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위협’ ‘코로나 블루’ 엎친 데 덮친 격

탑골공원 앞 마스크 착용한 시민들. [뉴시스]
탑골공원 앞 마스크 착용한 시민들. [뉴시스]

[일요서울 | 조택영 기자]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계층이 있다. 바로 고령층이다. 코로나19의 전체 치명률은 1.75% 수준이지만 80세 이상에게는 21%가 넘는다. 30~50대는 0%에 그치고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위험한 셈이다. 게다가 일자리 위협과 코로나 우울까지 덮치고 있어 고령층에게 암울한 그림자가 드리워진 상황이다.

코로나19 최대 위험 계층인 고령층’, 치명률 치솟는다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의 경우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치명률이 두드러지게 올라간다는 점이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위기대응분석관이 지난 8일 밝힌 내용이다.

지난 14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사망자는 438명이다. 사망자 중 50% 이상인 221명이 80세 이상 고령자다. 70~79세 사망자는 143명으로 전체의 약 33%에 해당한다.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약 83%가 70세 이상 고령자라는 얘기다. 고령층은 코로나19의 최대 위험 계층으로 꼽힌다.

80세 이상 환자

5명 중 1명 사망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간한 ‘노인들의 코로나19 감염 현황과 생활 변화에 따른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80세 이상 연령의 코로나19 치명률은 21.26%에 달한다. 날이 갈수록 치솟고 있다. 전체 평균은 1.75% 수준이다. 치명률이란 확진자수 대비 사망자수의 비율이다. 환자 5명 중 1명이 사망하는 수준인 셈이다.

반면 30대는 0.07%, 40대는 0.12%, 50대는 0.43%로 0%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60대는 1.17%, 70대는 7.28%로 증가한다. 그러다가 80대로 가면 20%를 넘어서면서 급증하게 된다.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해외에서도 이런 노인층의 높은 치명률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85세 이상 확진자의 치명률이 20대에 비해 630배 높다고 밝히고 있다. 75~84세는 220배, 65~74세는 90배가 높다고 한다.

5월 기준, 55~79세 실업자

전년 동월 대비 8만 명↑

코로나19는 고령층의 일자리도 위협하고 있다. 통계청의 ‘2020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고령층(55~79세)의 취업 여건은 이전보다 어두운 실정이다. 지난 5월 기준 55~79세 실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8만 명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23만5000명이던 실업자 수가 1년 사이 31만4000명까지 늘어났다. 실업률도 같은 기간 2.9%에서 3.8%로 0.9%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에 있던 고령층이 일자리를 찾아 나서면서 실업자로 재분류된 까닭도 있겠지만 코로나19 이후 실직한 이들이 이렇게 늘었다는 점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는 고령층이 주로 일하는 공공 일자리가 중단된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 블루(코로나 우울)’까지 고령층을 강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출입 등 외부 사회 교류 활동에 지장이 생겼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6만7192개 경로당 가운데 운영되고 있는 곳은 1만5788곳으로 23.5%에 불과했다. 노인복지관은 394곳 중 단 10곳만 운영됐다. 물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시설 운영이 재개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용 인원, 운영 시간이 제한된 곳이 많은 실정이다.

서울시 강동구청이 실시한 코로나19 전‧후 복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울척도(CES-D) 11개 문항 평가에서 전체 응답자 평균이 17점으로 나타났다. 총점이 16점 이상인 경우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다. 특히 60대 남성이 20.6점, 70대 여성이 19.6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이 조사는 지난 6월에 실시됐기 때문에 8월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상황은 더 악화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보고서를 통해 “정부와 지자체는 노인층, 특히 저소득 노인들의 소득 및 일자리 현황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또 노인일자리사업 목표 74만 개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사업계획 변경(비대면‧실외로 전환)을 독려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양질의 민간부문 노인일자리 발굴을 위해서도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