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숨겨진 뇌의 비밀을 파헤치다

‘뇌를 훔친 소설가’는 인간의 뇌에서 벌어지는 여러 신경과학적 메커니즘들이 옛 문학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파헤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석영중 교수는 오랫동안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등 대문호들의 작품과 삶을 연구해온 러시아 문학 전문가이다. 그런 그가 이번에는 문학과 신경과학의 접점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최근 ‘톨스토이와 신경과학’ ‘도파민, 닥터 지바고의 글쓰기를 신경과학적으로 바라보는 한 가지 방법’ 등의 논문을 발표했고 드디어 ‘뇌를 훔친 소설가’를 펴냈다. 이 책에서는 러시아 문학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권 문학작품까지 두루 살펴보면서, 그동안 단순히 예술로만 치부해온 문학 속에 감춰진 인간 뇌의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뇌과학에 대한 편향된 기대, 문학에 대한 과소평가

최근 몇 년 간 독자들은 쏟아져 나오는 뇌과학 책들 사이를 걸으며 즐거움을 만끽해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뇌과학에 시선이 집중되다 보니, 뇌과학이 마치 인간의 의식에 얽힌 비밀을 모두 파헤쳐 줄 것처럼, 언젠가는 유일한 해답을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학자와 독자들이 늘어났다. 물론 부분적인 성과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뇌과학은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인간의 의식과 마음은 사실 뇌과학의 힘을 빌리지 않더라도 들여다 볼 수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뿐 아니라 뇌과학이 출현하기 훨씬 이전의 사람들도 가능했다.

특히 보통 사람들보다 조금 더 치밀하게 인간을 연구하느라 고심했던 이들은 그 도구를 제공해주었다. 푸슈킨, 톨스토이, 프루스트, 괴테 같은 문학가들이 그러하다. 그들의 문학작품은 더할 나위 없이 탁월한 인간탐구보고서이다.

예를 들어, 푸슈킨의 작품 속 여주인공 타티야나는 감정이입에 관여하는 ‘거울뉴런’의 작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이다(1부 ‘흉내’).

요즘 흔한 말로 ‘글로 연애를 배운’ 타티야나는 자신이 읽은 소설 속 러브스토리를 현실 속 오네긴과의 사랑과 혼동하고 급기야 표절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오네긴이 떠난 순간 모방이 모방임을 알아차린 뒤 자신의 눈으로 삶을 만들어간다. 여기서는 바로 모방을 억제하는 ‘슈퍼거울뉴런’의 메커니즘을 엿볼 수 있다.


뇌를 읽은 소설가들을 따라 뇌를 읽는 즐거움

또한 흔히 ‘이루어질 수 없는 슬픈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으로만 잘 알려진 닥터 지바고는 사실 자신의 온 삶을 통틀어 ‘시 쓰기’에 몰입한 인물이다(2부 ‘몰입’).

그가 사랑한 라라는 시적 영감에 다름 아니었다. 그는 가혹한 역사의 소용돌이 앞에 개인이 할 수 있는 건 예술로서 삶을 창조하는 것이라 믿었다. 극도의 몰입 상태에서 도파민이 주는 행복감과 의의를 이 작품은 잘 보여줬다.

이 외에도 3부 ‘기억과 망각’에서는 감각과 회상의 연결고리를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속 마들렌을 통해 살펴보고, 애거서 크리스티는 어떻게 억압된 기억을 추리소설의 원동력으로 삼았는지 살펴본다.

4부 ‘변화’에서는 신경가소성을 평생학습으로 몸소 보여준 톨스토이와 고골의 삶을 들여다보고, 체호프가 진부한 삶에 대해 얼마나 역설적으로 비판했는지 보여준다.


뇌과학의 윤리적 문제에 필요한 문학 속 성찰

그러나 ‘뇌를 훔친 소설가’는 뇌과학적 메커니즘을 예고한 문학가들의 위대함을 극찬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이 아니다.

저자 석영중은 서문에서 “문학 속에서 일종의 가정으로 진술되었던 내용들이 생물학적인 증거를 얻게 되고 수천 년 동안 누적되어 온 문학 속의 지혜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썼다. 과학의 시대에 문학을 꼭 읽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도스토예프스키를 비롯한 당대 문학가들이 어떻게 모방범죄의 위험성을 경고했는지 보여주고(1부 ‘흉내’), 증오심의 중독이 파멸을 불러일으킨 ‘모비 딕’의 스토리를 통해 ‘몰입’에도 윤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2부 ‘몰입’).

소설 속 수천, 수만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선과 악의 모습은 인간이 가야 할 길에 대한 사색의 장을 제공한다.


인간을 알기 위한 넘나들기는 계속된다

인문학과 과학의 ‘넘나들기’는 이제 막 시작되었다. 아직은 그 개념을 두고도 여러 가지 목소리가 공존하고, 서로 다른 입장에 따라 방향성을 제시하기 바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인문학자나 과학자나, 아니 독자들까지 끊임없이 더 나은 삶을 위해, 의미 있는 삶을 위한 ‘앎’을 추구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뇌를 훔친 소설가’는 그 열린 시각의 시작점에서 유의미한 메시지를 던질 수 있기를, 앞으로 인문학과 과학의 대화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라는 책이다.

[김선영 기자] ahae@dailypot.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