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과자에 이어 연탄 택시비까지...안 오른 건 자식성적 뿐?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은 뉴스 키워드를 통해 한 주 이슈를 점검하는 '生生 키워드 쏙! 생활경제' 코너를 진행한다. 최신 IT트렌트부터 시사성 있는 생활경제 까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이에 대한 해법도 함께  알아 볼 예정이다.

이번호는 [생활물가 도미노 인상]에 대해 알아본다.

고삐 풀린 물가 '공포'로 이어지는데도 손 놓은 정부
서민가계 ‘주름살’..최저임금 오른 내년에는 어쩌나


최근 택시 요금인상에 과자와 아이스크림 가격이 잇따라 오르고, 다음 달 라면과 커피값 인상까지 예고됐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새우깡과 자갈치, 양파링 등 과자 가격이 한 봉지 당  100원가량 올랐다.

농심이 지난 15일부터 대부분의 스낵 제품 출고가를 평균 6.7% 인상했기 때문으로 월드콘과 부라보콘 가격도 일반 슈퍼마켓에서 200원 정도 올랐다. 최근 우윳값마저 오른 상황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황금올리브치킨' 등 3종의 치킨제품 가격을 이날부터 1000∼20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황금올리브치킨은 기존 1만6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자메이카 통다리 구이'는 1만7500원에서 1만9500원으로 각각 2000원씩 오른다.
'써프라이드'는 1만8900원에서 1만9900원으로 1000원 인상된다.
기본 메뉴인 황금올리브치킨의 소비자가격이 1만8000원으로 오르면서 일부 가맹점에서 추가로 받고 있는 배달비 등을 감안하면 '치킨값 2만원 시대'가 다가온 셈이다.

이뿐 아니라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도 가격 인상 소식이 흘러나오고 있다.
전국 가맹점 수를 기준으로 업계 1위인 이디야커피는 다음달부터 음료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

총 70종의 음료 메뉴 가운데 아메리카노·카페라떼·카라멜마키아또·카페모카·카푸치노·바닐라라떼·화이트초콜릿·민트초콜릿·토피넛라떼·녹차라떼 등 14종의 가격을 평균 10% 가량 인상한다.

정부가 관리하는 일부 품목에 대한 인상 소식도 알려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3일 '무연탄 및 연탄의 최고판매가격 지정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고 올해 석탄과 연탄의 최고 판매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석탄 최고 판매가격은 8.0%(열량 등급 4급 기준 t당 17만2660원→18만6540원), 연탄 최고 판매가격은 19.6%(공장도 가격 기준 개당 534.25원→639원) 각각 올린다. 연탄 인상 폭은 개당 104.75원이다. 정부는 2016년과 지난해에도 석탄과 연탄 가격을 같은 수준으로 올렸다.

가격 인상은 여기서 그치지 않을 전망이다. 팔도가 왕뚜껑과 비빔면 등 라면값 인상을 예고했고 제과업계도 일부 제품 가격 인상안을 준비중이다. 더구나 내년 초 또 다시 맞게 되는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으로 물가 인상 소식이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줄줄이 인상에 서민 부담 가중

이처럼 생활물가가 줄줄이 인상되고 앞으로도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서민들의 가계는 주름살만 늘어가고 있다. 더욱이 다른 것도 아닌 생활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쌀과 라면, 우유 등 식료품들이 오르고 있으니 난감할 수밖에 없다.

경기도에 사는 주부 윤모 씨(33)는 요즘 장보기가 두렵다. 가족 4명이 일주일 동안 먹을 식료품만 사도 10만 원을 훌쩍 넘기 때문이다. 배달 음식을 시키거나 외식을 하려해도 가격이 너무 올라 선뜻 지갑을 열기 힘들다. 윤 씨는 “주변 사람들끼리 ‘자식 성적이랑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우스갯소리까지 한다”며 “물가는 앞으로 더 오를 텐데 생활비가 너무 빠듯해 걱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제품 가격 인상이 하루가 멀다하고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정작 손을 놓고 있다.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업체들이나 자영업자들이 인건비 증가에 따른 부담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고 있지만, 이를 통제할 능력을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 또 갑자기 늘어난 인건비 부담 탓에 일부 업체들은 고용 인력을 줄이거나 무인(無人) 시스템 도입을 서두르는 등 고용 한파도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초에도 라면과 맥주, 참치캔 등 서민 품목의 값이 대거 오르자 꾸준히 물가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발표'만' 했다.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이 '물가 인상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일주일도 안돼서 업체들은 계속 가격 인상 소식을 쏟아냈다. 올 초에도 정부는 물가 관리를 한다고 했지만 업체들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분위기다.

일부 업체들은 우유·쌀·밀가루 등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주 52시간·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물가 인상의 움직임에 편승하려는 업체들도 상당수다.

이로 인해 고통받는 것은 결국 서민이다.

경제계 한 관계자는 "연말연시 부산한 분위기를 틈타 일부 업계가 덩달아 물가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하고 물가 관리에 신경을 더 써야 한다"며 "특히 서민들의 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료품과 외식비 등의 가격에 대해서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인상을 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신 건국대 소비자정보학과 교수는 “원재료 값과 최저임금 인상 부담에 소비자 지갑까지 닫히자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 유통업체들이 가격을 인상하고 그 타격이 소비자에게 되돌아오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며 “서민들의 부담이 큰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물가 조정과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물가 잡겠다던 정부는 어디로

한편 정부는 석탄과 연탄 가격 인상에 대해 우리나라가 2010년 G20에 제출한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연탄 제조 보조금을 폐지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1989년부터 석탄·연탄의 최고 판매가격을 생산원가보다 낮게 고시하고 그 차액을 정부 재정으로 생산자에게 보조했다. 올해 기준으로 석탄은 생산원가의 75%, 연탄은 생산원가의 76% 수준이다.

산업부는 "2020년까지 석·연탄 생산자 보조금 폐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저소득층 연탄 사용 가구의 난방비 추가 부담이 전혀 없도록 연탄쿠폰 지원단가를 인상해 생산자 보조금은 점차 축소하고 저소득층 직접 지원은 강화한다"고 밝혔다.

업계는 식음료 가격이 오르는 건 원가 상승에다 인건비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게 일관된 설명이다. 그러나 원재료 가격은 오르락 내리락 하지만 올라갈 때만 재빨리 값을 올려 소비자에게 부담을 고스란히 떠넘긴다는 비판은 여전하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