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硫酸)물에 목욕을 하다

[일요서울ㅣ정재호 기자]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는 ‘장길수 가족’ 탈북을 주도한 주인공이다. 문 대표는 지난 1999년 문구 사업을 위해 중국에 진출했다가 알게 된 조선족 여성을 통해 길수 가족과 친척을 소개 받았다. 당시 15명이나 되는 길수 가족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탈출했다. 문 대표는 지난 7월28일 일요서울과의 만남에서 “20년째 북한인권운동을 해왔지만 북한의 인권상황과 중국에서 떠돌는 탈북자 인권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2000년 문 대표는 길수 군과 그의 가족이 경험한 북한의 인권실태를 글과 그림으로 알리기 위해 ‘눈물로 그린 무지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현재 책은 절판됐다.

 

아연을 훔치러 제련소로 들어가는 어린이들. 한 어린이가 제련소의 담장 밑을 통과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아무것이나 닥치는 대로 훔쳐 팔아야 합니다. [문학수첩]
아연을 훔치러 제련소로 들어가는 어린이들. 한 어린이가 제련소의 담장 밑을 통과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아무것이나 닥치는 대로 훔쳐 팔아야 합니다. [문학수첩]

이화영 – 이화영 씨는 장길수의 이종사촌이다. 함경남도 단천 출생으로 일가족 다섯 명이 1999년 1월 탈북했다. 이 씨의 글은 장길수가 쓴 ‘눈물로 그린 무지개’에 게재됐다. 이 씨는 책이 출판된 2000년 당시 16세였다. 글을 쓰고 있을 1999년엔 식당으로 일을 다녔던 이 씨의 어머니는 중국 공안에 적발돼 북한으로 강제 송환됐다. 이후 이 씨의 어머니는 다시 탈북하여 2001년 한국에 정착했다. 

이동학 - 이동학 씨는 장길수의 이모부이자 이화영 씨의 아버지다. 함경북도 화대군 출생으로 노동당원이다. 1999년 1월 탈북했다. 이 씨의 글은 장길수가 쓴 ‘눈물로 그린 무지개’에 게재됐다. 이 씨는 책이 출판된 2000년 당시 48세였다. 

-살길은 오로지 탈출뿐이다

<이화영 스토리>
우리 집에서 40분 정도 걸어가면 아연을 제련하는 공장이 있다. 이 공장은 내게 도둑질 대상이었다. 나는 처음으로 그곳에서 도둑질을 배웠다. 첫 번째, 두 번째 날은 공장 보위부원에게 들켜 매를 맞고 입고 갔던 옷도 모두 뺏겼다. 그러나 나는 그만두지 않았다. 셋째 날 기어코 훔친 아연을 되팔아 500원을 벌었다. 

공장의 1층을 ‘조 바닥’이라고 불렀다. 조 바닥은 빛이 들지 않는 암흑 세상이다. 어둡기만 해도 괜찮았다. 2층 ‘전회장’으로 오르는 기둥을 통과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그 기둥에는 언제나 유산물이 흐르고 있었다. 그것뿐이 아니었다. 도적질하는 아이들을 감시하는 보위대, 무장보위대, 안전부 순찰, 직장 순찰, 직장 경비원들이 겹겹이 둘러싸 있었다. 

아무 빛도 들어오지 않는 캄캄한 공장 안. 기둥을 받아 머리에 피가 흐르기도 하고, 발을 헛디뎌 유산 탱크에 빠지기도 했다. 유산물에 빠지면 온몸이 가려웠다. 오래된 공장이어서 유산 물이 어디서나 흘렀다. 아이들은 유산물이 흘러가는 액 통을 ‘수채’라고 불렀다. 아이들은 수채를 붙잡고 잘 뛰어다녔다. 어느 날 정치대학 학생들이 와서 그곳을 지켰는데, 그들에게 걸려 실컷 매를 맞았다. 열두 살 막내 동생이 머리가 터지도록 맞아 헛소리까지 했다. 

이곳에서 많이 드나든 곳은 ‘드로스 작업반’이었다. 드로스란 아연을 녹일 때 거품과 함께 부산물이 뜨는데, 그 부산물을 가리켜 드로스라고 한다. 드로스 꼬투리라 하면 드로스를 체로 칠 때 나오는 작은 아연 알갱이를 말한다. 아이들은 거지꼴로 공장에 와서 도둑질을 했다. 오빠가 잡혀 매를 맞고 있는 걸 봤다. 우리는 먹고 살길이 막막해 계속 도둑질을 했다. 어떤 아이는 2층에서 쫓겨 내려오다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그 아이는 여덟 살 이었다. 

우리가 훔쳐온 ‘드로스’를 집으로 들고 가면 아버지 어머니가 그것을 절구통에 넣어 빻았다. 그러면 그 가루가 날리면서 온통 고약한 냄새가 진동을 했다. 냄새뿐만이 아니라, 목이 아리고 먼지를 뒤집어썼다.

