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15 총선을 맞아 여론조사의 결과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여론조사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의미겠지만, 결과에 따른 정치권의 반응이 극과 극으로 이어지면서 여론조사의 신뢰도는 반대로 나빠지고 있다. 

여론조사는 조사 시점과 방법, 조사 대상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차이에서도 반드시 지켜져야 할 핵심은 모집단의 객관성이다. 응답하는 모집단이 편중됐다면 그 어떤 여론조사도 정확한 여론조사가 될 수 없다. 더욱이 지나치게 자주 실시되는 여론조사로 인해 높아진 응답자의 피로감이 자발적 거부로 이어진다면 그 지역의 민심은 정확하게 파악되기 어렵다.

조사가 한 번도 안 된 지역이 있는가 하면, 하루에 4~5개 업체에서 수십 통의 전화가 돌아가는 지역도 있다. “특정 후보가 010 번호를 다수 확보해 놓았다”는 풍문까지 이어지면서 과연 이 조사를 믿을 수 있을까란 의구심마저 든다고 한다. 여기에 특정 정당의 후보적합도 조사와 경선조사까지 맞물리면서 “여론조사”는 민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음 공해로 전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론조사에 비협조적인 일반 유권자는 갈수록 늘어가는 실정이고, 특정 후보나 정당을 지지하는 세력의 기형적 응답만 높아짐에 따라 기울어진 모집단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특정시기, 예를 들어 특정 정당의 경선기간 적합도 조사가 있는 주간에는 객관적인 모집단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정치권의 비상식적 여론조사 대응 매뉴얼, 응답을 유도하는 것을 넘어 특정 연령층으로 응답하거나, 무당층으로 유도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8년 8월에 기고를 통해 강제적 거부자와 자발적 거부자 증가로 인한 모집단의 특성 붕괴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한 적이 있다. 지금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서는 가중 값 배율 강화로 이를 해결하려 했으나, 가중 값 배율 강화는 특정 조사방식만을 이롭게 하기 위함이지 모집단 불균형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될 수 없다. 

단지 하나의 해프닝으로 치부하기에는 여론조사 결과의 왜곡이 가져오는 파급이 너무 크다. 최근 강화된 여론조사 공표기준으로 정확한 여론조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 때, 정확한 여론조사를 방해하는 후보들의 지나친 홍보에 대한 선관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정당이 실시하는 여론조사의 남발부터 막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후보들 역시 국민을 대변하고, 국가를 위해 봉사하기 위해 출마를 했다면, 건전한 상식, 건전한 행동, 건전한 사고를 먼저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