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경기, 대전·충남·충북은 평균수준

[컨슈머인사이트 제공]
[컨슈머인사이트 제공]

 

[일요서울 | 신유진 기자] 국내 소비자들의 경제 현실 인식에 지역 격차가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광주, 전남, 전북) 지역 거주자가 가장 낙관적인 반면 부산을 제외한 영남(대구, 경북, 경남, 울산) 지역이 가장 비관적이었다. 

특히 호남지역은 모든 연령대에서 평균 이상의 긍정적인 경제인식을 갖고 있어 타 지역이 50 대 이상으로 갈수록 급격히 부정적인 견해가 늘어나는 것과 대비됐다. 호남 거주자들이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 그 중에서도 영남에 비해 ‘경제적으로 살 만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소비자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올해 1월 시작한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매주 1000 명, 매달 4000~5000 명, 1~8월 3만4000명)'를 통해 종합체감경제지수(TCPEI1,Total Consumer Perceived Economy Index)를 산출했다고 19일 밝혔다.

TCPEI 는 지역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지역 점수를 평균 100, 표준편차 31.6 으로 표준화한 점수로 각 지역의 지수가 100 보다 크면 전국 평균보다 긍정·낙관적 전망이, 작으면 부정·비관적 전망이 우세함을 뜻한다.

그 결과 종합체감경제지수는 ▲전남이 110.2 로 가장 높았고 ▲광주가 108.6 ▲전북이 105.9 로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반면 ▲대구는 94.4 ▲경북은 94.5 로 최저 수준이었고 이어 ▲울산 95.3 ▲경남 95.7 순으로 평균보다 크게 비관적이었다.

영호남을 제외한 다른 지역 가운데 ▲인천(101.2) ▲대전(101.1) ▲충북(101.1) ▲서울(100.7) ▲경기(99.9) ▲충남(99.7) ▲부산(99.1)은 100 점 안팎의 평균적인 지수를 보였다.

이밖에 ▲세종은 103.1 ▲제주는 102.8 로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강원은 96.6 으로 평균에 못 미쳤다. 서쪽이 높고 동쪽은 낮은 '동저서고(東低西高)' 현상이 뚜렷했으며, 경인지방과 중부는 평균 수준이었다.

체감경제지수는 연령대 별로 큰 차이가 있다. ▲20 대(102.2) ▲30 대(103.4) ▲40 대(102.8)는 별 차이 없이 평균보다 낙관적이었으나, ▲50 대(97.7)는 다소 부정적, ▲60 대 이상(90.6)은 극히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호남지역은 예외였다. 50 대는 물론 60 대 이상도 100 이상을 기록해 모든 연령대에서 평균을 상회했고, 연령대별 차이도 크지 않아 세대차가 없었다.

60 대 이상은 다른 모든 지역에서 최저 81.4(제주)부터 최고 93.8(충북) 사이로 유독 부정적 인식이 강했지만 호남 60 대는(▲광주 108.9 ▲전북 103.8 ▲전남 100.8)에서는 100 이하가 한 곳도 없었다.

특히 광주 거주자 중 60 대(108.9)는 30 대(106.3)보다 높았고 경제활동의 피크에 있다고 할 수 있는 40 대(109.6)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경남 83.4 ▲경북 84.3 ▲대구 86.8 ▲울산 91.4 에 비하면 최대 25 포인트 이상 차이가 있어 호남 60 대와 영남 60 대는 전혀 다른 경제 환경에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호남간의 차이는 ‘개인경제’와 ‘국가경제’에 대한 전망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보였다. 우선 광주·전남·전북은 두지수(표준화되지 않은 원점수)가 개인경제 전망 79.5, 국가경제 전망 77.7 로 전국평균(개인경제 69.6, 국가경제 61.0)보다 훨씬 긍정적이었다. 

특히 국가경제 전망은 전국평균에 비해 16.7 포인트나 높았다. 또한, 전국적으로 국가경제 전망이 개인경제 전망에 비해 크게 낮았으나 호남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호남에서는 둘 간의 차이가 1.8 포인트로 전국평균 8.6 포인트에 비해 확연히 작았다. 즉 다른 지역보다 국가경제 전망을 훨씬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이런 기대가 개인경제에 대한 전망도 끌어 올렸다.

반면 다른 지역은 국가경제에 대해 극히 비관적으로 보고 있고, 이것이 개인경제에 대한 기대를 끌어 내리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 차이는 경제적이라기보다는 현 정부와 정책에 대한 정치적인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