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 질환]
염증 원인 잇몸병 ‘치은염·치주염’⋯ 치석·플라그 제거로 세균 번식 막아야

잇몸조직이라고도 불리는 치주 조직은 치아 뿌리를 덮고 있는 잇몸 조직 치은, 치아를 감싸 지탱하고 있는 턱뼈의 일부로 구성된 치조골, 치아 뿌리를 덮고 있는 백악질, 백악질과 치조골을 연결하여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치주질환은 치아 주위 조직에 발생하는 구강질환으로서 유병률이 높다. 구강 내에는 300여 종의 세균들이 살고 있으며, 이러한 세균들은 음식 및 타액과 섞여서 치아에 부착되는  치태( 플라그 )라는 얇은 세균막을 이룬다. 치태가 잘 닦아지지 않아서 그대로 굳어져 단단해지면 치석이 된다. 치석의 표면에 세균막이 쉽게 부착되어 독소를 방출하게 되고 그 주변 조직에 염증 반응이 생성되어 치아를 지지해 주는 조직이 손상된다. 잇몸질환은 질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뉜다.

치은염은 연조직에만 국한된 가벼운 초기 잇몸질환이며, 간단한 치료로도 회복이 가능하다. 잇몸 선 아래 부분을 공격하여 치주인대와 잇몸뼈까지 손상된 상태를 치주염이라 한다. 치주염은 만성질환이라 초기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붓거나 곪는 증상, 치아가 시리고 흔들리는 증상, 입 냄새 등으로 나타난다. 

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되면 고름이 나오거나 치아들이 솟고, 내려오거나 뻐드러진다. 뻐드렁니는 웃을 때 보이게 되는 앞니에서 두드러짐으로 대인관계에서 심리적 위축 현상을 야기한다.

잇몸의 염증은 치태에 의한 것과 치태에 의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된다. 치태에 의한 것은 순수하게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며, 치태에 의하지 않은 잇몸의 병소는 특이한 박테리아에 의한 것으로  사춘기, 생리주기, 임신, 당뇨 같은 내분비계나 백혈병 같은 혈액질환의 영향을 받은 것, 항고혈압제, 항경련제, 면역억제제 등에 의한 잇몸의 과다 비대, 경구피임약과 연관된 약물 복용에 따른 것, 아스코르브산 같은 영양결핍에 의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염증에 의한 잇몸병 중 치은염과 치주염은 가장 흔한 질병이며 치주염은 치아 상실의 주 원인이다.

치아가 저작작용을 하다 보면 치아 사이가 벌어져 있거나, 부정교합이 있으면 음식물 찌꺼기가 끼게 되고 제거하기도 어려워져서 충치나 치주질환로 이어지기도 한다. 부정교합은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나 혀를 앞으로 내밀어대는 반복된 행동의 정형화로 인한 비정상적 치아 위치의 변화, 유전적인 선천적 부정교합, 코로 숨을 쉬지 않고 입을 벌려서 숨을 쉬는 등의 이비인후과 질환, 유치열부터 관리를 잘못해 일찌감치 발치가 된 상황 등의 환경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치열 교정, 턱 교정, 악 교정수술 등의 교정 치료를 하게 되면 부정교합 개선에 의해 치주질환 예방이 된다.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에도 이전의 구강 관리 습관을 개선하지 않으면 치아를 닦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입 안에서 냄새가 나고 임플란트 주변에서 피가 나고 부었다 가라앉았다 하는 증상이 발생한다. 임플란트 치료를 마친 후에는 임플란트를 맹신하여 칫솔질도 신경쓰지 않고 치과에도 내원을 하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연령이 있는 임플란트 시술자는 수시로 치과에서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염증은 치주염과 비슷하며 원인과 증상도 유사하여 임플란트 주위 잇몸이 빨갛게 변하며 붓고 피가 난다. 심해지면 잇몸이 증식하고 고름이 나오며 점점 더 악화되면 임플란트가 흔들린다. 잇몸뼈의 소실 없이 임플란트 주변 잇몸에 염증 증상을 나타내는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과 잇몸뼈에 염증 증상으로 임플란트 주변 잇몸뼈 소실이 동반되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있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은 환자의 약 80% 정도, 임플란트 주위염은 약 53%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임플란트 주위 질환 감염은 진행 심도와 속도가 빠름으로 치료 예후는 어려운 편이어서 진료 시에 세정 및 소독과 함께 잇몸 수술로 임플란트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고 뼈 이식과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치료 결과가 어려움으로 정기적인 유지관리 치료가 필수적이다. 당뇨병 환자나 흡연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유지 관리를 해야만 한다. 또한 단백질, 비타민 등의 영양부족, 호르몬 장애, 흡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이 치주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치주질환의 치료는 세균성 플라그와 치석을 제거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스케일링이 최우선이다. 먹는 잇몸 치료약, 양치액 클로르헥시딘, 잇몸과 치아 사이에 넣는 특수 약제와 세균 박멸을 위한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잇몸 염증의 치료 첫 단계는 정확한 칫솔질로 치태 조절과 식이 조절, 스케일링과 치근 다듬기, 불량보철물 제거,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독시사이클린 계통의 항생제 처방, 부정교합 제거를 위한 교정 치료, 흔들리는 치아는 치아 보정으로 고정하며 주기적으로 치주낭과 잇몸 염증을 점검한다. 

첫 단계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포함한 치주수술과, 치주질환이 진행되면서 세균의 침범이 치아 주위 조직에만 국한되지 않고 치아의 신경관으로 확대된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시행한다. 신경치료가 이루어진 치아는 흔들림도 많이 감소됨으로 보철물을 올려서 심미적 측면과 교합면 개정이 가능해진다.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발표에 의하면 치주질환이 감기에 의한 급성기관지염을 제치고 외래 진료 1위로 올라섰다. 그만큼 구강건강 관리가 평상시에 잘 유지되어야 한다. 정기적인 관리 및 점검을 통해 치태, 치석의 제거와 잇몸 상태 확인과 교합, 치아가 흔들리는 정도, 병리적 변화 여부 확인 등의 유지 관리가 요구된다.

<김재호 치과 원장>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