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 참상 글과 그림으로 남겨…‘눈물로 그린 무지개’

[일요서울ㅣ정재호 기자]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는 ‘장길수 가족’ 탈북을 주도한 주인공이다. 문 대표는 지난 1999년 문구 사업을 위해 중국에 진출했다가 알게 된 조선족 여성을 통해 길수 가족과 친척을 소개 받았다. 당시 15명이나 되는 길수 가족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탈출했다. 문 대표는 지난달 28일 일요서울과의 만남에서 “20년째 북한인권운동을 해왔지만 북한의 인권 상황과 중국에서 떠도는 탈북자 인권 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2000년 문 대표는 길수 군이 경험한 북한의 인권 실태를 글과 그림으로 알리기 위해 ‘눈물로 그린 무지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이에 일요서울은 ‘눈물로 그린 무지개’를 다음 1371호부터 연재한다.

 

10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북한인권법제정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출범식'이 열린 가운데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가 사업계획발표를 하고 있다.[뉴시스]
10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북한인권법제정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출범식'이 열린 가운데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가 사업계획발표를 하고 있다.[뉴시스]

 

- 문국한 대표 “20년 동안 북한‧중국 내 인권 상황 변한 것 없어”

지난 2000년 ‘눈물로 그린 무지개’가 출판되고 20년이 지났지만 북한인권과 중국에서 떠돌고 있는 탈북자 인권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눈물로 그린 무지개는 탈북 소년 길수와 그의 형, 어머니, 그리고 이모부, 이종사촌 형제 등 다섯 사람이 북한과 중국에서 겪은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엮은 것이다. 

장길수는 지난 1999년 1월 겨울날 얼어붙은 두만강을 건너 처음으로 중국 땅을 밟았다. 길수는 자신이 살던 북한의 모습과 비교할 수 없는 중국의 환경에 놀랐다. 

우선 어디를 가든 먹을 것이 풍부한 것에 놀랐다. 한 끼 죽조차 마음껏 먹지 못해 배고픔에 허덕이던 길수에게는 중국이 살맛나는 세상이었다. 또한 중국에선 가고 싶은 곳을 자유롭게 갈 수 있었다. 북한은 이 마을에서 저 마을로 가려면 통행증이 필요했다. 같은 사회주의 국가에서 어떻게 이런 차이가 나는지 길수는 이해 못했다. 중국은 지구상에 하나뿐인 ‘지상낙원’으로 알고 있던 북한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풍족하고 자유로운 세상이었다. 길수는 이게 모두 꿈인가 싶었다. 

길수는 꿈 같은 생활 속에서도 고향에 두고 온 부모 형제가 보고 싶어 견딜 수가 없었다. 어머니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식량을 찾아 거리를 헤매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 

결국 길수는 어머니와 형을 중국으로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끝내 아버지는 모시고 올 수 없었다. 길수가 중국으로 탈출하기 전 아버지는 식구들을 모아놓고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중국으로 도망갈 생각을 하면 당에 고발하겠으니 알아서들 해라” 하는 수 없이 길수는 아버지 모르게 중국으로 도망쳐야 했다. 

그러나 중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중국 당국은 탈북자들을 붙잡아 북한으로 강제 송환시켰다. 강제 송환은 북한에서 곧 ‘죽음’을 의미했다. 

길수 일가의 탈북 대장정은 함경북도 회령에 살던 외할머니가 중국으로 탈출하면서 시작됐다. 그녀는 지난 1998년 남편과 아들을 데리고 나왔다. 이어 길수를 비롯한 5명이 북한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나머지 네 사람의 가족도 천신만고 끝에 탈출시켰다. 

길수 일가는 1999년에 탈북자를 돕는 조선족 동포를 만나 이 같은 사연을 전하고 대한민국으로 오기까지 북한 인권의 참상과 탈북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남겼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