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산마루 놀이터’ 조성 후
창신동 ‘산마루 놀이터’ (조성 후)

[일요서울ㅣ장휘경 기자]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 용산구 해방촌, 성동구 성수동 등 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8곳의 주거재생 선도·시범사업이 연내 마무리된다. 이 지역들은 전면철거 대신 고쳐서 다시쓰는 '서울형 도시재생'의 시작을 알린 곳들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1단계 도시재새활성화 지역 8곳은 ▲창신·숭인 ▲해방촌 ▲가리봉(선도사업) ▲성수 ▲신촌 ▲장위 ▲암사 ▲상도(시범사업) 등이다. 1단계 주거재생사업은 '정주여건 개선' '지역산업 보존·활성화' '역사·문화 자산의 지역 자원화' '지속가능한 주민주도 자생 기반 마련 등 4개 분야에 역점을 두고 추진됐다.

8곳의 전체 192개 사업 가운데 82.3%인 158개 사업이 완료됐다. 나머지 34개 사업도 올해 연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 중이다. 앵커(거점)시설 설치, 주거환경 개선, 산업생태계 보존·활성화 등이 대표적이다.

우선 도시기반시설 정비와 마을 유휴공간 등을 활용한 커뮤니티 시설 확충으로 정주여건이 개선됐다. 노후 골목길과 계단난간을 정비하고 어두운 골목길엔 폐쇄회로(CC)TV와 비상벨, 안심이 장치, 태양광 조명등을 설치했다.

오랫동안 지역경제를 이끌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노후·쇠퇴해가는 지역산업의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업재생사업도 추진했다.

개별 집수리와 골목길 정비를 병행하는 소규모 도시재생인 ‘가꿈주택’ 사업은 1호(장위동)가 탄생한 이후 4년 간(2016.~2019년) 8개 지역에서 200건의 사업이 추진됐다. 넓어진 골목길엔 벤치와 조경을 설치하고 바닥포장, 바닥등 설치, 노후 하수관 개량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져 골목길 풍경이 확 바뀌었다.

각 지역이 간직한 역사·문화자산을 자원화하는 '지역특화재생'을 통해 무분별한 개발로 사라질 뻔한 마을자산을 보존하고, 도시재생으로 재조명해 지역의 경쟁력 있는 자원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1967년 구로공단이 들어선 이후 가로봉동의 젊은 노동자들이 거주했던 단칸방 주택, 이른바 ‘벌집’을 리모델링해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됐다. 암사동은 선사시대 유적지라는 특성을 살려 공공미술작품을 설치하고 시설물 디자인을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모든 주거재생사업의 중심에는 바로 주민들이 있다. 서울시는 재생지역마다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선도사업 선정부터 사업 추진 전반을 주민이 주축이 되는 ‘주민주도형’으로 추진했다. 전국 1호 ‘도시재생기업(CRC)’인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을 시작으로 해방촌, 암사, 상도 등 4개 지역에 8개 도시재생기업도 문을 열었다.

시는 지난 5년 간의 선도·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후속 관리대책 추진에 나선다. 이를 위해 작년부터 8개 지역에 대한 일제 현장 실태점검을 실시하고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후속 관리대책은 ▲주거환경개선 지속 추진 ▲소규모 건축,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기업(CRC) 지원 강화 등을 골자로 한다.

시는 지난 2월 창신숭인·해방촌 등 선도·시범지역 8곳의 5년에 걸친 도시재생 현장 이야기를 참여주체의 시각으로 담은 'Re-Seoul 함께 읽는 도시재생'을 발간했다. 서울시 도시재생포털에서 누구나 무료로 읽을 수 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도시재생의 핵심적인 성과는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 그 자체"라며 "그동안 조성된 앵커시설들은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되는 주민의 공간이, 도시재생기업(CRC)은 지역자생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지난 5년 간 마중물 사업을 통해 확보한 자생력을 토대로 주민 스스로 지속가능하게 지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