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길은 오로지 탈출뿐이다

[일요서울ㅣ정재호 기자]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는 ‘장길수 가족’ 탈북을 주도한 주인공이다. 문 대표는 지난 1999년 문구 사업을 위해 중국에 진출했다가 알게 된 조선족 여성을 통해 길수 가족과 친척을 소개 받았다. 당시 15명이나 되는 길수 가족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탈출했다. 문 대표는 지난 7월28일 일요서울과의 만남에서 “20년째 북한인권운동을 해왔지만 북한의 인권상황과 중국에서 떠돌는 탈북자 인권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2000년 문 대표는 길수 군과 그의 가족이 경험한 북한의 인권실태를 글과 그림으로 알리기 위해 ‘눈물로 그린 무지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현재 책은 절판됐다.

북한에서는 배가 고파 무릎을 꿇고 빌어도, 밥 한 술 얻어먹기가 힘들었습니다. [문학수첩]
북한에서는 배가 고파 무릎을 꿇고 빌어도, 밥 한 술 얻어먹기가 힘들었습니다. [문학수첩]

 

이동학 - 이동학 씨는 장길수의 이모부이자 이화영 씨의 아버지다. 함경북도 화대군 출생으로 노동당원이다. 1999년 1월 탈북했다. 이 씨의 글은 장길수가 쓴 ‘눈물로 그린 무지개’에 게재됐다. 이 씨는 책이 출판된 2000년 당시 48세였다. 

-낮엔 ‘사회주의’ 밤엔 ‘자본주의’

<이동학 스토리>
“아버지, 농장 간부나 농장원이나 다 도적질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밤이면 소달구지로 실어다가 자기 집으로 가져갑니다. 또 몇몇 통하는 사람들끼리 나누어 먹습니다. 과일이면 과일, 강냉이면 강냉이, 채소면 채소, 어쨌든 자기네한테 있는 것을 위해 보고하기 전에 빼돌려 자기네 욕심을 차립니다. 그런 걸 일부는 집에서 소비하고 일부는 장마당에 내다 팝니다. 우리 학급의 아이 집에서 놀러갔을 때, 내 눈으로 직접 보기도 했고 그 애들이 나에게 그렇게 이야기 했어요”

‘낮에는 사회주의를 하고 밤에는 자본주의를 한다’는 뜻이었다. 가만히 듣고 있던 둘째와 막내도 이런 저런 말들을 한마디씩 보탰다. 아버지에게 세상 돌아가는 형편을 납득 시키려고 했다. 내가 왜 그런 것을 모르겠는가. 이미 공장이나 농장이나 그 어느 직장 할 것 없이 생산물이나 원료, 자재를 이런 저런 방법으로 빼돌리고 있었다. 간부들은 간부들대로, 노동자나 농민은 그들대로 방법이 있는 것이다. 나도 그것을 모르는 바가 아니었으므로 아이들 말에 그냥 허허 웃고 말았다. 

한번은 맏이가 얼굴에 피가 낭자해서 집에 왔다. 사연을 들으니, 강냉이 농장에 자기 동무와 함께 갔다가 경비원이 던진 돌에 맞았다고 했다. 그런데 눈 바로 위의 이마가 찢어지면서 피가 쏟아지는 것을 손으로 지혈시키며 집에 온 것이다. 내가 걱정하며 타이르니 맏이는 오히려 나를 안심시켰다. 다음번에 가면 경비원이 접근하지 못하게 돌을 던지겠다고 했다. 경비원 한 명 쯤은 얼마든지 견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경비원이 총이라도 쏘면 어쩌려고 그러느냐고 했다. 맏이는 “그까짓 강냉이 몇 이삭을 땄다고 총을 쏘기까지야 하겠습니까.

농사가 잘되든 안 되든 배급소에선 배급도 주지 않는데...이렇게라고 먹고 살아야지요. 간부들이나 물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나 다 국가의 것을 가지고 제 것처럼 행세를 하고 삽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런 행세는 못 해도 먹고 살기는 해야지요. 그네들은 식량 같은 것을 저축해 놓고 살아도, 우린 내일 당장 끓일 쌀이 있습니까. 싸을 살 수 있는 돈이 있습니까”

이런 이야기를 듣고 나는 아이들의 말이 옳다고 지지 해줘야 할지 아님 저지해야할지 판단이 서질 않았다. 내일 당장 끓여먹을 쌀이 없는 것이 사실이었다. 우리가 살던 마을에 얼마 멀지 않은 곳에 ‘단천 아연제련소’가 있었다. 그 기업소는 외화를 벌 수 있는 유색 금속과 기타 부산물이 나오는 곳이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그 기업소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생활 수단’으로, 잘사는 사람들에게는 ‘치부’의 수단이 되기 시작했다. 공장 노동자들도 도적떼로 변했다. 학교도 가지 않고 생활 전선에 나선 아이들과 가정부인들도 역시 도적질을 해야 했다.

