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눈 질환으로 인해 최종 시력이 0.03~0.4에 불과한 저시력인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보조도구를 처방함으로써, 독서나 학업 등 일상생활이 가능하게 돕는 ‘저시력 클리닉’이 서울대병원에 최근 개설됐다.시력저하를 초래하는 시신경위축, 녹내장, 망막이상, 당뇨성망막병증 등 복합적으로 눈에 질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시력클리닉에서는 특히, 환자의 눈 상태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 처방하여, 환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환자가 원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하는 저시력보조도구를 처방함으로써 ‘눈 종합건진센터’로서의 역할을 한다.우리나라에는 너무 눈이 나빠, 시력교정술 대상도 되지 못하고, 안경 등 교정기구를 사용해도 최종 시력이 0.03~0.4에 불과, 시력회복이 불가능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있는 사람이 약 50만명이나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의료적 관심은 미미한 실정이어서, 저시력인들은 답답한 마음에 여러 의료기관을 전전해도 ‘고칠 수 없다’는 답변만 듣기 일쑤다.이로인해, 저시력인들은 책 읽기, 컴퓨터 작업, 칠판 보기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작업이 어려워 여러 보조도구를 이용해야 함에도, 이런 도구가 있는지조차 거의 모르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같은 저시력인들은 정상적인 직업을 갖기 어려워, 경제적으로 넉넉지 않은 어려움도 안고 있다.서울대병원 저시력클리닉 권지원(權智媛) 교수는 “한 환자 당 약 1시간 동안 진료 및 상담, 처방함으로써, 환자는 한 자리에서 자신의 눈 질환에 대한 종합 진단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다”며 “의료적인 면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환자를 안정시키는데 노력할 것이며, 대부분의 저시력인들은 저시력보조도구에 적응하려고 노력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저시력클리닉에서 처방하는 대표적인 보조도구는 다음과 같다. ▲확대경:보고자 하는 것에 가까이 대고, 환자의 눈도 가까이 대어 글자 등을 확대시켜 보는 것으로, 여러 형태가 있어 환자에게 적합한 것을 골라 사용할 수 있다.▲망원경: 멀리 있는 것을 볼 때 사용한다. 보통 한쪽 손에 들고 초점을 맞추며, 나머지 한 손으로 필기를 할 수 있어, 학생들이 많이 사용한다.▲확대독서기: CCTV라고도 하며, 활자를 매우 크게 확대시켜 주기 때문에, 확대경으로도 책을 읽기 어려운 경우에 이용한다. 모니터 밑에 보고자 하는 물체를 놓고 조절하면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다.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한편 서울대병원 외에, 저시력 전문의가 있는 병원은 서울아산병원, 성애병원, 중앙대 필동병원 등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