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정구역 표시와 녹천정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문화재 지정구역 표시와 녹천정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내시 상세 승극철 부부 묘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내시 상세 승극철 부부 묘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일요서울ㅣ박종평 객원기자] 『사기(史記)』는 고대 중국 역사가 사마천(司馬遷)이 저술한 중국 역사책이다. 특히 「열전」 부분은 역사에 관심이 있거나 병법(兵法), 리더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 번쯤 읽었거나 들어본 책일 듯하다. 『손자병법』의 손자, 『오자병법』의 오자, 『사마법』의 사마양저, 노자, 한비자, 맹자, 한신 등 지금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인물의 삶을 생생히 기록했다. 또 그 안에는 역사 논쟁을 초래하는 고조선에 대한 기록도 있다.

사마천은 흉노족과 전투 중 항복한 명장 이릉을 적극 변호했다. 한 무제는 사마천에 분노해 그에게 사형, 벌금, 궁형(宮刑, 남성 성기 거세) 중 한 가지 처벌을 선택할 것을 강요했다. 돈이 없던 사마천은 죽음 대신 ‘남자의 죽음’인 궁형을 택했다. 역사가 집안 출신이고, 같은 역사가였던 아버지 사마담이 그에게 역사서 저술과 그 책을 통해 후세에 이름을 떨치라고 했던 유언을 받들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인류 역사에서 거세당한 남자 중 사마천만큼 큰 위업을 이룬 사람은 없는 듯하다.

허공바위 전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허공바위 전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각심재 전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각심재 전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권력자들의 희생자, 환관

황제나 왕을 보필하는 남자 중 성기가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제거된 사람을 내시(환관)라고 한다. 내시는 우리나라나 중국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리스, 로마, 이집트, 인도 등에도 있었다. 후천적 거세 내시는 사마천처럼 형벌을 받은 경우, 어릴 때 개에게 물린 사고, 스스로 거세하는 사례가 있다. 사마천은 거세됐으나 내시는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마천과 같은 형벌을 통한 내시는 없었다. 대개 내시는 선천적 장애자 혹은 개에게 물려 장애가 생겼거나 의식주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궁궐에 들어가기 위해 자발적으로 거세한 사람들이었다.

우리 역사에는 처절한 거세자도 있다. 무능한 리더와 지배집단의 폭압 결과였던 과도한 군역(軍役) 때문이다. 자식에게 똑같은 고통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스스로 거세했다. 그저 최소한의 생존이 목표였다. 눈물 나는 비극이다. 예나 지금이나 무책임한 리더와 기득권 세력들은 생명을 이어가는 자연의 법칙마저 파괴시킨다.

초안산(楚安山)은 노원구 월계동과 도봉구 창동에 걸쳐 있는 높이 114m의 야트막한 산이다. 초안산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검색해 보면 “조선시대 왕의 남자, 내시들이 잠든 곳, 한여름에도 오싹 내시네 산, 서울 초안산”과 같은 여행기가 나온다. 블로그를 검색해 보면 궁녀 무덤이 있는 산으로 소개하는 글도 있다. 그러나 초안산은 내시만의 산이 아니다. 조선 시대 모든 계층의 묘지가 있는 곳이다. 이는 『경국대전』에 따라 한양 도성에서 10리 안쪽과 사람 사는 집 100보 내에는 묘소를 쓸 수 없다는 규정 때문이다. 도성 인근에서 가장 편리한 위치와 묘 쓰기 좋은 위치가 현재의 초안산이나 영축산, 창동 일대였기 때문에 대규모 묘지가 들어선 듯하다. 현재 초안산이 가장 대규모다.

