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숨길 품은 한국의 美 간직한 문경새재]
우거진 숲길 속을 채워주는 깔끔하게 들리는 물소리
엄마 품처럼 따스해 보이는 장엄한 백두대간 산세

[일요서울 |  프리랜서 김관수  기자]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들다’고 했던 고갯길을 지키고 있는 것들은 옛 선비들의 이야기뿐만이 아니다. 사람의 발걸음을 편안하게 맞아주는 황톳길과 그 길의 곁에서 귓가를 적시는 물길이 함께 살고 있다. 깊은 숲 속에서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생명들의 아롱아롱한 숨소리가 가슴 속에 차분히 스며든다.

[편집=김정아 기자/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편집=김정아 기자/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조령’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문경새재는 한양의 한강과 영남의 낙동강 유역을 이어주던 영남대로에서 가장 높고 험한 고개였다. 영남과 한양을 오갈 수 있는 길은 조령, 죽령 그리고 추풍령까지 세 갈래 길이 있었는데,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가는 선비들은 아무리 먼 길을 돌아가더라도 길이 험하기로 소문난 문경새재를 통했다. 추풍령을 넘으면 추풍낙엽처럼 떨어지고, 죽령을 넘으면 미끄러진다고 하는 금기 때문에 과거급제를 위해 문경새재를 넘었던 것. 문경의 옛 이름인 문희(聞喜)의 의미가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는다’라고 하니 이 길을 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을 것이다.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이렇듯 많은 선비들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문경새재는 1981년부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문경조령관문, 문경새재 옛길, 주흘산 조령관문 등의 문화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옛길박물관과 드라마 오픈 세트장, 생태 공원 등이 들어서면서 다양한 테마를 갖춘 관광지로 발전했고, 자연의 신비가 살아 숨 쉬는 현장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건강한 기운을 충만하게 안겨 준다.

탐방로는 편도 6.5km의 거리에 조성되어 있으며, 제1관문에서 제2관문까지 약 3km, 다시 제2관문에서 제3관문까지 약 3.5km에 이르는 길로 완만한 경사의 언덕길로 정돈되어 있다.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맨발로 느끼는 황톳길

문경새재 입구와 제1관문인 주흘관(主屹關) 사이에서 먼 길을 시작하기 위한 특별한 채비를 할 수 있다. 시간 없고 마음 급해 그대로 통과하더라도 별 문제는 없지만, 옛길박물관에 들러 두 발로 만나게 될 고갯길의 이야기들을 미리 듣고 간다면 더욱 풍성한 경험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백두대간의 산세가 주흘관의 성벽을 포근히 감싼다. 그 모습이 장엄해 보이기도 하고 엄마 품처럼 따스해 보이기도 하여 성문을 통과하면 나타나게 될 풍성한 자연이 벌써부터 반갑고 감사하다. 주흘관 안으로 들어서면 곧 특별한 공간 앞에서 잠시 고민에 빠진다. 도란도란 앉아 발을 담그고 앉은 이들이 정겨워 보이는 ‘발 씻는 곳’, 이곳에서부터 황톳길이 길의 종점인 제3관문 조령관까지 이어진다. 맨발로 걷기가 건강에 좋다는 것은 아이들도 다 아는 사실, 게다가 문경새재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가장 완벽한 방법이기도 하니 생각지도 못한 결정을 하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과연 길의 끝까지 맨발로 걸어도 괜찮을 만큼 길이 좋을까’라는 의심은 어쩌면 당연하다. 대답은 ‘Yes’. 본래의 모습을 지금도 보존하고 있는 옛 과거길로 스스로 빠지지만 않는다면 6.5km의 긴 여정은 맨발로도 충분히 괜찮은 황톳길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 길을 맨발로 걷는 건, 문경새재와 더불어 내 몸을 사랑해줄 수 있는 가장 쉬운 최선의 길이 아닐까.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사진=트래블에브리띵스 제공]

시시각각 바뀌는 물의 소리

황톳길 못지않게 고마운 건, 역시 길의 마지막까지 동행하는 물소리다. 우거진 숲길 속을 채워주는 물소리가 이렇게 깔끔하게 들리는 길이 또 있을까 싶으면서, 그 소리가 함께해 주니 가는 길이 고되거나 지루하지 않다.

낙동강의 3대 발원지 중 하나로 알려지기도 한 문경초점의 물줄기는 산길을 따라 묵묵히 내려와 곳곳에서 계곡을 이루고 때로는 작은 못을 만들기도 하며 또 좁은 수로를 따라 흐르면서 끊임없이 길동무가 되어준다. ‘또르르’ 흐르는 물줄기 소리가 조금씩 잦아드는 것 같으면 마치 당연하기라도 한 듯 평화로운 못이 말없이 잠깐의 휴식을 부른다.

정자 위에서 가장 편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 주위에서 들려오는 생명이 꿈틀대는 소리들을 들을 수 있다. 어느새 물소리가 ‘콸콸콸’ 높아지는 것 같으면 가던 길도 포기한 채 발 담그고 놀고 싶은 바위 계곡들이 군데군데 앉아 있다. 얼음장처럼 차가운 계곡물이 그저 반갑기만 한 요즘, 소소하지만 소중한 기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넉넉해진다.

그뿐만이 아니다. ‘첨벙첨벙’ 물장구치는 소리, ‘우르르쾅쾅’ 내리쏟는 폭포 소리, 못 안에 가득한 올챙이를 바라보며 신기하다고 소리치는 아이들의 환호, 약수의 시원함에 절로 나오는 아저씨의 감탄사, 어느 계곡 앞에 남겨 놓은 한 시인 묵객의 감상문까지. 깊은 산 속에 숨겨진 물이 만들어 내는 소리를 하나하나 채집하는 즐거움으로 먼 길은 더욱 명랑·상쾌해진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