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률
지역별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률[부동산114]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되면서 매수ㆍ매도자 모두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주춤해졌고 교육 제도 개편 이슈와 학군수요 움직임으로 수요가 이어졌던 양천구도 관망세가 역력했다. 급매물도 아직까지는 눈에 띄지는 않았고 시세를 하향 조정하는 모습도 적었다.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계약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사례도 늘었다. 강남권을 중심으로 대책 발표 이후 시장 분위기가 급변하는 모습이다.

서울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서울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부동산114]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0.23% 올랐다. 재건축이 0.31% 올랐고 일반 아파트는 0.22% 상승했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도 각각 0.03% 올랐다. 대책 발표 이후 주택시장 분위기는 관망세가 형성되고 있지만 매물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 추세는 이어졌다. 대책에 따른 아파트값 변화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전세시장은 학군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12.16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면서 서울이 0.12%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은 각각 0.2%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강남권을 비롯해 양천 등이 12.16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시장 분위기가 급변했지만 매도호가를 조정하는 모습은 크지 않았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지역으로 추가 지정된 강서, 노원, 동작, 성북 등도 정책 실효성을 아직까지는 크게 체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지역별로는 ▲강동(0.65%) ▲송파(0.57%) ▲관악(0.28%) ▲서초(0.28%) ▲구로(0.25%) ▲동작(0.24%) ▲광진(0.21%) ▲강남(0.20%) 등이 올랐다. 강동은 대책 발표 이전 매물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 분위기가 반영되면서 명일동 삼익그린 11차와 삼익그린2차, 둔촌동 둔촌주공, 암사동 롯데캐슬퍼스트 등이 1000만 원~5000만 원 올랐다. 송파는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과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잠실엘스, 신천동 장미1,2차 등이 2000만 원~5000만 원 상승했다.

매매

신도시도 아직까지 매도가격을 내리는 등의 대책 영향이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일산(0.08%) ▲중동(0.06%) ▲분당(0.04%) ▲동탄(0.03%) ▲위례(0.03%) ▲판교(0.01%)가 상승했다. 일산은 조정대상지역 해제 이후 거래가 이어지면서 올랐다. 일산동 후곡15단지건영, 후곡8단지동신, 마두동 강촌8단지우방, 주엽동 문촌17단지신안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중동은 중동 은하동부, 은하대우, 금강주공이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분당은 일부 단지에서 관망세가 형성되는 분위기지만 가격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정자동 로얄팰리스, 분당동 장안건영, 수내동 양지1단지금호 등이 1000만 원~5,0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김포한강(-0.02%)은 매수세가 줄면서 하락했다. 경기ㆍ인천도 부동산 대책 발표됐지만 매도 호가를 낮추지는 않았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으로 추가 지정된 광명, 과천, 하남도 지난주와 별반 다르지 않은 분위기다. 지역별로는 ▲광명(0.10%) ▲수원(0.10%) ▲안양(0.08%) ▲남양주(0.06%) ▲성남(0.06%) ▲인천(0.02%) ▲고양(0.02%) 등이 올랐다. 광명은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소하동 휴먼시아5단지, 철산동 주공12단지, 하안동 광명두산위브트레지움 등이 500만 원~750만 원 상승했다. 수원은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진행되면서 올랐다. 세류동 수원LH센트럴타운3단지, 매탄동 매탄주공4단지, 권선동 권선SK뷰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매수세가 주춤해진 ▼이천(-0.02%) ▼화성(-0.01%)은 하락했다.

전세

서울은 학군수요 등의 영향으로 강남권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지역별로는 ▲서초(0.38%) ▲강남(0.26%) ▲강서(0.18%) ▲성북(0.18%) ▲강동(0.17%) ▲종로(0.14%) ▲동작(0.12%) 등이 올랐다. 서초는 학군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전세 물건이 없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포동 래미안반포퍼스티지, 반포자이, 아크로리버파크반포, 반포힐스테이트, 신원동 서초포레스타6단지 등이 1500만 원~5500만 원 올랐다. 강남은 학원가가 몰려 있는 대치동 선경3차, 쌍용2차,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 한보미도맨션1,2차 등이 2500~7500만 원 상승했다. 강서는 전세 물건 부족으로 염창동 삼성한마음, 등촌동 대림, 화곡동 우장산IPARK,e편한세상 등이 500만 원~2000만 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김포한강(0.08%) ▲동탄(0.04%) ▲분당(0.02%) ▲판교(0.01%) 등이 올랐고 ▼산본(-0.12%) ▼중동(-0.02%)은 하락했다. 김포한강은 대규모 단지인 장기동 초당마을중흥S-클래스리버티가 500만 원가량 상승했고 동탄은 청계동 동탄2호반베르디움더클래스가 면적에 따라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반면 산본은 전세 수요가 주춤해지면서 산본동 목련우방, 한국공영과 한라주공4단지(2차), 금정동 충무2단지주공 500만 원~2000만 원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광명(0.05%) ▲수원(0.05%) ▲용인(0.05%) ▲고양(0.03%) ▲안양(0.01%) 등이 올랐다. 광명은 소하동 휴먼시아5단지와 철산동 주공13단지가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수원은 정자동 풍림, 망포동 망포마을현대아이파크2차, 영통동 청명건영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입주 여파가 여전한 ▼시흥(-0.01%)과 전세 수요가 크게 감소한 ▼남양주(-0.01%)는 하락했다.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관망세가 형성되고 있다. 대출규제 강화로 대출이 막히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추격 매수심리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금번 대책으로 보유세 부담과 대출규제로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수요의 진입은 어느 정도 차단될 것으로 보이며 내년 6월까지 양도세 중과 한시 면제 등의 대책으로 다주택자들의 매도 움직임도 예상되고 있다. 다만, 비규제지역이나 대출규제가 덜한 9억원 이하 아파트 매수로 이동하는 이른바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한편 수도권 전세시장은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다. 자사고 폐지 등 교육 정책 변화와 분양가 상한제 지정으로 청약 대기수요가 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 전세시장의 불안감은 더 커질 수 있다. 내 집 마련 수요가 당분간 임차 시장에 머물면서 교통 여건 및 학군이 우수한 지역이나 신축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