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인 민주당과 청와대가 총선과 맞물려 이뤄지는 개각 인선과 시기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모습이다. 조국 법무부장관이 사퇴한 이후 공석인 법무부장관 인선을 두고 개각을 언제, 누구를 해야 되느냐를 두고 입장 차이가 크다. 

특히 ‘비문’의 추미애 전 대표가 차기 법무부장관 후보로 급부상하면서 당청 간의 시각 차는 극명하게 드러났다. ‘추미애 법무부장관 후보설’의 근원지는 당의 핵심 관계자였다. 당이 비공식적으로 청와대에 요구했다는 게 핵심이다. 그러나 청와대에서는 처음에 ‘요청받은 적 없다’고 했다 다시 ‘확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청와대가 한 발 뒤로 빠지자 민주당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상황이 묘하게 흐르자 추미애 전 대표 측에서는 ‘총선 출마 의지가 강하다’고 반박했다가 추후에 말을 바꿔 “당에서 청와대에 요청을 했고 청와대에서도 요청이 왔다”며 사실상 추 의원의 결심만 남았다고 했다. 

조국 전 장관이 사퇴한지 한 달이 지났다. 추미애 카드가 부상하기 전 전해철 의원이 법무부장관으로 유력했다. 하지만 전 의원은 총선 출마에 방점을 찍고 혹여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대법원에서 유죄를 받을 경우 경기도지사 보궐선거 출마까지 감안할 경우 골치 아픈 법무부장관행은 그렇게 매력적인 카드는 아니다. 

전해철 카드가 잦아든 후 추미애, 이종걸, 박범계 등 법조인 출신 국회의원들이 거론되다 결국 추 전 대표를 당에서 제안한 셈이다. 내년 총선을 진두지휘해야 할 여당 입장에서는 법무부장관이 누가 되느냐보다는 ‘청문회 불패신화’를 이어가는 현역 중 적당한 인사로 조기에 매듭짓고 싶은 분위기다. 

조국 사태를 보면서 개각이 늦어질 경우 인사청문회에 따른 후폭풍은 청와대가 아닌 당이 직격탄을 맞을 공산이 높기 때문이다. 가급적 11월 내 인선을 마치고 12월에 청문회를 끝내고 총선을 맞이하고 싶은 게 당의 솔직한 심경이다. 설훈 의원이 내년 1월 전면 개각 발언은 당청에서 ‘뜨악’한 반응을 보이는 배경이다. 

반면 ‘검찰 개혁’에 목숨을 걸고 있는 청와대 입장에서 추 전 대표를 법무부장관으로 기용하는 데 우려감이 없지 않다. 추 전 대표 체제 시절 문 대통령과 친문 사이 ‘불협화음’이 적지 않았다. 게다가 ‘판사’ 출신에 비문 대표주자인 추 전 대표가 법무부장관으로 가서 ‘비법조인’ 출신이던 조국 전 장관처럼 강력한 검찰 개혁 의지를 보여줄지도 의문이다. 

윤석열 검찰총장 인선처럼 뒤통수를 맞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다. 당연히 청와대에서는 차기 법무부장관 인선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당 입장에서야 개각이 늦어질 경우 총선에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지만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느냐’는 입장이 강해 보인다. 

총리 인선도 당청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낙연 구원투수론’은 당에서 나오는 얘기다. 하지만 총리 후임 문제는 인사권자인 대통령 책임이다. 현재 하마평으로는 원혜영, 김진표 의원부터 김현미, 유은혜, 진영 장관까지 법무부장관 인선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에서는 인사청문회를  무사히 통과할 인물을 중심으로 민주당 현역 정치인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에서는 총리가 대통령 부재 시 국정을 책임져야 한다는 점에서 자기사람,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쓰려는 경향이 강하다. 정치인 기본 속성상 ‘튀는 성향’이 강하다. 이 총리는 그 점을 숨겨왔기 때문에 최장수 총리가 됐다. 개각은 청와대 결심 사안이다. 그러나 잘못된 인사를 할 경우 내년 총선 패배와 직결될 수 있다. 총리, 법무부장관 후보자 이름이 돌고 도는 이유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