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놈들 내일 총살이다”

[일요서울ㅣ정재호 기자]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는 ‘장길수 가족’ 탈북을 주도한 주인공이다. 문 대표는 지난 1999년 문구 사업을 위해 중국에 진출했다가 알게 된 조선족 여성을 통해 길수 가족과 친척을 소개 받았다. 당시 15명이나 되는 길수 가족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탈출했다. 문 대표는 지난달 28일 일요서울과의 만남에서 “20년째 북한인권운동을 해왔지만 북한의 인권 상황과 중국에서 떠도는 탈북자 인권 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2000년 문 대표는 길수 군이 경험한 북한의 인권실태를 글과 그림으로 알리기 위해 ‘눈물로 그린 무지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현재 책은 절판됐다.

국경선을 넘어 중국으로 갔다가 재입북 후, 안전원에게 채찍으로 맞으며 자백서 쓰기를 강요당했습니다.[문학수첩]
국경선을 넘어 중국으로 갔다가 재입북 후, 안전원에게 채찍으로 맞으며 자백서 쓰기를 강요당했습니다.[문학수첩]

 

장길수 - 16세. 함경북도 화대군 출생. 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아버지와 군대에 간 형님을 남겨 둔 채 어머니와 작은형 등 일가족 3명이 탈북, 그 후 두 번에 걸쳐 가족을 구하려고 두만강을 건넜다.

-북한, 하나의 거대한 감옥

안전원들이 나와 민국형을 때리고 구슬려도 계속 같은 대답이 나오자, 결국 그들은 안전부로 우리를 옮겼다. 그곳에서도 마찬가지로 안전부의 안전원이 각 한 명씩 우리를 다른 방에 가두고 심문했는데, 우리는 서로 다른 방에 있어 말을 맞추지 못해 난처했다. 그런데 내가 잡혀간 옆방에서 모르는 사람이 심문을 받고 있었다. 민국형의 목소리가 들렸다. 내 방의 출입문을 열고 민국형에게 말을 맞추자고 했다. 그러나 이번엔 안전원이 자백서를 쓰라고 했다. “솔직하게 쓸 때까지 이 방에 가둬 두겠다”며 겁을 줬다. 내가 안전원에게 말한 대로 자백서를 쓰자, 그는 다시 쓰라고 했다. 그리고 그는 “어째 솔직히 쓰라는데 거짓으로 쓰나. 죽이겠다”며 내 급소를 내리쳤다. 

안전원은 “오늘은 이만”하자고 했다. 그때가 새벽 3시였다. 우리는 11시간 동안 잠도 못 자고 고역에 시달리며 혹독한 고문까지 받았다. 죽는 것이 차라리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그 지옥 같은 세상에 황금이 떨어진다 해도 다시는 가고 싶지 않았다. 북한, 그곳은 하나의 거대한 감옥이었다. 사람의 목숨을 파리 목숨보다 못하게 여기며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고통과 죽음을 당하고 있다.

나는 안전부 사무실 차디찬 콘크리트 바닥에 엎드려 있었다. 안전원은 책상에 몸을 엎드려 자다가 일어나 걸상을 나란히 붙여놓고 다시 누워 자기 시작했다. 콘크리트 바닥이 얼마나 차가운지 마치 얼음장과도 같았지만, 나는 피곤이 겹쳐 잠이 들었다. 그런데 잠시 후 안전원이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그는 어디서 구했는지, 배를 몇 개 가지고 들어왔다. 아이 주먹만 한 돌배였다. 그는 배를 혼자 먹었다. 그리고 나머지 찌꺼기를 내게 던져줬다. 배가 너무 고파 땅바닥에 떨어진 배 찌꺼기를 얼른 주워 입에 넣었다. 배 찌꺼기가 딱딱했지만 배가 고파 그런대로 먹을 만했다. 나는 그때 세 끼를 굶었다. 배 찌꺼기를 주워 먹으며 ‘꽃제비’(부모 잃고 유랑 걸식하는 아이)들이 떠올랐다. 땅바닥에 떨어진 것을 주워 먹는다고 그들을 무시했는데 다시는 그러지 말자고 생각했다. 