비석골 근린공원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비석골 근린공원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아기소망길 입구 안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아기소망길 입구 안쪽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국내 유일 500년 된 대규모 분묘군

초안산 가는 방법은 월계동이나 창동이나 어느 곳에서나 다 가능하다. 초안산을 ‘내시네 산’이라고 불리게 된 원인을 제공한 내시 승극철(承克哲) 무덤부터 찾아갔다. 지하철 1호선 월계역 2번 출구 인덕대·인덕공고 방향으로 나가자마자 좌측 산길 계단이 출발점이다. 그 길을 10분 남짓 오르면, 철망으로 된 입구와 정자가 보인다. 철망에는 “사적지 제440호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 문화재 지정구역입니다”란 팻말이 붙어있다. 2002년에 지정되었다. 그러나 팻말과 달리 2011년 ‘서울 초안산 분묘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팻말은 2020년 현재까지 2002년에 머물러 있다.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 안내판에 따르면, 초안산에는 내시를 비롯해 양반과 서민 등 조선시대 분묘 1천 여기가 있고, 내시들의 분묘가 모여 있어 ‘내시네 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다양한 계층 분묘와 많은 석물이 시기별로 분포해 있어 묘제와 석물 변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분묘군이다.

『노원구 초안산 정밀지표조사보고서』(한국미술사연구소, 2000년)에 따르면, 초안산에는 1,154기의 조선 시대 분묘, 폐허가 되거나 이장한 약 400여 기의 묘, 석인상(石人像)과 비석, 상석 같은 석물 약 1,256기가 산재해 있다. 직접 확인해 보면 최근인 1960년대에 조성된 묘도 눈에 띈다. 조선 초인 15세기부터 현대까지 500년 이상의 뭇 사람의 묘가 군집해 있다. 시기와 묘 숫자, 묻힌 사람들, 관련 석물들로 보면, 지금의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대규모 옛 분묘터이다.

초안산 분묘군을 관찰해보면 특이한 점이 아주 많다. 그중 왕릉이나 조선 시대 유명인사의 묘소에 익숙한 사람들은 금방 차이점을 알아챌 수 있다. 흔한 석인상 중에는 여느 곳처럼 문신상과 동자상은 있으나, 문인상과 함께 쌍둥이처럼 존재하는 무인상은 없다. 또 묘비는 없이 묘비 받침대(비대, 碑臺)만 있는 경우도 많다. 처음부터 묘비를 세울 계획 없이 묘비 받침대만 만든 사례이다. 묘소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기 위한 상석에 묘비에 기록할 내용을 새긴 경우도 많다. 묘소 앞에 불을 밝힐 수 있도록 돌로 만든 장명등도 단 1개 밖에 없다.

마음먹기에 따라 운주사 천불천탑이 부럽지 않은 초안산

초안산 분묘군은 조선 시대에서 현대까지 다양한 신분의 무덤이 있고, 규모 측면에서는 가장 오래된 대규모 무덤이다. 확인한 바에 따르면 유일한 사례이다. 그 때문인지 “문화재 지정구역”으로 정했다. 그런데 정작 초안산을 돌다 보면, 이곳이 “문화재 지정구역”이 맞는지 가늠할 수 없다. 경험으로 보면, 초안산처럼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문화재 지정구역은 본 적이 없는 듯하다. 비석이나 망주석, 동자석, 상석 등도 곳곳에 널브러져 있다. 세월의 흔적이고 풍파의 흔적이기도 하다. 훼손된 무덤은 물론이고, 이제는 형태조차 알 수 없게 된 무덤도 천지다. 주인공들은 지금은 잊힌 삶이 대부분이다. 서늘한 죽음의 공간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 정돈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한여름에도 오싹”이라는 표현도 지나치지 않다. 또 초안산 분묘군에는 화순 운주사 불당과 천불천탑의 장엄함, 도선대사 전설 같은 기적,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하나도 없다. 유명세를 탄 곳도 아니다. 등산객이 모여들 만큼 높고 험준한 맛도 전혀 없다.

그러나 실제 초안산은 오싹하기보다는 푸근하고 평범하다. 그저 동네 사람들의 뒷동산 산책 코스일 뿐이다. 산책객들은 분묘군 사잇길을 걷고, 또 이제는 자연이 되어버린 묘소를 묘소인 줄 모르기에 그 위에 난 길을 따라 자연스럽게 밟고 다니기도 한다. 초안산 분묘군은 인간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그 모습 그대로를 보여준다. 그런데도 운주사 그 이상의 신성한 곳이다. 지금 우리나라 그 어디에도 없고, 세계 그 어느 곳에도 없는 500년 시간이 축적된 공간이다. 게다가 500년의 석물 예술품들이 넘친다.

