탑동 일대 아파트 가격이 강세다. 서현동 효자삼환이 1000만 원, 야탑동 장미동부가 500만 원-1000만 원 가량 상승했다. 광교는 상현동 광교상록자이가 500만 원, 이의동 래미안광교가 1000만 원 올랐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신분당선 역세권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많다.

경기·인천은 서울과 인접한 지역 위주로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용인(0.10%) ▲안양(0.09%) ▲수원(0.07%) ▲하남(0.07%) ▲남양주(0.05%) ▲부천(0.05%) ▲화성(0.05%) 순으로 상승했다. 용인은 마북동 연원마을LG가 1000만 원 올랐다. GTX용인역(구성역) 주변으로 실수요는 물론 투자수요가 꾸준하다. 안양은 비산동 뉴타운삼호 4차가 500만 원, 석수동 코오롱하늘채가 500만 원-1000만 원 올랐고 수원은 구운동 청구가 500만 원 상승했다. 하남은 미사지구 새 아파트 위주로 매수세가 많다. 풍산동 미사강변더샵센트럴포레가 1000만 원-15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동두천(-0.19%) ▼오산(-0.13%) ▼안산(-0.11%) ▼평택(-0.06%) 등 공급물량이 많은 지역은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전세

서울은 ▲송파(0.04%) ▲마포(0.02%) ▲양천(0.02%) ▲종로(0.02%) ▲강동(0.01%) ▲강서(0.01%) ▲구로(0.01%) ▲성동(0.01%) 순으로 상승했다. 송파는 오금동 현대백조가 1000만 원-1500만 원 올랐고 마포는 창천동 서강한진해모로가 500만 원 상승했다. 역세권 아파트에 대한 전세수요가 많다. 양천은 목동 목동신시가지3단지가 1000만 원, 신정동 삼성아파트가 500만 원 올랐다.

반면 ▼강남(-0.07%) ▼서초(-0.01%) ▼도봉(-0.01%) ▼강북(-0.01%)은 전셋값이 떨어졌다. 강남은 수서동 신동아 아파트가 500만 원-1000만 원, 서초는 잠원동 한신17차가 2500만 원-3000만 원 하락했다. 임대사업자 매물이 출시되며 전세 물량에 여유를 보이고 있다.

신도시는 ▲광교(0.11%) ▲중동(0.07%) ▲평촌(0.02%) ▲분당(0.01%) 순으로 상승했다. 광교는 하동 힐스테이트광교가 1000만 원 올랐다. 광교호수공원에 인접한 신규 아파트로 임차인들의 선호도가 높다. 중동은 중동 복사골건영 2차가 500만 원-1000만 원, 한라주공2단지가 250만 원-5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위례(-0.15%) ▼동탄(-0.06%) ▼파주운정(-0.05%)은 전셋값이 떨어졌다. 위례는 창곡동 위례호반베르디움이 입주2년 차를 맞아 전세매물이 많이 출시되며 1000만 원 하락했다. 동탄은 반송동 반송동 시범한빛금호어울림이 500만 원가량 전셋값이 내렸다.

경기·인천은 ▲하남(0.08%) ▲남양주(0.05%) ▲김포(0.05%) ▲안산(0.03%) ▲구리(0.02%) ▲부천(0.01%) ▲안양(0.01%)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하남은 신장동 하남유니온시티에일린의뜰이 1000만 원 올랐고 남양주는 다산동 다산한양수자인이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김포는 북변동 일대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전셋값이 올랐다. 북변동 풍년마을청구한라가 500만 원, 삼성이 250만 원 올랐다.

반면 ▼파주(-0.07%) ▼평택(-0.06%) ▼의정부(-0.06%) ▼수원(-0.04%) ▼용인(-0.03%)은 전셋값이 떨어졌다. 파주는 문발동 숲속길마을동문굿모닝힐이 1000만 원 떨어졌고 팽택은 세교동 우성꿈그린이 500만 원 하락했다. 신규 아파트 아파트 공급물량이 늘면서 기존 아파트 전세 매물이 쌓이고 있다.

9·13 대책 발표 이후 과열 양상이 진정되면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매도호가도 점차 하향조정되고 있다. 반면 매수자들은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시장을 관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다주택자 규제로 매수를 보류하고 있다. 또 실수요자들은 주택공급규칙 개정으로 무주택자들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는 분양시장과 올해 연말 발표되는 3기 신도시 공급계획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어 당분간 거래 없는 소강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공 : 부동산114]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