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표시 보고 들어가지 맙시다” 2020년에 거론되는 까닭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현 법무부장관)가 지난 2017년 10월3일 서울시 화곡동 당원이 운영하는 점포 앞에서 민주당 당원 가게를 인증하는 ‘더’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현 법무부장관)가 지난 2017년 10월3일 서울시 화곡동 당원이 운영하는 점포 앞에서 민주당 당원 가게를 인증하는 ‘더’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제공]

구글 당원지도서 500여 개 넘는 당원사업장 등록···멕시코에 대만까지

[일요서울 | 조택영 기자] 최근 보수 일각에서는 지난 2017년 후반 논란이 거셌던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당원 가게’ 사진과 비판글이 돌고 있다. 검‧언 유착 수사와 관련한 추미애 법무부장관의 수사지휘를 두고 법무부와 검찰의 충돌이 일자 추 장관에 대한 과거 행보가 비판의 대상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앞서 지난 2017년 10월 민주당 당원들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다른 당원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사업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 갑론을박이 일었다. 게다가 당시 민주당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가 ‘당원 지도’를 제작하고, 추미애 민주당 대표(현 법무부장관)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한 음식점에 ‘당원 가게 1호 지정식’을 참석하면서 ‘편가르기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당시 추 대표는 해당 가게에 ‘더’라는 인증 마크를 붙이고 ‘당원 가게 1호’라며 홍보에 나섰다. 추 대표는 “‘나는 민주당이다’ 운동은 당이 당원을 인정하고, 당원이 당을 인정한다는 인증”이라고 당원 가게 1호 지정 취지를 밝혔다. 지지층을 강화한다는 목적이었다. 민주당은 2017년 11월에도 광주에서 ‘광주 당원 가게 1호 인증식’을 열기도 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이러한 전략은 실패로 돌아갔다는 게 중론이다. 2018년 강서구에 위치한 음식점에 ‘더’라는 스티커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고 한다. 해당 가게 직원은 2018년 10월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여기서 일한 지 3년 정도 됐는데, 요즘 경기 때문에 그런지 너무 힘들다”며 “당원 가게라고 하는데 당에서나 당원한테 도움받는 것도 없다”고 밝혔다. 다른 성향의 지지자들이 고의적으로 트집을 잡거나, 악성 루머를 퍼뜨리는 등에 대한 부담감도 컸을 것으로 해석된다.

구글 ‘나는 민주당이다 당원지도’에 표시된 더불어민주당 당원사업장. [구글 당원지도 화면 캡처]
구글 ‘나는 민주당이다 당원지도’에 표시된 더불어민주당 당원사업장. [구글 당원지도 화면 캡처]

최근 일부 보수 성향의 시민들은 2017년 10월 추 장관이 참석했던 ‘당원 가게 1호 지정식’ 사진을 공유하며 “‘더’ 표시 보고 들어가지 맙시다”, “앞으로 식당도 살펴 들어가라. ‘더’ 스티커 붙인 상점과 식당은 절대 출입 금지합시다”, “‘더’ 스티커는 더불어민주당 당원의 점포라니 살펴보고 출입하자” 등의 글을 퍼 나르고 있다.

당원지도에는 캐나다, 미국, 멕시코, 중국, 대만 등에 있는 당원사업장까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글 당원지도 화면 캡처]
당원지도에는 캐나다, 미국, 멕시코, 중국, 대만 등에 있는 당원사업장까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글 당원지도 화면 캡처]

아직도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더불어민주당 당원 가게’를 검색하면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홈페이지에 ‘당원 가게’라는 항목이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물론 가게에 대한 정보는 없다. ‘나는 민주당이다’ 애플리케이션(앱)은 구글 플레이에서 설치가 가능하지만 접속이 불가하다. 그러나 구글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당원 지도 URL이 돌고 있고, 500개가 넘는 당원사업장이 삽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해당 구글 지도에는 캐나다, 미국, 멕시코, 중국, 대만 등에 있는 당원사업장까지 삽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부터 인테리어 업체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 추 장관의 수사지휘를 두고 법무부와 검찰의 충돌이 일자 추 장관의 과거 행보가 비난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 2017년 10월 ‘당원 가게 1호 지정식’이 진행되면서 ‘편가르기’, ‘불매운동’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2020년에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