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2주기를 맞은 ‘친노’의 진화가 매우 역동적으로 나타났다. ‘친노’의 의미는 이제 노 전 대통령 생전에 인연 맺은 사람들에 국한치 않는다. 가치 기조로 외연을 넓히려 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향한 철학과 가치를 따르고자 하는 사람들을 광의의 친노로 봐야 한다”고 했다.

노 전 대통령 서거 2주기를 추모해 열린 학술심포지엄 주제도 ‘노무현의 꿈, 그리고 그 현재적 의미’였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1주기 행사의 기조가 애도였다면 2주기 행사는 애도를 넘어 새롭게 다짐을 하는데 있다”고 그 뜻을 새겼다. 노무현 정부에 참여했던 학자들은 그들 학술 정책 연구 단체인 ‘한국미래발전연구원’ 발표를 통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노무현 정신’의 대중화 노력을 하고 있다.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 측이 주도하고 있는 ‘시민주권’은 여기저기로 흩어져 있는 친노 인사들을 하나로 엮어 ‘깨어있는 시민’ 이름으로 힘을 모으는 작업을 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이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을 남겨 달라’는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떠난지 2년, 그가 매달았던 ‘반칙과 특권의 폐지, 국민이 주인 되는 세상’ 깃발을 내걸고 권력 탈환의 열망에 불타있는 사람들이다.

야권의 지난 2년을 되돌아보면 통합보다는 분열하고 갈등하는 기조를 보였다. 특히 ‘친노세력’간의 반목이 심했다. 조그만 차이를 극복하기보다 차이점을 강조하는 뺄셈정치의 화신이었다. 퇴임 후의 노무현 전 대통령 처지는 참담했었다. 곁을 지켜줄 사람이 안 보였다. 민주당이 외면한 채 진보언론들이 앞장서 그를 파렴치범으로 낙인찍었다.

친노 적자임을 자처한 사람들조차 그를 옹호하는 말을 하지 못했다. 노 전 대통령은 철저하게 고립된 채로 짓뭉개져 갔다. 그런데 지금은 진보와 개혁을 말하는 사람이라면 너 나 할 것 없이 노무현을 상찬하고 있다. 친노의 지위는 특정 세력이 독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며 친노 경쟁에 뛰어드는 정치인들이 생겼다.

이런 노무현의 정치적 부활은 재임시의 경제 정책들을 함께 부활시킬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노무현 정부 경제정책의 상징인 종합부동산세 무력화에 집중한 결과 종부세는 사실상 의미 없는 세금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2007년 48만명에 달했던 납세 인원은 2009년에는 21만명으로 격감했다. 이런 현실로 봐서 보유세 강화 정책 등의 복원을 외치는 노무현의 정책 부활 시기가 머잖아 보인다.

그러나 도저히 어쩌지 못할 문제가 있다. 피의자가 검찰 조사를 받다가 자살하는 경우는 대략 두 가지다. 하나는 너무 억울해서 죽음으로 떳떳함을 증명하려는 경우와, 또 하나는 죄가 다 밝혀지면 여러 사람이 다칠까봐 혼자 떠안고 죽음을 택하는 경우다. 전직 대통령의 충격적 자살 사건을 지켜본 국민들 마음은 극심하게 나뉘어져 있다.

지금 권력탈환을 외치는 사람들은 ‘이명박이 죄를 덮어씌워 노무현을 죽게 만들었다’고 떠든다. 내일의 찢어진 대한민국 모습을 본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