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시스]

[일요서울 | 강민정 기자] 별 다른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던 하노이 회담 이후 조직 정비와 전략 수립에 고심해온 북한과 미국이 실무협상 재개 관련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경질 이후 ‘새로운 계산법’을 언급하며 누그러진 모양새지만, 양측이 비핵화 범위와 상응조치 수준에 대해 얼마나 의견차를 좁힐 수 있을지가 북미 실무협상의 관건이다.
 
북한은 지난 20일 김명길 외무성 순회국장 명의의 대미 유화 메시지를 발신했다. 김 대사는 그간 북미 실무협상의 새로운 북측 대표로 가장 유력하게 언급된 바 있다. 그는 이번 담화에서 “조미 실무협상 우리 측 수석대표로서”라며 대미 협상 준비에 들어섰음을 드러냈다.

김 대사는 이번 담화에서 “낡아빠진 틀에 매달려 모든 것을 대하던 말썽꾼이 미 행정부 내에서 사라진 것만큼 이제는 보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조미관계에 접근해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현명한 정치적 결단을 환영한다”며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했다.

즉, 트럼프 대통령이 선(先) 비핵화 후(後) 보상 방식의 ‘리비아식 비핵화’를 언급해 온 볼턴 전 보좌관을 경질함에 따라 대북 협상에 이전보다 원활히 진행될 것이란 풀이다.
 
앞서 실무협상 미국 측 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도 지난 6일 미시간대 강연에서 ‘적대 정책’ 극복에 협력할 것이며, 새로운 관계 설립을 위한 ‘중대 조치’에 신속하게 합의하겠단 의사를 드러냈다. 북한의 체제안전 보장 문제 고민을 포함한 ‘새로운 계산법’을 준비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다.

김 대사는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새로운 방법’에 어떤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지 그 내용을 나로서는 다 알 수 없지만, 조미 쌍방이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으며 실현 가능한 것부터 하나씩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라는 취지가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실무협상에서 ‘단계적-동시행동적 비핵화’ 원칙 아래 제도 안전과 발전을 담보할 상응조치를 요구할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요구는 지난해 6월 채택된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새로운 관계 설립 노력 ▲지속·안정적 평화체제 구축 노력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노력 등의 조항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