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이 곧 취업` 인식 커…. 정부보조금 수령 차원 주장도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대학 입시가 한창인 가운데 대학에서 구애를 받고 중책을 맡는 기업인들이 늘고 있다. 과거 연구에 매진하던 대학들이 최근 산업계와의 교류나 기술협력에 뜻을 같이하면서 이 같은 현상은 두드러진다.

 
또한 `입학이 곧 취업`이라는 입시생들이 늘면서 산업계 인사를 모시는 대학들의 인기도 덩달아 올라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대학일수록 이 같은 현상이 뚜렷하다. 대학들도 이 열풍을 이어갈 채비를 하면서 기업인들의 이직시장도 넓어지고 있다.

 연구 몰두하던 대학 산업계 교류 위해 기업인 선호
 단순 강의 벗어나 실무교육 중심 인재 양성 활발

대학전문 매체들에 따르면 대학들이 기업 임원 모시기 바람이 한창이다. 한국대학신문은 최근 삼성 임원 출신이 대학의 중요 직책을 맡으며 자리를 옮기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 4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으로 있던 국양 전 서울대 교수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총장으로 취임했다.

최근에는 한양대가 국내 대학 최초로 인공지능(AI) 솔루션센터인 ‘한양AI솔루션센터’를 열면서 삼성그룹에서 AI 서비스 개발을 이끌었던 강상기 삼성전자 AI개발그룹장을 영입했다.

 
산학협력 업그레이드 나선 대학
 
고려대도 올해 초까지 삼성그룹 미래기술육성센터장 겸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사무국장을 맡았던 장재수씨를 고려대 기술지주회사 대표로 영입했다. 기술지주회사란 대학이 보유한 기술 및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산학협력단이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재산권을 이용해 만든 회사다. 기술지주회사에서 창출된 수익은 대학에 재투자 된다.

서울대, 연세대, 중앙대 등도 내년에 AI대학원을 개원하면서 이곳으로 영입될 인사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린다. 서울대는 구글 출신 연구원을 신임 교원으로 채용했고 머신러닝 분야 등 해외 연구진 4~5명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연세대는 중국 출신 구글 연구원 등 AI 전문가 4명을 신임 교원으로 영입했다.

이 과정에서 연세대는 AI 교육·연구에 투자하기 위해 100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다. AI 연구를 위한 서버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연세대 AI대학원은 AI와 다른 산업과의 융합에 중점을 둔다. AI를 통한 산업문제해결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석·박사 과정 신입생 25명을 모집하고 있다. 연세대는 내년 학사 과정에서도 전체 학생이 AI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강의 프로그램을 짜고 있다.

대기업 출신 전·현직 CEO와 임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강의도 눈길을 끌고 있다.
중앙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은 빅데이터·자산관리 등 다양한 수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CEO `옴니버스 강의`는 호평 일색이다.

특화된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띤 `Leader MBA 과정`은 이론 강의 외에도 다양한 산학협력을 통한 실무·사례·현장실습 위주의 교과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중앙대 관계자는 "`경영사례분석` 수업이 대표적인 예"라며 "KCMC(Korean CEO`s Association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와의 MOU를 통해 외국계 기업 전·현직 CEO를 초빙해 옴니버스식 강연이 이뤄지는 이 수업은 실무의 생생한 경험담을 듣고 질의할 기회를 재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개설됐다"고 전했다.

실무 경험이 풍부한 기업체 인사들이 제공하는 강의는 고부가가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플랜트·해양 등 전통 제조 산업군이 고급 인재를 수혈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는 평가다.

 
산학협력 성과가 정부 지원금에 큰 영향
 
그렇다면 대학들이 기업인에게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과거 교육이나 연구에서 주를 이뤘던 대학의 기능이 산업계와의 교류나 기술협력도 주요한 역할로 떠오르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국내외 주요 대학들이 이공계 전공 교수들을 총장에 선임한 데 이어 학내 주요 직책에 산업계 인사들을 끌어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 육성 채비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정보산업연합회가 운영하는 ‘ICT 학점연계 프로젝트 인턴십’(이하 학점연계 인턴십)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사업은 성장 가능성이 우수한 ICT기업 R&D 프로젝트에 대학생이 참여해 학기 중 인턴십을 수행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받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2015년 시작돼 5년째 운영되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는 건국대, 금오공대, 삼육대, 상명대,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세종대, 숭실대, 인천대, 전북대, 한국산업기술대 등 37개교 100여 명의 학생들이 60여 개 연수업체에서 현장실습을 하고 있다. 학점연계 인턴십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다.

학점연계 인턴십은 학생들의 취업난과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는 데도 이바지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학점연계 인턴십을 통해 총 576명의 연수생이 321개 중소기업에서 인턴십을 수행했고 이 중 103명이 해당 연수기업으로 취업했다.

일각에서는 대학들이 기업체와 산학협력을 맺기 위해 과열 양상을 띠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이유에 대해 산학협력 성과가 정부 지원금을 따내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