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뉴시스]
코로나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뉴시스]

[일요서울 | 조택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또다시 확산되면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확진자’ 비중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10%를 넘어선 것.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장기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확진 환자를 하루라도 빨리 찾아 접촉자를 관리하는 게 확산 차단에 중요하다며 증상이 생기면 즉시 진단검사를 받아달라고 당부하는 상황이다.

지난 25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0시 이후부터 이날 오전 0시까지 2주간 신고된 코로나19 확진 환자는 총 617명이다. 하루 평균 44.07명인 셈이다.

이 중 깜깜이 확진자 수는 71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11.5%에 달했다. 방역당국이 2주간 감염 경로를 구분하면서 조사 중인 사례가 70명을 넘고, 그 비율이 11%를 넘은 것은 해당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4월6일 이후 80일 만에 처음이다.

2주 동안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상태로 확진되는 환자 수는 2~3월 대구‧경북에 이어 3~4월 수도권에서 1차 유행이 확산되던 4월 초 50명 대에서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다. 3차례 사회적 거리 두기를 거치면서 5월 초 한 자릿수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이 확산되면서 5월14일 10명 이후 줄곧 두 자릿수를 기록, 5월 하순경 20명대, 5월30일 30명으로 증가했다. 이어 종교시설, 방문판매업체 등 수도권에서 소규모 감염이 잇따른 6월 들어 40명대에서 50명대, 60명대 등으로 늘어났다.

감염 경로 불명 사례가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상승했다. 6월1일 7.5%로 시작했으나 15일 처음 10.2%로 10%대를 넘어섰으며, 이후 9.8%를 기록한 21일을 제외하면 줄곧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다는 점은 해당 환자 수만큼 지역사회 내에서 집단 감염이 우려된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경계하는 모양새다. 특히 고위험군으로의 추가 감염도 우려되는 실정이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지난 4일 “보건당국이 가장 싫어하는 말이 깜깜이 감염”이라며 “위험한 것은 이런 감염들이 취약계층인 고령자, 기저질환자, 의료기관 그리고 요양병원, 요양원 같은 곳에 전파돼서 고위험 어르신들의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또 다른 대규모 유행이 일어났는데 뒤늦게 발견을 해서 통제를 못 할까 하는 것들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런 경우에는 굉장히 단기간에 폭발적인 환자 발생으로 이어져서 의료대응 체계와 의료자원이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무증상 감염자 수를 추산할 수 있는 항체검사를 시급하게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지난 22일 방대본, 학계 등에 따르면 국민 항체 양성률 조사는 7월 중순 이후에나 이뤄질 예정이다. 계획은 지난 5월 초에 발표됐지만 아직 시약이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미뤘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지난 3일 국회도서관에서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열린 ‘코로나19, 2차 대유행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토론회에서 시약의 불안정성 때문에 7월 중‧하순에 표본이 확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항체검사는 코로나19 감염에 저항할 수 있는 관련 항체를 면역체계에 형성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알려진다.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들, 중국, 일본 등에서도 지난 3월부터 적은 수라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 한국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대본의 당초 계획은 7월 중순 이후 10세 이상 국민 8000명을 대상으로 항체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었다. 방대본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소강 상태였던 지난 5월 초 항체 검사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우려가 잇따르자 당국은 항체검사에 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항체검사를 실시하면 실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지 않고 확진 및 자연 완치된 무증상 감염자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무증상 감염자가 실제보다 많았던 것으로 확인되면 치명률도 떨어질 수 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시약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전국적 유행 조짐이 있는 만큼 조사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하는 상황이다.

무증상 감염자는 바이러스 배출량이 유증상자와 같아, 스스로 감염된 줄 모르고 일상생활을 하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사례가 더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뉴시스에 “유행이 전국적으로 커지고 있어, 실제 환자 규모를 파악하고 유행이 커질지 실제 환자와 의료자원을 추계해야 한다”면서 “대구‧경북지역에서 곤란함을 겪었던 경험을 모델 삼아 수도권 인구 대비해서 대응하는 자료로 써야 한다. 전체 규모를 알아보는 데는 항체검사 만한 게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