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2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현황과 방역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김 장관은 중점관리지역을 경기도 북부 6개 시군에서 경기도와 인천시, 강원도 전체로 확대하고 3주간 돼지와 가축 분뇨의 다른 권역으로 이동 및 반출을 금지한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2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현황과 방역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김 장관은 중점관리지역을 경기도 북부 6개 시군에서 경기도와 인천시, 강원도 전체로 확대하고 3주간 돼지와 가축 분뇨의 다른 권역으로 이동 및 반출을 금지한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일요서울 | 조택영 기자]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경기북부 ASF 발생지역과 일부 미발생지역을 농림축산식품부가 경기북부 중점관리권역으로 지정하면서 미발생지역 농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27일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4일 ASF 방역 추진상황 브리핑을 통해 중점관리권역으로 지정된 경기북부 5개 시·군을 크게 확대해 경기북부와 경기남부, 강원 북부, 강원 남부 등 4개 중점관리권역을 설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북부 중점관리권역은 ASF 확진 농장 발생지역인 연천군과 파주시, 김포시, 인천 강화군 외에 포천시와 양주시, 동두천시, 고양시, 인천 옹진군, 강원 철원군 등 10개 시·군으로 묶이게 됐다.

이후 후속 조치로 도축된 돼지고기 외에는 사실상 권역간 이동이 불가능해지면서 발생지역과 함께 같은 권역으로 묶인 포천시와 양주시, 동두천시, 고양시 등 미발생지역 농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들 미발생 지자체는 ASF 확진 농장이 있는 지자체와 인접해 있어 사실상 확산 방지를 위한 완충지대 역할을 하게 된 셈으로, 발생지역 양돈농장들과 도축장, 사료차량 등을 함께 이용하게 돼 타 권역에 비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이 같은 불안감은 전날 양주시에서 2건의 ASF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더욱 가중된 상태다. 다행히 1건은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아직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현재 경기북부 중점관리권역에는 김포시와 포천시, 연천군에 민간 도축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양돈농가들은 권역 내 도축장만 이용 가능하다.

돼지 29만 마리를 사육 중인 포천시의 경우 지역 도축장에서 도축 수요를 모두 감당하기 어려워 인근 연천 도축장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파주지역 양돈농장 역시 인접한 김포 도축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발생지역 돼지 출하차량과 미발생지역 돼지 출하차량이 한 곳에 모이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연천지역에서는 지난 17일 발령된 48시간 일시이동제한 조치가 종료된 직후 인근 지역에서 돼지를 싣고 도축장에 온 축산차량들이 종종 목격되기도 했다.

ASF 확산 추세에 따라 24일 정오를 기해 재발령된 일시이동제한 조치가 이날 다시 연장되면서 28일 정오까지는 그나마 안전한 상태지만, 이동제한조치가 풀리면 포화상태인 양돈농장의 출하 수요에 따라 출하차량이 도축장에 몰릴 전망이어서 ASF 확산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상태다.

방역당국은 도축장 출입차량에 대해 3차까지 소독시스템을 운영하고, 출하 시 이동승인서와 예찰검사를 받고 나가는 만큼 도축장 이용을 통한 확산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스티커 부착과 소독 필증 확인 등 여러 번의 확인 과정이 있고, 발생지역 10㎞ 이내 농장과 역학관계 농장은 격리 상태가 유지되는 만큼 도축장 이용으로 인한 위험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미발생지역이 포함된 것은 확산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를 요소를 감안해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