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백성 상갓집 개보다 못하다’

[일요서울ㅣ정재호 기자] 북한인권국제연대 문국한 대표는 ‘장길수 가족’ 탈북을 주도한 주인공이다. 문 대표는 지난 1999년 문구 사업을 위해 중국에 진출했다가 알게 된 조선족 여성을 통해 길수 가족과 친척을 소개 받았다. 당시 15명이나 되는 길수 가족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탈출했다. 문 대표는 지난 7월28일 일요서울과의 만남에서 “20년째 북한인권운동을 해왔지만 북한의 인권상황과 중국에서 떠돌는 탈북자 인권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지난 2000년 문 대표는 길수 군과 그의 가족이 경험한 북한의 인권실태를 글과 그림으로 알리기 위해 ‘눈물로 그린 무지개’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현재 책은 절판됐다.

-무지개야, 다리를 놓아다오 

그림설명 1 – 어젯밤 꿈속에서 북한의 우리 마을 사람들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가는 비행기를 탔습니다. 대한민국의 아버지, 어머니들이 우리를 한품에 안아주었습니다. [북한인권국제연대]
그림설명 1 – 어젯밤 꿈속에서 북한의 우리 마을 사람들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가는 비행기를 탔습니다. 대한민국의 아버지, 어머니들이 우리를 한품에 안아주었습니다. [북한인권국제연대]

 

이화영 – 이황영 씨는 장길수의 이종사촌이다. 함경남도 단천 출생으로 일가족 다섯 명이 1999년 1월 탈북했다. 이 씨의 글은 장길수가 쓴 ‘눈물로 그린 무지개’에 게재됐다. 이 씨는 책이 출판된 2000년 당시 16세였다. 글을 쓰고 있을 1999년엔 식당으로 일을 다녔던 이 씨의 어머니는 중국 공안에 적발돼 북한으로 강제 송환했다. 이후 이 씨의 어머니는 다시 탈북하여 2001년 한국에 정착했다. 

장길수 - 16세. 함경북도 화대군 출생. 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아버지와 군대에 간 형님을 남겨 둔 채 어머니와 작은형 등 일가족 3명이 탈북, 그 후 두 번에 걸쳐 가족을 구하려고 두만강을 건넜다.

<이화영 편지>
우리 가족이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에 온 지 일 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처음엔 아버지, 어머니, 오빠, 나, 남동생 이렇게 다섯 식구가 살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 온 지 다섯 달 만에 어머니는 중국 공안에 붙잡혀 강제 송환됐다. 
그 후 열흘도 안 되어 오빠와 나도 붙잡혔는데, 나는 비 내리는 밤에 간신히 도망을 쳤지만 오빠는 끝내 함경북도에 강제 송환됐다. 거기서 구사일생으로 도망친 오빠는 먼저 붙잡힌 어머니의 소식을 듣고 구하기 위해 고향에 돌아갔으나 어머니는 안계셨다고 했다. 그 후(중국에서 건너온) 오빠는 어머니를 구원하려고 다시 두만강을 건너갔다. 건너가다가 붙잡힌 오빠는 죽도록 매를 맞고 피도 많이 흘리고 정신을 잃고 쓰러졌다. 오빠는 죽음을 각오하고 도망쳤다. 우리가 살던 고향 땅에도 가보았으나 어머니는 어디에 갇혔는지 죽었는지 살아있는지조차도 알 수 없었다. 
어머니를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나도 팔려갈 뻔했다. 우리도 위험하다. 남은 네 식구 중 언제 누가 또다시 붙잡혀가지 않겠는지 근심이 된다. 다섯 식구가 뿔뿔이 흩어질까 봐 정말 무섭다. 

그림설명 2 – 저녁이면 온 집안 식구가 마주앉아 한국에서 보내오는 방송을 듣습니다. 언제면 우리 탈북자들이 자유 조국의 품에 안기겠는지. [뉴시스]
그림설명 2 – 저녁이면 온 집안 식구가 마주앉아 한국에서 보내오는 방송을 듣습니다. 언제면 우리 탈북자들이 자유 조국의 품에 안기겠는지. [북한인권국제연대]

 

