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21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630일 남은 셈이다. 집권여당은 정권 재창출에 자신감이 차 있고 그 배경은 넘쳐나는 인물 때문이다. 반면 야당은 출발선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대선은 각당 경선일 기준으로 하면 1년 정도 남았다. 

정권 재창출을 위한 집권여당인 민주당의 고민은 과거 역대 대선 결과와 맞닿아 있다. 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대통령을 7명이나 배출했지만 DJ를 제외한 모두 영남 후보로 승리했다. 노무현, 문재인이 민주당 간판으로 당선됐고 노태우, YS, MB, 박근혜 대통령은 통합당 간판으로 당선됐다. 6명 모두 영남 출신으로 PK 출신이 3명이고 TK 출신이 3명이다. MB는 일본이 태생이지만 생가는 경북 포항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호남 출신 대선후보가 보수정당 대통령 경선을 거쳐 본선에 올라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반면 민주당은 직선제 도입 이후 15대 대선에서 새정치민주회의 DJ가  이회창 후보에 맞서 39만 표 차이로 신승했다. 

이 후보의 고향은 충남 예산이었지만 영남이 기반인 한나라당 후보로 몰표를 받았다. 이후 민주당은 2007년 17대 대선에서 호남 출신인 정동영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한 이후 영남 출신 MB와 대결을 벌였지만 무려 531만7708표 차로 패했다. 

지난 대선에서 영남 문재인 대통령과 영남 홍준표 전 대표의 557만여 차 이후 최고 표차이다. 지난 대선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졌다는 점에서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힘들지만 영남 출신 후보가 역대 대선에서 얼마나 '무적 카드'인지 잘 보여주고 있다.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역시 정치권은 ‘영남 후보  필승론’에 기대고 있다. 영남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당보다 오히려 민주당이 더 열성적이다. 그동안 친문 영남 주류세력이 영남 출신인 조국 전 장관을 비롯해 김경수 경남지사 등을 띄운 배경 역시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다. ‘호남 불가론이자 영남후보 필승론’이다. 

경기도 김포가 지역구인 김두관 의원을 경남 양산으로 내려보낸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출마하지  않겠다’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카드를 친문 주류가 버리지 못하는 것 역시 영남후보 필승론에 기반하고 있다. 

그런데 작금의 상황을 보면 호남 출신 이낙연 전 총리가 압도적으로 여권 후보 중 1위를 달리고 있다. 그 뒤로 경북 안동 출신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뒤따르고 있다. 하지만 1, 2위간 격차가 여전히 크고 이 지사는 대법원 판결도 남아 있어 변수가 있다. 친문 주류도 아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영남출신이다. 그러나 비주류에 ‘뜨지 않는 지지율’이 문제다. 김부겸 전 의원 역시 TK 출신이지만 한나라당 출신이고 비주류다. 한마디로 민주당 소속으로 영남 후보지만 친문 주류가 믿을 수 없다는 게 이들을 향한 비토 정서 및  뜨지 않는 지지율의 핵심이다. 친문 주류가 감싸고 들 후보를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고민이 있다. 그렇다고 ‘믿고 수렴청정할 수 있는’ 호남 후보를 밀자니 보수 정당 후보에 맞서 승리를 장담하기기 쉽지 않다. 

민주당 주류의 ‘딜레마’다. ‘영남 후보 필승론, 호남 후보 필패론’은 역대 대선 결과가 증명했다. 그러나 마땅은 인물은 아직 없다. 2022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정권 연장을 위해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문제다. 과연 이 공식이 차기 대선에도 통할지, 여의도의 뜨거운 감자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