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권(46·경남 김해갑) 한나라당 의원은 김해민주청년회 회장, 김해민주화운동협의회 공동의장, 김해YMCA 창립발기인 및 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김해 민주화운동의 선봉에 섰다. 김해 출신의 현직 대통령이자, 과거 민주화운동의 동지였던 노무현 대통령의 권유로 정치에 입문했다. 그러나 낙선, 김 의원은 고민 끝에 94년 신한국당에 입당했고, 95년 경남도의원에 선출됐다. 그는 “정치는 당이 아니라 사람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소라는 수식어를 달고 교육사회위원장, 부의장으로 활동한 그는 지난 17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또 고배를 마셨다. 이후 지난해 재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 17대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음주운전은 해선 안 된다. 그러나 대통령의 사돈도 사람이기에 실수로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권력기관이 개입됐다는 데 있다. 단순 음주운전 사고였음에도 은폐를 위한 또 다른 은폐가 진행됐다.”김정권 의원은 최근 경찰청장 인사청문회장에서 또 상임위에서 노무현 대통령 사돈의 음주운전 축소·은폐 사건을 문제제기했다. 재수사 등으로 일단락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역시 아이러니라는 김 의원의 주장이다. 피해자이기도 한 임 경사만 수사한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것. 김 의원은 전형적인 하위직 공무원의 ‘과잉충성’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은폐하고 조장했던 윗선은 면피의 대상이며, 마치 공소시효가 지난 것처럼 얘기가 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때문에 이들이 청와대에 약점을 잡힌 게 아니냐는 의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 김 의원은 지방의회와 국회라는 역할에 있어 의사진행, 질의, 행정견제 기능 등 유사한 점이 많다고 했다. 때문에 지방의회 경험이 현재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한다. 김 의원은 3선의 경남도의원 출신이다. 최연소 상임위원장, 최연소부의장 등의 화려한 이력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입지전적인 인물로 통했다. 특히 헌정사상 최초 대법원장 인사청문회를 준비한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김 의원은 “갓 들어온 새내기 의원에게 청문위원을 맡긴 지도부도 지방의회 경험을 인정한 것이 아니냐”며 웃었다.

당시 김 의원은 대법원장 후보의 재산형성 과정을 심층 추적해 도덕성을 검증하고 정치권력으로부터 사법부의 독립 의지에 대해 따져 물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3번의 청문위원 활동, 그리고 국정감사 및 상임위에서 김 의원이 보여주고 있는 모습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청문회와 관련 “고위공직자의 권력집중은 피해갈 수 없다”면서 “업무능력과 자질을 검증하는 작업은 철저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꿈을 갖고 있는 후배 공직자들에게 공직자로서의 자세, 그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 높은 도덕성이 바로 그것이다. 때문에 아쉬움도 크다. 청문회 결과가 국민 일반의 감정과 맞아 떨어짐에도 임명권자의 의지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 김 의원은 거듭 “청문회 과정은 엄격하고, 그 결과는 존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이 상임위 활동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이유는 같은 당 소속 단체장에게도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번 행정자치부의 서울시 감사계획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국정감사, 서울시의회, 감사원을 통해 서울시는 수 차례 감사를 받아왔다. 서울시에 대한 행자부의 감사가 7년동안 진행되지 않은 이유도 감사원 등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다. 이번 행자부의 무리한 감사 추진은 앞서의 관행을 무시하겠다는, 정략적 발상에 불과하다.”김 의원이 소속 정당을 떠나 가감없는 문제제기에 나서는 이유는 그의 정치 이력과 무관치 않다. 김해에서 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그는 현 여권 인사들과도 친분이 두텁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노무현 대통령. 김 의원이 김해 민주청년회 회장으로 활동할 당시 노 대통령과 민주화운동의 선후배로서 동지로서 인간적인 신뢰를 쌓아왔다. 인간적 관계와 정치적 관계는 철저히 분리돼야 한다는 게 김 의원의 지론이다. 김 의원은 정치적 이슈보다 국민의 생활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생활법, 생활정치에 주력하고 싶다고 전했다. 거주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전입신고를 할 수 있는 주민등록법, 자동차 이전과 관련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자동차관리법 등을 대표발의한 이유이기도 하다. 공직에 처음 발을 디딜 때 세웠던 ‘불의와 타협하지 않겠다’, ‘청렴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 늘 ‘처음처럼’이라는 말을 새긴다는 김 의원은 지방의회에서 국회로 활동반경을 넓힌 것에 대해 “봉사의 개념이 커진 것”이라고 정리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