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 마포구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에서 개관 7주년을 기념해 열린 특별전시회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추모와 기억전' 개막식에서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가 축사를 하고 있다. 2019.05.09.[뉴시스]
9일 서울 마포구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에서 개관 7주년을 기념해 열린 특별전시회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추모와 기억전' 개막식에서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가 축사를 하고 있다. 2019.05.09.[뉴시스]

 

[일요서울ㅣ조주형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의 사용 논란' 등에 휩싸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할머니와 활동가들을 분열시키고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지난 30년 목소리를 죽이고 정당성을 훼손하려 하는 행위"라고 주장해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법조계에서 "지난 2015년 '윤미향 면담' 기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92)는 지난 7일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후원금이 불투명하게 사용되고 있다. 집회 때 돈없는 학생들이 십시일반으로 성금을 내지만 제가 벽시계 하나 사달라고 해도 사주지 않았다"는 폭로와 함께 "30여년 간 속을 만큼 속았고 이용당할 만큼 당했다"고 밝히면서 여론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10억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 걸 윤미향 당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정의연의 전신)' 대표만 알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핵심은 '윤 전 대표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의 주요 내용에 대한 외교부의 사전 설명을 듣고도 피해자들에게 알려주지 않았다는 것'.
 
이를 두고 법조단체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한변, 회장 김태훈)'은 지난 15일 성명서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단체를 대표하는 윤미향 당선인이 지난 2015년 당시 위안부 합의 내용을 알고 있었는지, 나아가 그 의견을 제시해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국민들은 헌법상 알 권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변'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정보공개법) 제3조에 의하면 '공공기관이 보유 관리하는 정보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 등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며 "이 사실은 어렵지 않게 규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교부는 일본과 합의 전에 윤 당선인과 면담한 기록을 보관하고 있을 것이다. 특히 국가 간 협의도 아닌 시민 단체 면담 내용을 공개 못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5년 윤미향 당시 대표는 지난 2015년 합의 발표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정부의 상의가) 없었다"며 "피해자들의 의사도 전혀 물어보지도 않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변'은 "일본이 10억엔을 낸다는 사실은 '미리 알고 있었다'는 지금 주장과 배치된다. 당시 협상 과정을 아는 외교부 전 관리에 의하면 합의 발표 전에 윤 전 대표에게 아베의 사과 문구 수준, 경제적 보상 등 주요 내용을 설명해 주고 의견을 반영했다. 윤미향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다시 '전날 연락받았지만 핵심 내용은 빠졌다'는 취지로 해명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한변은 "'외교부문이 손상돼도 국민의 알 권리가 더 중요하다"는 현 정부는 출범 초 위안부 TF를 꾸려 '30년 비공개'가 원칙인 민감한 외교문서까지 공개했다"는 지적과 함께 "외교부는 '2015년 윤미향 면담'과 관련된 모든 자료와 정보를 서면으로 조속히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할 의무가 있기에 외교부에 정보공개 청구를 하는 바"라고 말했다.
 
한편 윤 당선인이 대표로 있던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지난 2018년 한 주점에서 하루 약 3300만원을 지출했다는 내역이 알려져 기부금 등 사용처를 상세 공개하라는 여론이 힘을 받고 있다.

12일 국세청에 공시된 정의연의 '2018년 기부금품의 모집 및 지출 명세서'에 따르면 이 단체는 그 해 '디오브루잉주식회사'에 약 3339만원을 지출했다. '디오브루잉'은 서울 청진동 등에서 '옥토버훼스트'라는 맥줏집을 운영하는 회사로 알려졌다. 정의연이 이곳에 지출한 돈은 이 단체가 그 해 지출한 기부금 총액(3억1060만원)의 10%에 달한다. 결국 기부금의 10%에 금액을 맥줏집에 썼다는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에 '정의연'은 지난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의 '인권재단 사람' 2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사용이 불투명하다는 논란에 대해 사과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정작 기부금 세부 내역에 대해선 공개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내놔 공분을 사고있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이하 한변)' 로고.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이하 한변)' 로고.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