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한 교수
신용한 교수

지난해 소위 ‘조국대전’ 이후 패스트트랙에 의한 선거법과 공수처법 및 검경 수사권 조정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내리 3연패를 당한 범우파 야권 진영에서 문재인 정권의 독주에 한계를 느낀 나머지 ‘반문연대’를 매개로 한 ‘야권대통합’ 논의가 거세게 일더니 마침내 박형준 ‘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혁신통합추진위원회(약칭 혁신통추위)’가 출범을 한다.

오랜 산고 끝에 혁신통추위가 출범을 알리자마자 새보수당은 유승민 의원이 밝힌 소위 ‘통합 3원칙’을 한국당에서 받지 않으면 혁신통추위에 참여할 수 없다고 하고, 소위 ‘골수 친박’측에서는 “유승민 세력과의 통합은 절대로 안 된다.”고 반발하는 등 앞으로 넘어야 할 산도 많다.

통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고자 한다는 것은 정치영역에서의 ‘비즈니스적인 운명공동체’가 된다는 뜻이다. 즉, 동업(同業)자가 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이해관계가 다른 수많은 참여 집단 구성원들이 첨예하게 갈린 이견을 극복하고 ‘보수대통합’이라는 동업을 통한 시너지를 발휘하려면 각 진영은 앞으로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추고 협상을 해 나가야 할 것인가?

초단기에 성과물을 내야만 하는 동업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가치평가 기준’과 ‘시스템’ 없는 동업의 문제점을 극복해야만 할 것이다. 우선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는 첫출발인 혁신통추위를 제대로 꾸리는 것에서 승부가 갈릴 것이므로, 누가 봐도 공감할 수 있는 인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하고 각 진영의 이해관계를 충실히 대변하는 혁신적인 인사들로 위원회를 꾸려 공정하게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위원회에서는 혁신과 통합의 가치를 충실히 반영하여 함께하고자 하는 미래 가치와 비전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하고, 확고한 정치적 의도와 견해를 밝히는 매니페스토(Manifesto)로 국민과 공감할 수 있어야만 한다.

다음으로, 친한 사람이 아니라 “부족함을 채워 줄 수 있는 사람”이 동업 파트너로 최적이라는 당연하고 교과서적인 원칙에 충실해야만 한다. 즉, 동업의 궁합(宮合) 측면에서 파트너 개념은 적과 동지의 구분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점이다. 본인의 성향이 위험감수형(risk taker)인 공격적 투자자라면 위험을 완화(hedging) 시킬 수 있는 위험회피형(risk averter) 투자자와 결합하는 것이 시너지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비즈니스 원리에서 착안하면 의외로 답이 쉬울 수도 있다.

즉, 탄핵 찬성파냐 반대파냐로 극명하게 분열되어 왔지만, ‘반문연대’라는 기치 아래 승리를 거두기 위해서는 집토끼만 고집해서는 안 되고 중도 외연 확장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해야만 하는 것이다. 안철수 전 대표에 대한 관점도 마찬가지다. 기준점만 조금 달리해 보면 서로가 서로에게 “부족함을 채워 줄 수 있는 소중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새보수당에서 ‘통합 3원칙’을 고수하면서 한편에선 “지분 챙기기 샅바싸움 아니냐?”는 비판도 일듯이 통합에 있어서는 늘 지배구조와 지분이 큰 관심 사안이다. 

홍콩의 세계적 거부 이가성(李嘉誠, 리카이싱)의 유명한 말 중에 “49:51 원칙”이 있다. “비즈니스로 나를 찾아오는 상대방에게 51%를 내주니 그 다음부터 좋은 프로젝트는 최우선적으로 나를 찾아오더라”라는 말이다. “흉년에는 남의 땅을 사지 마라.”, “사방 100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경주 최부자집 가훈으로 유명한 말이다. 물론 인간의 이기적이고 탐욕적인 본능에 비추어보면 실천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홍콩 거부 이가성의 말이나 경주 최부자집 교훈에서 보듯이 지분이나 지배권은 논리나 숫자로 이기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마음’으로 이기는 것이다. “지지자나 유권자들은 과연 어떤 것을 원하고 있을까?”에서 역(逆)으로 출발하면 논리나 숫자상의 지분싸움은 패배 앞에서 너무나 허망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