집단농장에서 추수한 강냉이를 탈곡장으로 싣고 가는 도중, 강냉이 자루를 몰래 빼돌리고 있는 어느 농민의 모습입니다. 이런 모습은 이제 일상적인 것입니다. [문학수첩]
집단농장에서 추수한 강냉이를 탈곡장으로 싣고 가는 도중, 강냉이 자루를 몰래 빼돌리고 있는 어느 농민의 모습입니다. 이런 모습은 이제 일상적인 것입니다. [문학수첩]

 

우리 아이들은 그 공장에 3년간 출근 하다시피 했다. 그 공장에 가서 온갖 물건을 훔쳐오기 위한 출근인 것이다. 아이들은 저희들 말로 공격을 한다고 말했다. 거기에 오는 아이들을 보면 혼자 오는 아이들, 또는 3형제가 다 오는 아이들, 자기의 어머니와 같이 오는 아이들, 혼자 오는 아낙네들, 낮에만 오는 패, 밤에만 오는 패, 하여튼 많다. 아이들의 말에 의하면 그 공장에서 이렇게 도적질하는 사람들이 100명도 넘을 것이라고 했다. 연령도 다양했다. 어린 아이들도 있고 그보다 좀 더 나이가 있는 청소년들과 청년도 있었다. 젊은 부인도 있고 나이가 많아 허리가 굽은 노인들도 있었다. 

아이들의 옷과 신발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너덜너덜 떨어졌고, 한쪽 팔소매가 없는 옷, 온통 흙탕에 더럽혀진 옷, 쓰레기장 오물장에서도 찾아내기 힘든 옷들이 대부분인데, 그것마저도 유산액 물이 묻어 소가죽처럼 빳빳했다. 우리 집에서는 맏이가 처음으로 그곳에 다니기 시작했다. 그리고 뒤따라 두 동생까지 합세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하루도 쉬지 않고 아이들은 정말 부지런히 다녔다. 힘든 전투에 참가한 전투원처럼 그 공장이 돌아갈 때는 중간 제품을, 공장이 돌지 않아 중간 제품이 없을 때에는 기타 부산물을 훔쳐냈다.  

그 부산물들은 사실은 버리는 것이었는데, 지금은 그것도 외화벌이가 된다고 한다. 우리들은 처음에는 경험이 없어서 도적질 성과가 크게 없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집 아이들처럼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했다. 어떤 때에는 부산물을 몇 킬로그램씩 들고 오기도 하고, 또 어떤 때에는 중간 제품을 몇 킬로그램씩 들고 오기도 했다. 어떤 날은 단속하는 사람들에게 쫓겨 다니다가 빈손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아이들이 아연 부산물을 가져오면 아내와 나는 그것을 절구질을 하고 체로 쳐서 모아놓곤 했다. 모아놓은 것이 많으면 그것을 손 및차에 싣고 외화벌이 단위에 가져다가 넘기고 밀가루나 강냉이를 받아오곤 했다. 절구질을 하고 체질을 할 때 먼지가 옷에 뽀얗게 묻어나고, 얼굴은 먼지와 땀으로 범벅이 되어 말이 아니다. 화학 공장 부산물이기 때문에 콧구멍에 들어가면 코끝이 아리기도 한다. 그래서 절구질과 체질을 할 때에는 마스크를 쓰거나 수건으로 얼굴을 싸매고 한다. 

그러나 그 돌가루 먼지가 피부 속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손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좀 있으면 터서 갈라지며 피가 나오고 딱지가 앉는다. 비누로 씻고 크림이나 고약을 발라도 소용이 없다. 손이 아파서 아이들은 밤에 잠도 제대로 자지 못했다. 그래도 아이들은 아침이면 또다시 ‘공격’하러 나갔다. 아침밥이라야 가루풀죽 아니면 가루풀밥, 국수가 전부이다. 그런 것들을 먹으며 하루도 쉬는 날 없이 계속 ‘공격’을 해야 한다. 저녁에는 대체로 7시경에 오거나 어떤 때에는 아주 늦게 돌아오는데 밤 10시가 넘어서 올 때도 많았다. 저녁 7시가 넘어도 오지 않으면 그때부터 부모들은 조마조마하고 초조한 마음으로 기다린다. 

나 역시 세 아이가 함께 돌아오면 마음이 얼마나 기쁜지 모른다. 아이들은 아무리 힘들고 배가 고파도 공격 실적이 있을 때에는 기쁜 얼굴로 오고, 공격 실적이 적거나 없을 때에는 침울한 기색으로 돌아온다. 아이들은 햇볕에 타고 눈바람을 맞아서 어른들의 얼굴처럼 윤택이 없다. 그 거뭇거뭇한 얼굴을 해가지고 웃으면서 ‘공격’하던 이야기를 한다. 자기가 가져온 것들을 꺼내 보이면서 발랄하게 웃으며 자랑하는 아이들을 볼 때면, 나는 기쁨보다 가슴이 쓰렸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