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장휘경 기자] 서울시가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하수도 장기종합계획인 '2040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작업에 착수해 오는 2022년 1월까지 계획을 수립한다고 9일 밝혔다.

하수도정비기본계획(기본계획)은 하수도 및 분뇨처리시설의 계획적·체계적 정비를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계획이다. 20년 단위로 목표를 수립하며 필요 시 5년마다 도시 여건변화를 반영해 하수도 정책 전반을 재검토해 변경하고 있다.

시는 지난 60년간 하수도 보급률 100% 성장했으며 생활하수 등 하루 498만톤을 하수관로(약 1만700여㎞)를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송해 하수를 전량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시는 최근 기후변화로  하천오염, 수해, 악취 등 도시 안전·환경 개선에 대한 시민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해 1월부터 하수도 및 유관분야 전문가, 시민 등 134인으로 구성된 '하수도 정책포럼'을 운영했다. 총 63회의 회의개최를 통한 집중 논의 끝에 기본계획에서 우선 검토해야 할 주요 과제를 도출했다.

이를 반영 한 기본계획은 크게 2가지이다. 첫 번째는 물재생센터(하수처리시설) 분야이며, 두 번째는 하수관로 분야다.

우선 물재생센터 분야는 하천에 녹조를 유발하는 오염물질 제거를 통한 수질개선, 체계적인 하수 재이용·에너지 생산·친환경 자원 활용 방안, 분산형 물재생센터 운영, 환경 개선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하수관로 분야는 정화조 없는 하수도 구현, 스마트 기술 활용 기준, 그린 인프라 확대계획 및 시설물의 장수명화, 하수 이송기능 강화, 노후, 불량에 따른 도로함몰·침수·악취 등 문제 해소방안이 포함된다.

시는 이를 '2040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담아 2022년 1월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목표한 단계별 계획을 완성시켜 수질, 악취, 안전 등 복합적 문제를 해소하고 도시환경의 선도 시설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정화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번 수립하는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이 2040년까지의 서울 하수도 정책의 나침반이 되는 만큼 달라지는 도시 여건변화를 꼼꼼히 반영·검토해 체감도 높은 정책을 이끌어 낼 계획"이라며 "적재적소에서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하수도 정책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