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주간 변동률 추이 [단위:%, 부동산114]지역별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률 [단위:%, 부동산114]
지역별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률 [단위:%, 부동산114]

부동산 규제 강화 예고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0.1% 올라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폭은 전주(0.03%) 대비 3배 이상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잠실 마이스 개발 사업 기대감이 형성된 송파 잠실과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노원, 강북, 금천 등이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송파는 금주 0.31% 올라 지난해 말(12월 20일) 주간 기준 0.57% 상승한 이후 올해 들어 오름폭이 가장 컸다. 다만, 금주 조사에서는 ‘6.17 대책’의 영향이 크게 반영되지는 않았다.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3배 확대, 0.03% → 0.10%
- 전세 매물 부족으로 서울 전셋값 오름폭도 커져


 

서울 아파트 주간 변동률 추이 [단위:%, 부동산114]지역별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률 [단위:%, 부동산114]
서울 아파트 주간 변동률 추이 [단위:%, 부동산114]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 상승했다.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는 각각 0.15%, 0.09% 올라 상승폭이 모두 커졌다. 이밖에 경기ㆍ인천이 0.1% 올랐고 신도시는 0.03% 상승했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전세 물건 부족으로 서울이 0.09% 올라 전주(0.05%)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고 경기ㆍ인천과 신도시가 각각 0.05%, 0.02% 올랐다.

매매

서울은 ▲송파(0.31%) ▲노원(0.22%) ▲강북(0.16%) ▲금천(0.15%) ▲강동(0.14%) ▲강서(0.14%) ▲관악(0.12%) 등이 올랐다. 송파는 잠실 스포츠ㆍ마이스(MICE) 개발 소식이 전해진 이후 잠실 일대 아파트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를 비롯해 우성1,2,3차, 잠실엘스, 레이크팰리스 등이 1000만 원~5500만 원 상승했다.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세가 이어진 노원, 강북, 금천 등도 오름폭이 확대됐다. 노원은 월계동 대동, 상계동 상계주공1단지(고층), 상계주공4단지, 하계동 청솔 등이 1000만 원~2000만 원 올랐다. 강북은 미아동 한일유앤아이, 수유동 현대, 번동 주공1단지 등이 500만 원~1500만 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7%) ▲일산(0.06%) ▲산본(0.05%) ▲평촌(0.03%) ▲파주운정(0.03%) 등이 올랐다. 분당은 구미동 무지개2단지LG를 비롯해 무지개청구, 정자동 한솔LG, 서현동 효자동아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일산은 마두동 백마2단지극동삼환, 일산동 후곡17단지태영, 주엽동 강선16단지동문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경기ㆍ인천은 경기 남부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계속됐다. 지역별로는 ▲용인(0.15%) ▲군포(0.14%) ▲남양주(0.14%) ▲의왕(0.14%) ▲성남(0.13%) ▲안산(0.13%) ▲안양(0.12%) 등이 올랐다. 용인은 상현동 금호베스트빌3차5단지를 비롯해 벽산블루밍, 신봉동 신봉자이2차, 죽전동 도담마을롯데캐슬 등이 500만 원~1500만 원 상승했다. 군포는 산본동 임광그대가, 당동 쌍용과 주공3단지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남양주는 다산동 남양i-좋은집, 퇴계원읍 퇴계원힐스테이트, 와부읍 강변현대홈타운 등이 500만 원~2000만 원 상승했다.

전세

서울 전세시장은 ▲송파(0.28%) ▲강동(0.25%) ▲관악(0.19%) ▲강남(0.16%) ▲강북(0.12%) ▲노원(0.11%) 등이 올랐다. 송파는 전세 물건이 부족한 가운데 대단지 아파트 전셋값이 주로 올랐다. 가락동 송파헬리오시티와 잠실동 잠실엘스, 잠실주공5단지, 송파동 삼성래미안 등이 500만 원~1500만 원 상승했다. 강동은 명일동 우성, 강일동 강일리버파크3단지,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 길동 강동자이 등이 500만 원~1500만 원 올랐다. 관악은 봉천동 동부센트레빌, 두산이 1000만 원~2500만 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4%) ▲산본(0.04%) ▲일산(0.02%) ▲평촌(0.02%) ▲광교(0.01%)가 상승했고 이외 신도시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분당은 야탑동 목련한신을 비롯해 서현동 효자삼환, 구미동 무지개청구, 분당동 장안타운건영2차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산본은 산본동 매화주공14단지, 금정동 목화한성이 500만 원 정도 상승했다. 

경기ㆍ인천은 ▲하남(0.15%) ▲안양(0.12%) ▲의왕(0.12%) ▲용인(0.09%) ▲구리(0.08%) ▲수원(0.07%) ▲고양(0.06%) 등이 올랐다. 하남은 신장동 대명강변타운, 덕풍동 서해, 신장동 현대홈타운 등이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안양은 호계동 호계e편한세상, 호계2차현대홈타운, 평촌더샵아이파크가 500만 원~1000만 원 올랐다. 의왕은 내손동 반도보라빌리지1단지와 의왕내손e편한세상, 포일자이가 500만 원~1000만 원 상승했다.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묶고 갭투자 차단을 위해 실거주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의 6.17 부동산 대책이 발표됐다. 규제지역으로 추가 지정된 지역은 과열양상이 일부 진정되고 매수 심리도 단기적으로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9억원 이하 중저가 매수세가 이어졌던 외곽지역도 주택담보 대출 시 전입ㆍ처분 등의 요건이 강화되는 만큼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강남권도 과열 양상이 확대될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이 적극 검토되고 있어 숨 고르기가 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2기신도시가 위치한 김포와 파주가 금번 규제지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투자 수요가 이들 지역으로 이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매물 부족으로 전세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낮은 분양가를 기대하는 청약 대기 수요 증가와 저금리에 따른 월세 전환, 입주 물량 감소 등은 하반기 전셋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금번 6.17 대책의 영향으로 매수세가 크게 위축될 경우 내 집 마련 수요가 전세로 남을 수 있는 점 또한 향후 전세시장의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