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1% "돌봄여유 생기면 일 늘릴 것"

정부 정책 중 유연근무제 확대 선호

[일요서울|장휘경 기자] 서울에서 자녀를 키우는 비정규직 여성 10명 가운데 4명은 자녀 출산과 함께 결혼 당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을 위해 시간제 일자리를 택했지만 상당수 여성들이 자녀 돌봄이 집중되는 '독박육아'를 호소하고 있었다.

지난 5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비정규직 여성의 일·가족 양립 실태와 지원 방안' 젠더그래픽에 따르면, 지난해 9~10월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키우는 서울 비정규직 여성 1000명 가운데 80.7%는 결혼 당시 일하고 있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취업자 비중은 첫 자녀 출산과 함께 39.8%로 반토막이 났다. 비중은 둘째 자녀 때 37.1%, 셋째 자녀 출산 이후 35.8% 등으로 낮아졌다.

직장에 다니는 여성 가운데 정규직 비율은 결혼 당시엔 55.4%로 절반이 넘었지만 첫 자녀 출산 때 38.2%, 둘째 때 20.2%, 셋째 때 20.6% 등으로 급감했다. 반대로 40.3%였던 비정규직 비중은 첫 자녀 출산 시 57.3%로 오른 뒤 둘째 자녀 출산 시엔 71.1%까지 치솟았다.

시간제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이유 1순위로는 41.2%가 '가사·육아를 병행하기에 근무시간·거리 등이 적합해서'라는 답을 꼽았다. 이어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서'(17.6%),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서'(13.7%), '원하는 분야 정규직 일자리를 구할 수 없어서'(13.4%)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비정규직 '직장맘'들은 하루 평균 5.2시간씩 일주일에 평균 4.7일 일하고 있었다. 하루 4~8시간 일한다는 응답자가 45.4%로 가장 많았고 1~4시간 이하 39.9%가 뒤따랐으며 8시간 넘게 일하는 여성은 14.7%였다.

이처럼 일·가정 양립을 위해 짧은 시간 비정규직 일자리를 구했지만 주말·휴일 근무나 불규칙한 근로시간이 여성들의 발목을 잡았다.

'최근 한 달간 주말에 하루 이상 근무한 적 있느냐'는 물음에 37.3%가 그렇다고 답했다.

10명 중 1명(10.8%)은 광복절과 지방선거일, 현충일 등 어떤 공휴일에도 쉬지 못했다. 근로자의 날 쉰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은 54.4%로 공휴일 가운데 가장 낮았다. 어린이날에는 74.4%가 쉬었지만 어린이날 대체휴일 일하지 않은 비율은 55.5%로 떨어졌다.

비정규직 여성 5명 중 1명은 매일 근무시간 양이 다르거나(21.1%) 매주 근무일수가 제각각(20.6%)이었다. 19.1%는 출퇴근시간이 일정치 않았다. 응답자의 32.1%는 호출 시 바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했다.

퇴근 후 집에 돌아가면 돌봄은 오롯이 일하는 여성들의 몫이었다.

'자녀를 돌보는 일이 주로 나에게 부과되고 있다'고 말한 비율이 67.8%에 달했으며 '우리 가족은 집안일을 내가 담당하는 걸 당연하게 여긴다'고 느낀다는 비율도 60.5%였다. 반대로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아이를 잠깐 봐줄 가족·친지 또는 이웃·친구가 있다는 여성은 37.9%와 26.6%에 불과했다.

만약 돌봄시설과 서비스 이용시간이 늘어나더라도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다시 일을 선택했다.

응답자 3명중 1명 이상인 35.1%가 '추가 소득을 위한 부업'(18.9%)이나 '근로시간 연장'(16.2%)을 택했다. 휴식·수면시간을 늘리겠다는 답변은 23.2%, 취미·여가활동은 18.6% 등이었다.

27.6%는 지금도 부업을 하고 있는 상태다

정부와 서울시가 추진 중인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건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확대'(16.9%)였다. 이어 '근로시간 단축과 휴일·휴가 확대'(13.6%), '방과후교실 등 초등학생 돌봄서비스 확충'(13.5%), '여성 비정규직·자영업자 출산시 급여지원'(12.7%),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및 '임신·출산·양육노동자 불이익·차별 근절'(각 8.7%) 등이 뒤따랐다.

연구를 진행한 김원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연구위원은 "일터에서 여성들이 비정규직화하는 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사용이 어려워 퇴직해야 하는 직장환경 때문이므로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게 일차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종일제 운영이 제대로 안 되거나 초등학생 자녀는 방과 후 갈 데가 많지 않다"며 "돌봄서비스 운영 현실화와 더불어 야간이나 휴일 근무 시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맞춤형 돌봄시설을 갖추는 정책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