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사이버 보안관제센터’의 보호 대상기관인 15개의 행안부 소속·산하기관. 이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대응·대처해야 하는 센터에 전산직 공무원 1명만이 근무하고 있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제공: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행정안전부 사이버 보안관제센터’의 보호 대상기관인 15개의 행안부 소속·산하기관. 이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대응·대처해야 하는 센터에 전산직 공무원 1명만이 근무하고 있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제공: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일요서울 | 강민정 기자] 범국가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사이버 위협에 대해 신속한 대응조치와 공동대처 기반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던 ‘행정안전부 사이버보안 관제센터’가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단 지적이 대두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로부터 받은 ‘사이버보안 관제센터 운영 현황’에 따르면 올해 5월 문을 연 센터는 전산직 공무원 1명이서 운영하고 있을 뿐, 행안부와 15개 소속·산하기관에 대한 전문 관제요원은 한 명도 근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행안부 본부 및 소속·산하기관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일평균 약 1766건, 3개월 간 총 21만3715건의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다. 세부적으로는 ▲웹 취약점 551건 ▲정보수집 1596건 ▲악성코드 20만9813건 ▲비인가접근 1755건 등이다.

현행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 제10조 2항은 국가·공공기관 보안관제센터를 운영할 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정한 보안관제 전문기업 17개에 한정해 관제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소 의원에 따르면 행안부는 올해의 경우 센터 운영 예산이 전혀 마련돼 있지 않으며 내년 예산으로 3억3800만 원을 확보해 전문 인력을 배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타 부처 사이버 보안관제센터의가 외주 운영 예산으로 연간 8~18억 원을 투자하고, 13~18명의 운영 인력을 배치함을 고려했을 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소 의원은 “사이버안보가 현대사회에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사이버 공격의 빈도와 강도가 예측할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함을 감안해야 한다”며 “사이버 공격 발생 시 원인 분석과 사후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별도 인력과 예산을 갖춘 조직 구성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