차분히 걷다 보면, 우리처럼 뜨거운 심장을 가진 옛사람들이 그 시대의 이야기를 전하는 듯하다. 무덤 주인들의 흔적이나 지금은 여기저기 흩어진 망주석, 동자석, 상석을 보면 그들의 삶과 염원이 고요히, 부드럽게 손짓하는 듯하다. 초안산에서 죽음이 아닌 생명을, 과거가 아닌 현재를 느껴 보라. 지금의 삶이 얼마나 소중하고, 사람이 얼마나 귀한지 새겨 보라. 낙엽 지는 날, 북풍이 부는 날, 그 스산함에서 거꾸로 생명의 힘을 찾아보라.

사대사상이 담긴 ‘숭정’ 연호와 내시 승극철

월계역에서 올라간 정자에는 녹천정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다. 그 녹천정에 올라 아래를 보면 봉분 두 개와 비석이 보인다. 비석 앞면에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정3품) 행(行) 내시부(內侍府) 상세(尙洗, 정6품) 승공(承公) 극철(克哲) 양위지묘(兩位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숭정(崇禎) 기원후(紀元後) 갑술(甲戌) 삼월(三月) 일(日) 입(立)”이 씌어 있다.

 앞면 비문은 ‘품계가 정3품 통훈대부이지만 실제로 임명되어 활동한 관직은 정6품의 내시부 소속 상세인 승극철과 그의 부인 묘’란 뜻이다. ‘행(行)’은 품계는 높으나 낮은 관직에 임명된 경우를 뜻한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내시 중 정3품 직책은 상온(尙醞) 또는 상다(尙茶)이다. 왕이나 왕세자 등을 시중들거나 술을 빚거나, 다과를 준비하는 일을 담당하는 고위급이다. 비문의 ‘상세’는 궁궐 청소나 주방을 담당하는 등의 일을 하는 내시 직책이다. 내시 중 가장 고위직은 종2품 상선(尙膳)이나 승극철은 그 아래 품계인 인물이다. 조선의 환관들은 성기능 장애자였으나 결혼도 했고, 양자를 들여 환관 가문을 이었다. 그 때문에 환관 가문의 경우는 성(姓)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승극철도 내시가 결혼한 사례이다.

뒷면의 ‘숭정 기원후’에서 ‘숭정’은 중국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연호인 숭정을 뜻한다. ‘기원후’는 조선의 일부 양반들이 명나라를 멸망시킨 청나라를 인정치 않고, 명나라에 절의를 지켜 정신적으로 사대하기 위해 숭정 연호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언어 유희적 표현이다. ‘숭정 기원후 갑술’ 때문에 이 비석이 세워진 연도를 확정하는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숭정’ 연호가 시작된 시점인 1628년을 기준으로 첫 번째 나오는 갑술년으로 본다면, 1634년이다. 또 명 의종이 사망한 이듬해인 1645년을 ‘숭정 기원후 원년’으로 보고 갑술년을 찾는다면, 1694년이다. 묘소 근처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 안내판에는 “1634년(인조 12)”으로 보았다. 그러나 『승정원일기』에서 승극철을 찾아보면, 1682년에는 주방(酒房)으로, 1686년에 주사(注事) 내관(內官)으로 숙종으로부터 어린 말 1필을 하사받은 기록이 나온다. 이로 보면 ‘숭정 기원후 갑술’은 1694년이 타당하고, 안내판의 연도는 오류이다. 승극철 부부의 묘 방향은 서향이다. 죽어서까지 궁궐을 바라보고, 임금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하나, 초안산의 지형이나 여러 묘를 보면 딱히 그런 의미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승극철 묘소에서 녹천정으로 올라가 좌측길을 따라 10분 정도 걸어가면 ‘허공바위’가 나온다. 세워진 바위는 아니다. 땅의 흙이 쓸리고 바위가 드러난 형태다. 소가 7개의 칼을 맞고 쓰러져 있는 죽은 것을 마을 사람들이 발견하고 제사를 지내주기 시작한 바위라고 한다. 처음에는 소 한 마리를 잡아 제사를 지내다가 뒤에는 살아있는 소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변했다고 한다. 허공바위에서도 분묘군으로 갈 수 있다. 그러나 초안산을 둘러 가는 코스가 더 좋다. 10분 정도 가면, 체육시설이 나오고, 다시 문화재보호구역 철망이 나온다. 조금 더 가면 간이화장실이 있다. 아직 정비가 덜 된 곳이라 화장실이 불편하다. 볼일을 보고 가면 편하다. 이어서 초안산생태터널을 지나 월계청백1단지아파트 배드민턴장을 통과해 아파트 입구로 나가면 1930년대 개량 한옥인 ‘각심재’와 ‘예안 이씨 묘역’을 볼 수 있다. 각심재는 일제강점기에 화신백화점을 설계한 박길용의 작품이다. 종로구 경운동에 있었으나, 1994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 설치했다. 관리의 어려움 때문인지 상시 개방하지 않는 듯하다. 답사날에는 담장 밖에서 외관만 볼 수 있었다. 겉모습에서도 전통 한옥과 다른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파손된 문신상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파손된 문신상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누워있는 문신상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누워있는 문신상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넘어지고 뒤집히고 묻힌 석상들

