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교동·구의동·충정로 등 입주자 모집…내년 초 첫 입주
2022년까지 8만가구 공급으로 청년주거불안 해소계획

[일요서울ㅣ이지현 기자] 서울시가 올해 하반기 역세권 청년주택 2136가구를 공급한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역세권 청년주택'은 2022년까지 8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계획을 최초 승인한 2017년 2월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사업시행인가가 완료된 곳은 약 1만4000가구(37개 사업)다. 

이 기간의 공급목표(3만500가구) 대비 46%에 해당된다. 유관기관 협의 등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6800가구를 더하면 68%(2만800가구)가 된다. 추가로 사업시행자의 의뢰로 시가 사업 가능성을 검토·안내한 7200가구, 사업자가 추진의사를 타진해 자체적으로 사업성을 검토 중인 8300가구도 진행되고 있다. 

실제 입주는 올해 하반기 5개 지역 2136가구(공공임대 319가구, 민간임대 1817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시작으로 2020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서교동, 구의동, 용답동 등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살기 좋은 역세권에 실제 주택 공급이 시작된다. 

올해 하반기 모집공고 대상은 ▲구의동 84실(공공 18실, 민간 66실) ▲충정로3가 523실(공공 49실, 민간 474실) ▲서교동 1121실(공공 199실, 민간 922실) ▲용답동 170실(공공 22실, 민간 148실) ▲숭인동 238실(공공 31실, 민간 207실)로 총 5개 사업이다. 

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을 진행하면서 제기된 사업시행자, 청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 인허가 절차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행정지원 강화, 사업성 강화, 청년들이 부담 가능한 임대료 적정선 도출 등의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 중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임대주택(공공·민간)으로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주거문제뿐 아니라 청년세대의 유입으로 지역 활성화까지 견인할 수 있도록 물리적 세대수 공급을 넘어 신혼부부를 위한 어린이집, 청년창업공간, 커뮤니티 공간, 편의시설 등 다양한 생활SOC(사회간접자본)가 건설된다.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사업자를 대행해 최초 입주자 모집공고, 접수, 신청자 자격확인과 입주대상자 선정 등의 업무를 시행한다. 공사 홈페이지와 신문 공고를 통해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공사 고객센터에 문자알림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입주자 모집공고 시 문자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기획관은 "현재 청년 1인 가구의 37%가 반지하·옥탑방·고시원에 살고 있다"며 "청년세대가 주거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