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유명 여성 여배우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불거진 게 악성댓글 논란이다. 악플러라고도 불리는 이들이 익명에 기대어 무차별적인 욕설과 비방 인신공격은 도를 넘은 지 오래다. 기자 생활 20년 가까이 한 필자 역시 댓글부대의 팩트 공격도 두렵지만 인신공격성 글을 보면 지천명 나이에도 상처를 입는다.

가슴을 후벼파는 악플러의 한 줄 댓글로 상처를 입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게 20대 여성이라면, 그리고 영혼이 맑은 사람이라면 극단적인 선택을 부를 수도 있다는 게 이번 사건이 주는 뼈아픈 교훈이다.

대책으로 거론되는 것을 보면 인터넷/온라인 실명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높다. 필자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익명에 기댄 촌철살인보다 실명에 기댄 투박함이 낫다. 그런데 우려스러운 것은 실명제를 도입할 경우 자칫 표현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고 싶은 말이 특히 권력자, 상사가 대상일 경우 참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인신공격성 댓글이나 명예훼손 관련해 처벌 규정을 높이는 것도 한 방안이다.

한편으론 해답을 정치권에서 찾으면 어떨까. 정치권 역시 연예계 못지않게 악성 댓글이 넘쳐난다. 진영에 따라 정치인 호불호에 따라 집중적으로 공격을 받는다. 정치인은 공인이기에 연락처, 주소까지 알아낼 수 있어 문자 폭탄이나 협박 전화, 집 주소까지 알아내 협박 소품을 보내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하지만 정치부 기자 20년 가까이 했지만 악성댓글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정치인은 찾아보기 힘들다. 왜 그럴까. 기본적으로 정치인은 성별, 나이를 떠나 맷집이 세다. 얼굴이 두껍다. 웬만한 원색적인 비난을 해도 관심과 애정의 표현으로 치환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오죽하면 ‘무플보다 악플이 낫다’는 우스갯소리가 횡행할까.

지지자도 중요하지만 안티팬도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짙게 깔려 있다. 인지도로 먹고사는 정치인의 숙명이다. 동시에 정치인은 소통의 창구를 열어놓는다. 통상 정치인 관련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글을 올릴 경우 실명제를 도입한 사례가 별로 없다. 대신 자유게시판을 통해 여론을 청취한다. 당도 마찬가지다. 예외는 당원 게시판은 실명제로 운영한다. 민감한 얘기가 실시간으로 외부에 공개되는 것을 차단하기위해서다.

또한 청원게시판/정책 제안 게시판을 통해 건전 토론을 활성화하고자 유도한다. 대표적인 것이 청와대 청원게시판이다.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말도 안 되는 사적인 청원도 많지만 민심을 엿볼 수 있는 제안도 부지기수다. 실명제로 운영된다.

온라인 실명제를 도입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토론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 한 여성 연예인이 악플러로 심적 고통을 호소했다면 연예인 공식 청원게시판을 만들어 찬반을 벌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기보다는 방송·기획사·연예매체 등을 중심으로 공론화 창구를 만들어야 한다.

이번 여배우의 극단적인 선택을 한 배경으로 많은 추측이 나돌지만 그 중 하나는 우울증이라는 분석이다. 우울증이라는 게 약물 치료가 가능하지만 결국은 공감하는 많은 사람들이 해당 연예인의 편에 서서 응원을 해주는 게 가장 큰 치료약일 것이다.

일대 다의 대결은 공정하지 않다. 상처입은 사람을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보이지 않는 다수의 보이는 응원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혼자서 싸우게 해서는 안 된다. 이번처럼 공인과 사인 사이에 놓인 그들을 위해 연예인 공식청원 게시판을 제안해 본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