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 회고와 반성’ 정책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0.06.09. [뉴시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6.25전쟁 70주년 : 회고와 반성’ 정책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0.06.09. [뉴시스]

 

[일요서울] '진취적 정당'을 앞세운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의 행보가 좌우를 넘나들고 있다.

"보수라는 말 자체를 좋아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김 위원장은 비대위 출범 초부터 '기본소득'을 화두로 던지며 이른바 '좌클릭' 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안보 측면에서는 기존 보수 정당의 기조를 지키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신원식 의원실 주관 '6·25 전쟁 70주년 회고와 반성' 세미나에서 "미군이 없고 낙동강 방어에 목숨을 건 국군 장병이 없었다면 오늘날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전통적인 보수 정당의 안보관을 내비쳤다.

특히 김 위원장은 "최근 문제되는 낙동강 방어에 혁혁한 공을 세운 백선엽 대장에 대한 사후(死後) 장지 문제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대해서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백선엽 퇴역 대장이) 대한민국의 존립을 위해서 엄청난 공을 세웠다는 사실을 모두 인정한다면 그와 같은 논쟁이 부질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북한에 의해서 위협을 받고 갖은 욕설을 다 들어가면서 아무렇지 않은 양 지낸다는 건 우리 국민들이 묵과할 수 없다"고 날을 세우기도 했다.

그는 세미나 참석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북한이 남북 통신망을 모두 차단한 것에 대해 "그 사람들(북한)은 늘 돌발적인 행위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인데 너무 신뢰하고 믿어온 게 우리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당내 좌편향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본소득을 비롯해 호남, 3040 청년 세대, 노동자, 여성 등 보수 정당에서 금기시됐던 의제들을 선점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해왔다.

전날 비대위 회의에서는 저출생 문제와 교육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한 '전일보육제' 실시를 제안했다. 전일보육제는 무상급식과 연계되는 정책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행보가 자칫 전통적인 안보 기조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김 위원장이 경제는 '진취적'이더라도 안보는 '보수적'으로 간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해주면서 당내 우려를 잠재우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의 이 같은 안보 인식은 비대위 내에 설치가 검토되고 있는 외교안보위원회에도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외교안보위원회에 대해 "외교·안보라는 게 상식적으로 뻔한 건데 특별하게 설명할 게 있겠냐"며, 기존 보수 정당의 전통적인 기조를 유지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안보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전통적인 보수 정당의 입장을 유지해왔다는 평이 많다.

그는 지난 2016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 시절에도 "우리 경제가 보다 더 도약적으로 발전한다면 언젠가 북한체제가 궤멸하고 통일의 날이 올 거라고 확신한다"고 말해 당내 '흡수통일'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6·25전쟁을 겪은 전쟁 세대라는 점도 그의 안보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세미나에서도 "초등학교 5학년이 되자마자 6·25 사변을 겪었다"며 "(6월27일) 미아리에 인민군이 들어왔다는 소리를 듣고 저녁밥을 먹다말고 한강을 건너서 피난길에 오른 경험이 있다. 공산 치하 3개월을 체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6·25 당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존재할 수 있을까 하는, 위험천만에 빠졌던 게 회상이 된다"며 "우리가 겪은 전쟁을 잊어서 안 되고 후세들에게도 교육을 통해서 꼭 회상하도록 해야 한다는 게 기본 생각"이라고 말했다.

통합당의 한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외교와 안보 문제는 대한민국 정체성이나 국민의 생명과 직접 관련된 일이 아니겠냐"며 "김 위원장이 경제에 있어서 이슈를 만들어왔지만, 안보까지 흔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