다시 5분 정도 월계고등학교 쪽으로 가면 입구 바로 옆에 ‘비석골 근린공원’이 나온다. 초안산에 있는 각종 비석 등을 모아 전시한 공간이다. 시민들의 휴식처이기도 하다. 근린공원 끝 편에 ‘분묘군’의 진짜 모습을 볼 수 있는 시작점인 ‘아기소망길’ 입구가 나온다. ‘아기소망길’이라는 이름은 아기를 낳을 수 없는 내시 부부의 염원을 빌어 현대인들이 지은 명칭이나, 500년 조선시대 분묘군을 ‘내시네 산’으로 가두는 듯한 아쉬움을 주는 이름이다.

‘아기소망길’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한 쌍의 문익석이 길 좌우에서 나그네를 환영한다는 듯 서 있다. 조선 분묘군의 시작을 알린다. 또 가다 보면, 동자석 한 기가 갈래 길 사이에 반쯤 묻힌 채 지나가는 이를 조용히 지켜본다. 상석과 향로석도 길가에서 당당히 버티고 있기도 하다. 숲 사이 사이에는 반쯤 묻힌 비석도 보인다. 다가가 살펴보면 비석조차 잊어달라는 듯 글자의 흔적조차 마모되어있다. 버려진 듯 넘어져 밑둥이부터 보이는 망주석도 있다. 상석 위에 넘어진 묘비도 보인다. 엎어진 묘비의 안쪽을 보면 글자가 보이나 읽기는 어렵다. 길을 갈수록 문인석들이 계속 반긴다. 그 와중에 가슴을 탁 두드리는 문인석이 보인다. 가슴 위쪽이 잘려나간 문인석이다. 그 자체로도 세월의 흔적일 수 있으나, 씁쓸한 마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렇게 ‘아기소망길’입구에서 초안산 정상길, 잣나무 힐링숲 방향으로 20여 분 올라가면 ‘상궁 개성 박씨 묘(잣나무힐링숲)’ 안내판이 나온다. “비문이 남아있는 단 3기의 궁녀 묘비 중 하나로 왕의 여자로 평생을 살아가야 했던 궁녀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에는 오류가 있다. 현재 9기가 있고, 왕만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왕실의 여자이기 때문이다. 나무에 매여있는 ‘상궁 개성 박씨 묘’ 방향 표시를 따라가면 ‘아기소망길’에서 오를 때와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서민의 무덤이 아닌 최소한 벼슬을 했던 듯한 사람들의 각종 묘비와 상석 기타 석물들의 곳곳에 펼쳐져 있다. 그중 하나는 비석 윗부분 3분의 2가 깨져 사라지고 아랫부분만 남아있다. 남은 부분에 깊이 새겨진 글자를 보면, ‘가선대부’이고, ‘절제사’였던 사람과 그의 부인에 대한 비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어느 상석의 경우는 비석을 대신해 상석에 “절제사(節制使) 김공(金公) 휘(諱) 만청(滿淸) 묘(墓)”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김만청(金滿淸)은 『승정원일기』에도 나온다. 경종 4년(1724년) 7월 17일에는 임사별장(林土別將), 영조 17년(1741년) 2월 3일에는 고금도첨사(古今島僉使), 영조 33년(1757년) 5월 20일에는 전 첨사(前僉使)로 나온다. 『정조실록』 정조 13년(1789년) 2월 18일에는 ‘金萬淸(김만청)’으로 ‘만’자가 다른 인물이 나오나, 실록 기록 속 김만청 아들 김구중과 『승정원일기』 영조 33년(1757년) 5월 20일 속의 김만청(金滿淸)과 김구중(金九重)으로 보면 동일이다. 실록 기록에서 특이한 것은 김만청의 고모할머니가 궁녀였다는 점이다. 그녀는 6살에 궁궐에 들어와 90세 가까이 궁궐에서 효종과 현종, 영조를 모셨던 상궁이었다.

