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바이오업계에 거래소 책임론 ‘대두’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 | 신유진 기자] 최근 코오롱티슈진이 상장폐지 결정으로 논란이 되면서 상장폐지 위기를 겪는 신라젠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신라젠은 전직 임원들의 부당 행위와 정·관계 로비 의혹 등으로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두 기업이 상장폐지 위기를 겪으면서 한국거래소에 대한 책임론도 부각되고 있다. 코오롱티슈진과 신라젠 사태에 대해 상장 최종 결정 기관인 거래소에 당연히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다. 이와 함께 주주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선 한국거래소의 감독·관리 강화가 강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일요서울은 핵심이 됐던 두 가지 쟁점을 들여다봤다.

경영진 부당 행위·정관계 로비 의혹까지… 신라젠 수난사

전문가 “중점적으로 관리·적절한 시정조치 마련… 책임져야”

신라젠은 전·현직 경영진들의 부정 거래, 횡령·배임 등 혐의로 위기를 맞았다. 신라젠 전직 임원들이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펙사벡’ 임상 중단 사실을 미리 알고 공시 전 주식을 매도했다는 것이다. 또한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하면서 약 1900억 원 규모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도 받았다.

신라젠 文정부 실세?
정‧관계 로비 의혹 곤욕

신라젠은 이뿐만 아니라 현 정부 실세 연루 의혹 등 추문에 휩싸이면서 구설에 시달렸다. 신라젠은 지난해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의 연관성 의혹에 정치적으로 크게 쟁점이 된 바 있다. 또한 신라젠이 문재인 정부 들어 큰 폭의 주가 상승을 이뤘다는 등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곤욕을 치렀다. 이 같은 의혹은 지난 3월 mbc 보도로 인해 불거졌다.

mbc는 종합편성채널 채널A 기자가 신라젠 전 대주주인 이철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전 대표에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비위를 제보하라”며 강압적으로 취재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채널A 기자가 검찰과 공모해 이 전 대표를 압박하고 유 이사장의 범죄 정보를 얻으려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검·언 유착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당시 언론과 여론에서는 검찰과 언론의 유착으로 떠들어댔다. 그러나 초점은 채널A 기자가 신라젠과 유 이사장의 비리를 왜 그렇게 집요하게 파고들었나로 옮겨졌다. 이후 언론에서는 이 전 대표와 유 이사장의 관계에 주목했다. 이들이 친밀한 관계로 묶여 있으며, 밸류인베스트코리아가 주최한 행사에 유 이사장을 비롯해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 등 몇몇 여권 인사들이 강사로 참여했다는 것이다. 또한 이 전 대표가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모임인 ‘노사모’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유 이사장이 이끌었던 국민참여당에서 활동한 이력도 있었다. 여기서 문제는 밸류인베스트코리아 대표 ‘이철’이 아닌 신라젠 전 대주주 ‘이철’이었다는 점이다. 언론에서는 신라젠의 급성장 배경을 두고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신라젠의 성장 배경에는 밸류인베스트코리아 투자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검찰은 신라젠 성장 배경과 정치권 연루 의혹에 대해 수사에 들어갔다.

10개월간 집중수사를 한 검찰은 지난 6월 신라젠과 유시민‧노무현재단과 관련 ‘의혹 없다’라고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종지부를 찍었다. 검찰은 문은상 신라젠 전 대표 등 신라젠 전‧현직 경영진이 악재성 미공개정보를 이용했다는 것과 정‧관계 로비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 혐의를 인정하기 어렵고 실체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업계 잔혹사
기술특례 상장 문턱 낮춘 결과?

신라젠 사태 등으로 인해 거래소에 대한 책임론도 부상하고 있다. 현재 거래소가 신라젠에 대해 상장 유지에 문제가 없는지를 따져보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거래소가 상장 문턱을 부실하게 잡았다며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 특히 앞서 언급했던 기술특례 상장 제도 도입 후 거래소는 기술특례 상장 문턱을 지속적으로 낮춰 왔다. 거래소가 이번에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를 결정하면서 코오롱 측이 제출한 자료만을 근거로 판단한 식약처와 당시 상장 심사를 했던 거래소 등은 부실 검증을 했다는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라젠과 코오롱티슈진 등의 사건이 연이어 터지면서 거래소 제도 운영과 심사에 대한 불신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상장 검증과 기업 부실화에 대한 관리 감독이 아직까지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금융 전문가들도 거래소 역시 기술특례 상장 제도를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경험이 없고 미숙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상장 진입 문턱을 낮췄으면 낮은 문턱을 통해 들어온 기업들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며 적절한 시정조치를 마련하는 등 책임을 졌어야 했다는 의견이다. 거래소 책임론은 신라젠 개인투자자 모임 ‘신라젠행동주의주주모임’에서도 대두됐다. 주주모임 측은 “모든 책임을 개인 주주들에게 전가하는 일체의 행위에 대해 가용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