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표, 기자회견서 “‘대량 살처분’ 아닌 인도적 안락사” 주장

박소연 케어 대표 [뉴시스]
박소연 케어 대표 [뉴시스]

[일요서울 | 강민정 기자] 박소연 케어 대표가 ‘안락사 논란’에 대해 “지자체 보호소에서 행하는 ‘대량 살처분’ 방식이 아닌 인도적인 안락사”라고 해명했다.

박 대표는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모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입장을 전했다.

동물권 단체 케어의 대표로 재직 중인 그는 명확한 가이드라인 없이 안락사를 지시하거나 이를 묵인했다는 의혹에 연루돼 도마에 올랐다.

 
박 대표는 안락사 지시와 묵인 등에 관해 대부분 시인했다. 다만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보호소는 집이 아닌 쉼터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선택적 도태가 필요하다”며 “(하지만) 제도가 뒷받침해주지 않는 한 이러한 행위는 숨을 수밖에 없다. (이 행위가) 숨거나 비난에 그치지 않도록 법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고 현재 동물 보호·구조 활동이 제도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상황을 지적했다.
 
박 대표는 안락사 논란이 불거진 이후 횡령, 사체 암매장, 안락사 직접 이행, 개인 명의로 부지 매입 등의 의혹에 대해서도 직접 입을 열었다. 그는 후원금 3000만 원을 변호사 수임료로 지급해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갖는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당시) 다음 스토리펀딩을 통해 1억1000만 원 정도를 모금했다. 후원금이 아닌 외부 수익금”이라며 “이 금액으로 보호소를 설립한 이후 돈이 남아 논의를 통해 변호사 비용으로 사용한 것이다. (회계 장부에) ‘동물보호비’로 올라간 것은 제보자에게 물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케어의) 회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다”며 “(대표가 된) 2002년부터 단체 통장을 내가 관리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동물 사체 처리를 업체에 맡기지 않고 암매장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자연사한 큰 동물들의 사체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사체 처리 업체가 한 마리의 사체만 가져가지 않는다”며 “냉동고가 없거나 고장 나서 쓰지 못할 땐 (직접) 처리하기도 했다”고 인정했다.
 
또 본인이 직접 동물에게 안락사를 했다는 의혹 관련해 “(케어는) 상근 수의사가 없는 기관이었다. 처음에는 외부 수의사를 불러 안락사를 진행했는데, 동물들이 수의사를 너무 무서워해 수의사가 안 오겠다고 하는 상황이 반복됐다”며 “수의사를 부르기 어려울 경우 나와 외부 동물구조관리협회 관계자가 와서 안락사 시켰다. 당시 수의사만 안락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처벌 받은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동물에게 마취제를 투약하지 않는 등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안락사를 시켰다는 의혹에 대해선 “좋은 약을 써서 보내주는 것이 나의 최선이었기 때문에 이 원칙은 지켜왔다. 고가의 마취제를 사용했다”며 전면 부인했다.
 
보호소 설립이 예정된 충주 부지가 박 대표의 개인 명의로 매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그는 “(충주 부지가) 농지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법인 이름으로 안 된다고 했다. 그래서 대표인 내 이름으로 산 것”이라며 “(관련) 공증을 받아 놨다”고 답변했다.
 
박 대표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단체 케어에 관해 “남아서 케어를 정상화시킬 때까지 난 어떠한 직위도 상관없다”며 “여기 남아서 어떤 일이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현재 진행 중인) 고발 조사에 성실히 임해 의혹을 해소하고자 한다”며 “소통 부족으로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표는 “내 잘못일지라도 온 국민이 동물권에 관심을 갖는 이 순간을 기회로 이용하길 바란다. 현실에 맞지 않는 법과 잘못된 관습을 이제 뿌리 뽑아야한다”며 “안락사를 비난하는 대한민국은 이제 안락사를 없앨 이유가 분명해졌다. (오는) 2월 개·고양이 도살 금지가 법제화되도록 많은 분들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