조선국 상궁 개성 박씨 묘비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조선국 상궁 개성 박씨 묘비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갈림길 사이 동자석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갈림길 사이 동자석 [사진=박종평 객원기자]

무성한 잡초 속 ‘자주국 조선’ 궁녀 개성 박씨

비석과 조선 시대 분묘들을 지나 20m쯤 내려가 좌측 숲 샛길로 가면 ‘연일 정공 기홍지묘’라는 상석이 보인다. 그 우측 위쪽에 ‘상궁(尙宮, 정5품) 박씨(1706~1763)’의 묘비가 보인다. 『노원구 영축산과 장묘문화』(박상진, 노원문화원, 2017년)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궁녀 묘비는 9개이다. 또 박상진씨에 따르면, 초안산 인근 영축산에는 1599년에 세워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상궁 박씨’의 묘비, ‘상궁 선산 천씨’의 묘비도 있다고 한다. 본래 궁녀는 궁궐에서 일하는 여성으로 10세 전후에 궁궐에 들어가 대략 15년 동안 수습 궁녀로 있다가 정식 궁녀가 된다. 그 뒤 30년이 지나야 상궁에 오른다. 즉 궁녀 최고 직급인 상궁은 외롭고 힘든 궁궐 생활 45년이 되어야 비로소 오를 수 있는 자리이다. 궁녀들은 왕비나 후궁처럼 시중받는 사람들이 아니라, 실질적인 궁중생활의 주인이고, 궁중 의식주의 창조, 계승의 주인공이다. 상궁은 최고 리더이다.

발견 초기 사진을 보면, 비석이 부러져 흩어져 있다. 지금은 보수해 놓았다. 비문 앞면은 “조선국 상궁 개성 박씨묘”, 뒷면은 그녀의 출신에 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연일 정씨 묘 위쪽에는 그녀의 증조부인 박근후 부부의 묘가 있다. 상궁 박씨의 비석은 여느 사대부 묘비와 다른 점이 있다. 사대부 묘비는 대개 ‘유명(有明) 조선국(朝鮮國)’이 들어있다. 박씨의 경우는 ‘유명(有明)’이 없다. ‘유명(有明)’은 명나라의 제후국 조선을 뜻한다. ‘유명(有明)’이 없는 박씨의 묘는 ‘조선’ 그 자체를 의미한다. 궁녀 상궁의 묘비에서 자주국 조선의 기개를 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고맙고 반갑다.

그런데도 박상궁의 묘를 보면 안타깝다. 묘비는 보수했으나, 묘소를 찾아가는 길 안내는 어설픈 정도를 넘어선 무책임한 수준에 가깝다. 묘소 주변은 잡목과 잡풀로 가득하다.

