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김정아 기자] 간염은 A·B·C 등 유형이 다양하고, 간암으로 발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5년 한 해에만 1만여 명이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로 신고됐다. 특히 간염이 있는 상태에서 음주를 계속하거나 피곤이 누적되면 다른 간질환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대한 간학회에서 발표한 경고 주량를 발표하기도 했다.

간염에 대해 이것만은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가 있다면 다음과 같다.
비활동성 B형간염이라고 진단받았다 해서 안심하면 안 된다. 비활동성 B형간염은 전염력이 높지 않지만, 제대로 검사하고 필요할 때 치료해야 간경화나 간암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비활동성 B형간염이라도 40세 이상이면 1년에 2번, 혈액검사와 간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가족이나 연인 등 접촉이 있는 사람에게는 제대로 알리는 게 좋다. 전염 위험이 아예 없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간염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또 다른 상식은  모든 간염이 간암이나 간경화로 발전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A형간염은 다른 간염과 달리 급성으로만 진행되고, 간세포 손상이 없어 간암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B형이나 C형간염은 국내 만성간질환 및 간암 환자의 80%와 연관 있을 정도다.

다음으로 간염 보유자인 산모가 수유를 해도 상관이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모유 수유로 간염이 전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단 현재 간염으로 항바이러스 약을 먹고 있다면 수유를 피해야 한다. 이는 모유로 약성분이 전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유두에 상처난 산모는 출혈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유를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