파랗게 분이 나도록 빻아야 했는데,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 밤잠을 자지 못하고 일을 할 때가 많았다. 드로스가 없어지자 우리는 모두 ‘까드’를 훔쳐 기다리고 있던 어른들에게 줬다. 우리는 첫날에 ‘전희 직장’에 들어가 35원밖에 못 벌어, 다음부턴 매일 200원씩 벌었다. 오빠와 나는 거의 매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도둑질을 했다. 그렇게 하니 매도 많이 맞았는데, 총의 개머리판으로 맞는 것은 일상이었다. 그래도 계속 할 수밖에 없었다. 도둑질하다 걸리면 찬물에다 집어넣기도 하고 유산물 속에도 넣었다. 

그리고 기합도 주는데, 팔굽혀 펴기 500개를 시킬 때도 있고, 땅바닥에 기어 다니는 기합을 100번시키기도 했다. 나는 여성이기에 대개 노래를 불렀다. 다른 아이들보다 노래를 조금 부를 줄 알다보니, 남들처럼 많이 맞지 않고 그냥 올 때도 있었다. 그래도 종종 매를 맞아야 했다. 그런 날이면 고통과 분함을 참을 수 없어 다시는 도둑질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그렇지만 아침이 되면 다시 마음을 다잡고 살기위해 공장을 향해 집을 나섰다. 

가을 추수기는 가장 기다려지는 계절입니다. 훔쳐낼 수 있는 식량들이 들녘에 널려 있기 때문입니다. 체면치레를 하다가는 굶어죽기 십상입니다. [문학수첩]
가을 추수기는 가장 기다려지는 계절입니다. 훔쳐낼 수 있는 식량들이 들녘에 널려 있기 때문입니다. 체면치레를 하다가는 굶어죽기 십상입니다. [문학수첩]

 

<이동학 스토리>
탈북하기 얼마 전이다. 내가 다니던 기업소 소속 고기잡이배를 탔던 친구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내가 그에게, “제철에 고기를 많이 잡아서 돈을 벌었겠다”고 하니, 그는 “해상 출입을 하는 군대에 상납하고, 배 기름 값으로 지불하고, 뱃사람들끼리 돼지를 잡아먹으면 나가는 돈이 많다. 그리고 초급 당비서, 지배인, 또 기타 간부들한테 적지 않게 돈이 나가서 어부라 해도 크게 버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여름에는 제일 큰 낙지를 골라 잘 말려놓은 것을 100드럼씩이나 초급 당비서한테 가져갔다고 했다. 시장에서 크고 좋은 낙지가 한 드럼에 500~600원, 어떨 때 700원 할 때도 있다. 초급 당비서가 운전수를 시켜 매일 부둣가에 보내는데 그럴 때마다 가져간 생낙지는 또 얼마나 많을지 생각됐다. 
그 양은 아마도 어부들이 가져간 양의 몇 배는 될 것이다. 모두 합치면 몇 십만 원은 충분히 된다. 내가 살던 북한은 ‘인민대중의 사회’가 아니라 ‘간부의 세상’이다. 그 친구 집에 가면 해마다 집안 분위기가 달랐다. 어느 날 가니 그 친구집에 TV가 있었다. 그 다음엔 녹음기가 있었다. 식생활 수준도 우리와는 비교도 되지 않았다. 

그래서 외국에 노무를 나가 돈을 벌어 생활하는 것이 괜찮을 것 같았다. 나도 몇 번에 걸쳐 시도했다. 노력 끝에 1996년 노무신청(소련 벌목공)을 해놓았더니 선발되었다고 소식이 왔다. 그때, 나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였다. 아내는 물론 온 가족이 힘을 모아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했다. 노무를 나갈 때 보태려고 아이들이 소중하게 아꼈던 손풍금도 팔았다. 아버지가 외국에서 돈 벌면 더 좋은 것을 사줄 테니 조금만 참고 있으라고 아이들을 설득했다. 아이들은 서운하고 아쉬워했지만 내 말에 동의를 했다.

그동안 가까운 곳에 있는 형제들에게 찾아가 좋은 낙지도 몇 드럼 가져왔다. 그리하여 기초 문건 작성과 신체검사를 거쳐 도에까지 올라갔다. 도당 과장과 지도원이 준 신체검사표를 가지고와 인민 병원에서 신체검사까지 끝냈다. 그런데 도에서는 다음 지시가 있을 때까지 내려가 기다리라고 했다. 몇 달이 지났지만 아무 소식이 없었다. 

이후 알아보니 국가에서 외국에 파견할 때 쓸 외화가 없었다. 결국 첫 번째 대외 노무의 꿈은 깨졌다. 내 자식들의 실망은 더할 나위 없이 컸다. 아이들이 배우던 손풍금도 팔아 버렸으니, 아이들 보기가 너무나 미안했다. 지금도 손풍금을 보거나 길가에서 그 소리를 들을 때면 자식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