“내가 본 살아있는 무덤 정치법 수용소” 함경 산줄기 아래 고압선이 흐르는 철조망과 높은 망루에는 보초가 서 있다. 55호 교화소 가는길, 로동집결소 가는 길은 죽음의 골짜기로 가는 길이다.[문한수첩]
“내가 본 살아있는 무덤 정치법 수용소” 함경 산줄기 아래 고압선이 흐르는 철조망과 높은 망루에는 보초가 서 있다. 55호 교화소 가는길, 로동집결소 가는 길은 죽음의 골짜기로 가는 길이다.[문학수첩]

 

그런 가운데 민국형과 누운 채로 조심스럽게 입에 물었던 달러를 꺼냈다. 이곳에 오기 전 안전을 위하여 백 달러 한 장을 바꾸어 비닐에 싸서 입에 물고 왔다. 네 시간쯤 자고 눈을 뜨니 날이 훤히 밝아 있었다. 그날 오후 세 시가 되어 우리에게 첫 식사가 나왔다. 그것은 옥수수밥과 오이 반찬이었다. 우리는 그 옥수수밥을 물도 없이 단숨에 다 먹었다. 옥수수밥 두 명분은 한 사람이 먹어도 부족할 양이다. 그러나 다섯 끼를 굶은 우리에게는 대단히 맛있었다. 요기를 하고 나니 조금 살 것 같았다. 그곳에 있으며 겨우 하루 밤을 못 잔 것인데 피곤해서 죽을 것만 같았다. 옥수수밥 한 그릇을 먹고 나니 식은땀이 흘렀다. 

우리가 잡혀 온 지 사흘째 되는 날 아침, 안전부에는 못 봤던 안전원 네 사람이 들어왔다. 그날 우리 둘과 안전원 네 명이 함께 역전으로 갔다. 안전원 네 명 중 두 명은 총을 메고 있었다. 한 명은 그 아랫마을 소장이었다. 또 한 명은 안전국 지도원이었다. 이렇게 우리 여섯 명은 강 옆에 있는 철길을 따라 걸었다. 때로는 산길을 따라 걷기도 하며 아랫마을 기차역에 도착했다. 

얼마 후 기차가 역으로 들어왔다. 그러자 기차를 타려는 사람들과 함께 장사꾼들이 역의 이곳저곳에서 물건을 팔았다. 먹을 것을 집에서 만들어 와 팔고 있는 장사꾼들이다. 기차에 타고 있던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기차 안으로 들어설 수가 없었다. 이때 안전원이 기차에 오르지 못할 것 같다며 기차의 중간 쪽으로 갔다. 그리고 “우린 범죄자 호송원인데 좀 오르지요”라고 창문 안에 있는 사람에게 외쳤다. 

열차 안에는 사람이 많아 서 있기도 힘들었다. 우리는 간신히 서 있었다. 기차가 몇 시간을 달려 도착한 곳은 1.3상무소조라는 곳이다. 우리는 복도를 지나 제일 큰 사무실에 들어가 벽을 보고 벌을 섰다. 우리를 호송해 온 사람이 보고를 했다. 보고가 끝나자 안전원 중 한 사람이 나에게 발길질을 했다. 구호소 지도원은 도망가지 못하게 신발 끈을 꺼내 민국형과 내 손을 같이 묶었다. 그리고 “몇 살이야”라며 혁대를 풀고 소리쳤다. 나는 “열다섯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때 지도원이 혁대로 왜 나이를 속이냐며 사정없이 나를 내리쳤다. 지도원은 우리가 중국에 몇 달 있는 동안 북한에서와 다르게 식사를 하니 키가 크고 살이 불어 열다섯으로 믿지 못했다. 우리는 진짜라며 계속 말했으나 그들은 믿지 않았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