근거 불분명 ‘초안산’ 명칭, 배초향 가득 초안산

초안산에 있는 옛 묘비들을 보면, 현재의 초안산 일대의 옛 명칭들도 나온다. 박상궁 묘비에서는 “해동촌(海東村) 각심사(角心寺), 다른 묘비에서는 ‘해동촌 초헌현(軺軒峴)’, ‘초헌현’, ‘초현(軺峴)’, ‘마산리(馬山里)’, ‘해동촌 답동(沓洞)’, ‘해등촌(海等村)’이다. 김상헌의 『청음집』에서는 ‘해동촌’, 강위의 『고환당수초』에서는 ‘해등촌 초헌현’, 이광려의 『이창봉집』에서는 ‘동교 초헌현(東郊軺軒峴)’, 정조의 일상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일성록』 정조 17년(1793년) 5월 17일에서는 ‘초헌현(軺軒峴)’과 ‘해동촌(海東村)’이 각각 나온다. 산 이름이 명시된 사례로는 김조순의 『풍고집』과 홍원섭의 『태호집』이 있다. ‘귀록산(歸鹿山)’이다. 현재의 초안산 명칭은 그 유래가 불분명하다. 문헌 조사를 통해 제 명칭을 찾아야 할 듯하다.

초안산에는 곳곳에 우리나라 토종 허브라고 평가되는 박하 향기 나는 배초향(방아풀) 꽃이 피어 있다. 상궁 박씨 묘소 부근에도 군락지가 있다. 초안산 정상 부근 헬기장① 좌측 아래편에 있는 작은 운동시설 밑에는 제대로 된 배초향 군락지가 있다. 배초향 꽃에 몰려든 수백 마리나 될 꿀벌들의 윙윙 소리로 귀가 따가울 정도다. 배초향 역시 허브답게 살짝 건드려 진한 향내가 밀려온다. 

초안산 정상을 지나 삼각점, 헬기장②를 거쳐 주공4단지 방향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노원구에서 도봉구 창동으로 바뀌어 있다. 초안산교를 건너면 좌측에 ‘순흥 안씨 묘역’이 나온다. 이 역시 조선시대 분묘들이다. 가문에서 관리를 하는지 깔끔하게 정돈돼 있다. 다시 10분 정도를 가면 ‘창2동 작은과수원, 초안산 어르신문화센터’가 나온다. 도심의 빌라 등이 지나온 숲속의 망주석과 비석을 대신해 서 있다. 가까운 지하철역은 4호선 쌍문역이다. 초안산 정상에서 창골마을붕붕도서관 방향으로 내려가면 1호선 녹천역으로 갈 수 있다. 초안산 답사는 4시간이면 충분하다.

봉분으로 보이던, 봉분인지 평지인지 구분이 되지 않든 간에 조선시대 분묘는 사색객에게 삶을 돌아보게 해 준다. 서 있거나 누워 있거나 뒤집혔거나 반쯤 묻혔거나 앞뒤 조금만 보이거나 해도 동자석, 문인석, 비석, 망주석, 상석들은 누군가의 삶을 기억하게 해 준다.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 수는 없으나 모든 삶은 다 닮았기 때문이다. 보면 볼수록 운주사 천불천탑이 떠오른다. 다만 천불천탑과 달리 뭔지 모를 애잔함과 따뜻함을 풍긴다.

초안산의 진면목은 울창한 여름보다 낙엽지는 늦가을이 더 좋을 듯하다. 스산함과 함께 숲에 감춰졌던 진짜 모습을 드러내기에 그들을 제대로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안산 문화유적과 관련해 도봉구와 노원구 등에서는 정비계획을 세우고 진행하고 있으나, 둘러보면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도굴이나 도난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일 듯싶다. 서울시, 도봉구, 노원구, 문화재청이 하루빨리 나서야 한다.

초안산 조선시대 분묘군 
주소 노원구 월계동 산 8-3번지, 도봉구 창동 산 202-1번지
각심재 
주소 노원구 월계동 766번지
비석골근린공원 
주소 노원구 월계동 779번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