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사직을 구한 불멸의 명신 이제현

 

한편, 여기는 이제현의 수철동 집 사랑방.
홍건적을 물리친 전공(戰功)으로 전리판서가 된 최영이 인사차 이제현의 수철동 집을 방문, 개경탈환 이후의 종사(宗社)를 걱정하고 있었다. 
최영은 김용의 난에 대한 전말(顚末)과 정세운의 비참한 최후에 대해 이제현에게 소상하게 보고했다. 
이를 전해들은 이제현은 신음소리를 내며 한탄했다. 
“으음. 오늘의 모든 백성들이 여기서 편히 먹고 잠잘 수 있는 것이 누구의 공로인가? 강감찬 장군에 버금가는 전공을 세운 구국의 영웅이 한낱 역신의 음모로 억울하게 죽음을 당하다니……. 정 장군과 개경탈환 이후 만날 것을 약조했는데……. 하늘도 무심하구나. 이것은 고려의 비극이야…….”
“그러 하옵니다. 어르신.”
그리고 이제현은 정세운의 죽음에 대해 의문을 품고 최영에게 물었다. 
“최 장군, 과연 김용 한 사람의 계획으로 정세운 장군을 죽일 수 있었겠는가?”
최영이 맞장구를 치며 대답했다.
“소장도 그 점에 대해서는 시중 어르신과 생각이 같사옵니다.” 
생각이 여기까지 미치자 이제현은 다시 말을 이어갔다.
“정세운 장군을 살해한 배후에는 어떤 형태로든 금상이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네. 금상은 강화도에 유폐된 15세 밖에 안 된 조카 충정왕을 독살했고, 또 다른 조카 석기(釋奇, 충혜왕의 서자)를 귀양 보내면서 수하를 시켜 수장시켜버린(그러나 석기는 끈질기게 생존해 있다가 마침내 우왕 때 처형됨) 비정한 분이시네. 뿐만 아니라 인당 장군에게 요동 공격을 하명한 후 원 황실의 문책을 받고나서 도리어 요동 공격의 누명을 씌워 참수한 잔혹한 군주가 아니시던가…….”
이제현은 미구에 다가올 환란을 생각했다. 그리고 고려의 종말을 예감하고 다시 최영에게 담담하게 말했다. 
“최 장군, 전쟁에서 흘린 피가 아직 마르지도 않고 승리의 노랫소리가 아직 그치기도 전이네. 태산 같은 공로를 칼끝에 피로 물들게 해서 되겠는가?”
“그렇사옵니다. 안우, 김득배, 이방실은 모두 전공(戰功)을 세운 고려의 충신들이었습니다.”
“향후 무신정권을 방불케 하는 무장 세력들간의 주도권 쟁탈전을 방관한다면 필시 피비린내 나는 살육이 계속 벌어질 것이네. 자네는 유능한 장수들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주게나…….”
“소장 혼자의 힘으로 어떻게 난마처럼 얽히고설킨 정국을 풀어갈 수 있겠사옵니까. 시중 어른께서 많은 가르침과 지혜를 주셔야지요.”

이제현은 목소리에 힘이 가득하고 가슴에 기개가 넘처흐르는 최영의 얼굴을 뚫어지게 쳐다봤다. 그리고 최영 장군이야말로 군인 중의 군인이요 향후 고려 조정의 중심이 될 인물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이제현은 최영을 늘 강하게 담금질하고 있었던 것이다. 
오늘도 이제현은 말미에 최영에게 자중자애(自重自愛)를 당부하는 말을 잊지 않았다.
“최 장군, 칭기즈칸이 자신의 핵심 참모 체베 장군이 전쟁에서 승리했을 때 그를 포상하는 대신 추상같이 경고한 일화를 알고 있는가?”
“…….”
그때 칭기즈칸은 이렇게 말했지.
“절대로 우쭐대지 마라. 몽골고원의 맹주들이 패망한 것은 그들이 교만했기 때문이다. 미인과 명마는 누구나 갖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것만 쫓다 보면 명예도 지위도 다 잃는다.”
최영은 이제현의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교만하여 적을 가볍게 보는 군대는 반드시 패할 수밖에 없다(驕兵必敗 교병필패)’는 병법의 가르침이었다. 최영은 그래서 이제현을 마음으로 존경하고 잘 따랐다. 

홍건적이 쓸고 간 고려 도성은 예전의 호화로움이 사라졌고, 거리는 참담함 그 자체였다. 성곽은 허물어졌고 성문은 불에 탔다. 민가는 대부분 폐호(閉戶)가 되어 텅텅 비어있었다. 때가 되어도 연기가 피어오르는 굴뚝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길목마다 백골이 산처럼 쌓여 있어 목불인견(目不忍見)이었다. 
전쟁의 상흔은 이처럼 비참한 참상을 고려 백성들에게 안겨주었다. 그 상흔을 지우는 작업도 당연히 백성들의 몫이었다. 도성 인근 백성들은 도성 안에 산을 이룬 10만 여구의 시신들을 모두 끌어내 파묻고 불에 태웠다. 
이어 조정에서는 공민왕이 몽진을 갔던 복주(안동)를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승격시켰고, 홍건적이 침입하자 가장 먼저 항복한 수원은 부(府)를 군(郡)으로 격하시켰다.
1362년(공민왕11) 8월. 이제현은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홍건적의 침입 때 노구를 이끌고 공민왕을 청주까지 호종한 공로였다. 그러나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었다. 백척간두에 서있는 고려의 앞날이 이제현을 너무 옥죄었기 때문이다. 조국에 대한 걱정은 이제현에게 고황(膏)의 병으로 다가왔다. 그는 다시 깊은 상념에 잠겼다.

‘아, 홍건적의 침입은 원나라와 연합할 필요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조정은 6년 전부터 꾸준히 추진해왔던 반원정책을 포기하였다. 작년에는 정동행성을 다시 설치하였고 올 초에는 관제도 개혁정치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았다. 서북 지방과 점령당한 개경의 피해는 막심했으며, 군사들을 무장시킬 무기와 피복, 군량 마련 등 전쟁 준비로 인한 출혈도 컸다. 이처럼 홍건적의 침공은 고려에 인적 물적으로 막대한 타격을 주어 다시 회복하기 어    려운 상황을 만들었다. 이러한 국운 쇠퇴가 450년을 이어온 고려 왕조의 멸망을 재촉하는 원인은 되지 않을 것인지…….’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