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과 지속] 저자 이정동, 권혁주, 김기현, 장대익 외 / 출판사 민음사

[일요서울 | 김정아 기자] 에너지시스템·인공지능·유전자기술·교육분야의 전문가들이 뭉쳤다. 이들은 서로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들로 제 4지대 영역의 전망과 미래를 심도있게 분석했다. 서울대 23인 석학이 들려주는 ‘한국 미래 프로젝트’라고 이해하면 된다.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 지며 유전자를 편집하는 인공지능세대의 에너지 시스템이 전환점을 이루는 신기술로 공존하는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전 세계적으로 신기술의 실험무대로 알려져 있는 우리나라는 표면적으로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적극성을 보이지만 기술 혁신과 관련된 논쟁이 끊이지 않는 것이 현주소다. 도전속에는 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가 공존하는 가운데 기술결정론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찾고자 서울대 교수진 23명은 ‘한국의 미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수많은 분야 가운데 유전공학,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 새로운 교육 미디어라는 네 가지 혁신 분야에서 끊임없이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사회 인프라에 대한 거대한 변화를 가늠했다.

문이과를 넘나드는 교수진이 공유한 미래사회 전망은 인간과 기술, 과학과 사회는 끊임없이 진화해 간다는 사실이다. 서로 다른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학문을 연구해 온 저자들은 기술과 인간의 공존과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인간이 나가야 하는 방향에 대해 짚어준다.

총 4부로 이뤄진 각 장에서는 유전자 편집의 시대부터 에너지 시스템의 진화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부분을 다루고 교육미디어의 변화를 알아본다. 제1부에서는 대담유전자 공학의 생명 미래에 대해 알아보면서 유전자의 기술과 진화사적 의미를  . 유전공학의 역사적 생명의 미래를 점쳐보면서 유전자 기술의 윤리적인 문제점와 생명윤리법에 대하여 알아봤다.

제2부 에너지 시스템 전환 부분에서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기위한 구조적인 이론을 설명한다. 새로운 시대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기도 한다. 지속과 공존을 위한 한국 전력망을 꼬집으면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책무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봤다. 미래 에너지를 위한 제도의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합리적으로 이루어 지는지 설명하면서 닫힌 체제에서 열린 체제로 가기위한 방법에 대해 독자들이 알기 쉽게 설명해 준다. 

제3부에서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부분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본다. 석학들은 인공지능이라는 신기술이 현재 어디까지 왔는지에 대한 의견을 냈고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짚어준다. 인공지능과 미래사회의 공존 방식에 대한 조언이 이어지면서 로봇의 인간화와 인간의 로봇화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기도 한다. 

제4부에서는 교육미디어의 변화를 알아본다. 배움의 본질을 물으면서 새로운 교육미디어가 무엇인지 독자에게 친절히 설명해 준다. 미래 교육시대에는 무엇이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면서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방식을 택하고 있는 현재의 교육시스템에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기도 한다. 블랜디드 러닝으로 교육 혁신의 시작을 추구하는 이론을 예로 들면서 교육 인터페이스는 어떠한 양상이어야 하는지 짚어주기도 한다.

독자는 기술, 사회, 국가의 미래교육의 모습에 대한 구조적인 시스템을 알아보면서 기술과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의 모습을 점지해 보기도 한다. 책을 통해 서울대 석학 23인이 들려주는 공존과 지속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따라가 보는 과정이 흥미롭게 진행 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