<장길수 일기>
▲ 2000년 1월1일 아침에 일어나 보니 할머니가 오늘 아침 맛있는 음식들을 준비해 놓으셨다. 푸짐한 음식상에 마주 앉고 보니 북한에 계신 아버지가 설날을 혼자서 어떻게 쇠는지 궁금했다. 무엇을 드시고 계실지 하고 계실지 어디로 가셨을지도 궁금했다. 
북한에서 설을 보낼 때면 푸짐한 음식상은 못 차려도 군대 간 형님을 내놓고는 우리 집 식구 네 명이 모두 모여앉아 강냉이밥이라도 배불리 먹으면서 즐겁게 설 하루를 보내곤 했다. 
그러나 오늘 이 자리에는 나 혼자뿐, 식구는 한 명도 없다. 어머니와 형님은 중국에 있으면서도 설날을 같이 못 지내고, 아버지와 큰형님은 북한에 떨어져 있으니 가슴이 아프다. 
설날이 되도 나에겐 기쁜 날이 아니다. 집식구들은 뿔뿔이 흩어졌고 찾아주는 사람도 없고, 찾아갈 곳도 없다. 생각 같아서는 당장이라도 북한에 계신 아버지에게 달려가 설 인사도 하고 괴로움도 나누고 싶다. 아버지와 형님을 여기 중국 땅으로 모시고 와 함께 살았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나 그 생각은 온갖 헛생각이었을 뿐이다. 언제면 통일이 되어서 온 집안 식구가 한데 모여 설을 보낼 수 있고, 함께 재미나게 살 날이 올지 모르겠다. 
▲ 2000년 1월11일 나는 속으로 외삼촌에게 얼마나 감사의 인사를 했는지 모른다. 오늘이 바로 외삼촌이 우리를 지옥 굴에서 구원해 준지 일 년이 되는 날이다. 참 잊을 수 없는 날이다. 죽음도 두려움도 가리지 않고 심한 경계망을 뚫고 두만강을 건너 지금 중국에서 생활하는 내 모습을 바라볼 때면 이게 꿈이 아닌가 싶다. 내가 계속 북한에 있었더라면 굶어죽지 않았으면, 군대에 나가 ‘김정일을 목숨으로 보위하겠다’는 구호를 높이 외치다 허약에 걸려 죽을 것이 뻔한 사실이다. 중국에 왔기 때문에 큰아버지 큰어머니 같은 분들도 만날 수 있었다. 비록 오늘 이렇게 숨어서 살지만 먹는 근심은 면하고 있다. 이것은 다 삼촌이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우리를 구원해 준 덕이라고 생각한다. 언제면 이 은혜 보답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 2000년 1월19일 오늘은 이모부(이동학)의 생일이다. 큰어머니와 할머니 온 집식구와 친척들이 이모부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우리를 보호해주고 있는 이웃집에 모두 모였다. 큰어머니가 돈 100원을 낸 것으로 이것저것 맛있는 음식도 차렸다. 
중국에 와서 처음으로 보내는 이모부의 생일을 큰어머니와 여러 친척들이 같이 보내니 분위기도 좋고 즐거웠다. 그러나 이모부는 잡혀 북한으로 송환된 이모를 그리워하며 북한에 있을 때 이모와 자식들이 부어주는 술을 먹으며 보내는 생일날이 제일 행복했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모부는 술을 들며 오늘 이렇게 생일상을 받는 것만으로도 정말 감사하다고 했다. 이모 없이 보내는 생일날 이모부의 마음이 얼마나 슬플까 하고 생각해 봤다. 이모가 있었더라면 이모부가 얼마나 기뻐하셨을까, 나로서는 이모부의 슬픈 심정을 달래 드릴 길이 없었다. 
▲ 2000년 1월20일 오늘 어머니가 집으로 돌아왔다. 가정 보모로 들어갔지만 북한 사람이라는 것을 안 집주인들이 자기 집에서 일 시키는 것을 꺼려했고, 또 북한 사람이라면 사람으로 안 치고 노임도 안 줄 뿐만 아니라 거지라며 천대하는 꼴이 보기 싫어 나왔다고 했다. 어머니는 어디 가서 아무 일을 하든지 한 달을 채 넘기지 못했다. 혹 어머니가 일 나가시더라도 공안에 붙잡히셨는지, 사고 나지는 않았는지 하고 계속 근심했다. 
‘나라 없는 백성 상갓집 개보다 못하다’는 속담과 같이 살길을 찾아온 북한 사람들의 처지, 가는 곳마다 숨어 살아야 하고, 일자리도 얻지 못해 여기저기에 빌어먹으며 돌아다니다가 잡히면 찍 소리 못하고 북한으로 강제 압송됐다. 어머니가 돌아오셔서 하는 말이 이제 보모 노릇도 못 하겠다고 했다. 북한 사람이 그 집 아이들까지 거지라고 놀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집주인도 어찌나 업신여기는지 겨우 참으셨다고 했다. 나는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두 주먹을 불끈 쥐었다. 
▲ 2000년 1월24일 며칠 동안 어머니가 인력시장에 출근한다. 항상 어머니가 나가시고 나면 나는 근심에 싸여 아무 일도 할 수가 없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어머니가 북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신고하지는 않았는지 공안에 잡히지나 않았는지 나쁜 사람의 손에 걸려 팔려가지나 않았는지 근심이 된다. 이보도 밖에 나갔다가 결국 북한에 강제 송환됐다. 어머니까지 송환되면 정말 믿을 곳이 없다. 정말 어머니가 없으면 북한에 도로 갈 수도 없고 나는 고아가 될 것이다. 날이 어두워지면 어머니가 오기를 기다리며 문소리가 나면 얼른 나가보곤 했다. 어머니가 하루 일을 마치고 저녁에 집에 돌아오면 오늘 돈을 얼마 벌었는가보다 ‘오늘은 무사했습니까’ 하고 물어봤다. 
그러나 일해 벌자고 해도 벌 수 없고, 돈도 제대로 못 받고, 공안만 보면 고양이 앞에 쥐가 됐다. 그들의 옆을 지날 때면 가슴이 조마조마했다. 언제면 우리 탈북자들도 일하면 일한 것만큼 보상을 받고 죄지은 일이 없이는 공안도 무섭지 않게 살날이 올까 싶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