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우상호·열린민주 김진애 "후보된다면 단일화"
"야권 단일화 위협적"…열린민주와 합당 물꼬 기대
일부 후보 합의일 뿐…당내 경선 문턱부터 넘어야
정의당 '독자노선' 방침…"단일화? 김칫국 마시나"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이 12일 후보 단일화 합의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뉴시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이 12일 후보 단일화 합의문을 들어보이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4·7 재·보궐선거 일정이 점차 눈앞에 닥쳐오면서 범여권 후보 단일화가 부상하고 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과 열린민주당 후보가 '최종 후보 선출'을 전제로 단일화에 합의했으나, 일부 후보의 합의인 만큼 경선 문턱을 넘는 게 관건이다. 더욱이 정의당 등 진보야당이 독자노선 방침이 확고해 실체를 갖추게 될지는 미지수다.

민주당 우상호, 열린민주당 김진애 의원은 지난 12일 회동을 갖고 "이번 보궐선거는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기약하는 중요한 선거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한다"면서 범여권 후보 단일화 합의를 선언했다.

단, "각 당의 최종 후보가 될 경우"를 전제조건으로 삼았다.

국민의힘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금태섭 전 의원 등 '장외 주자'와의 야권 후보 단일화를 놓고 갑론을박하며 눈길을 끄는 가운데 범여권에서 나온 '깜짝' 단일화 선언인 셈이다.

이는 그만큼 야권 후보 단일화와 더불어 선거 판세가 여권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난 8일 한국갤럽 여론조사(5~7일 사흘 전국 만18세 성인 1001명 대상, 표본오차는95% 신뢰수준 ±3.1%포인트, 응답률 17%)에서 '정권 심판론'은 52%, '정권 수호론'은 37%로 오차범위 밖 격차를 보였다.

우상호 의원은 "야권의 단일화가 성사된다면 실제로 위협적일 것이기에 민주 진보세력의 하나됨도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내에선 범여권 후보 단일화가 열린민주당과의 합당 물꼬를 틀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엿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대체로 당내 의견은 자연스러운 방식이 아닌 인위적 합당은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라며 "좀더 (선거) 과정이 진전되면서 자연스럽게 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그러나 최종 단일화 국면에 들어가기 위해선 각 당의 경선 문턱을 넘어야 한다. 우상호 의원은 조만간 개각 후 출마가 유력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김진애 의원은 정봉주 전 의원과 각각 경선에서 맞붙게 된다.

경선 과정에서 후보 단일화에 대해 의견을 모을 수도 있지만, 독자 완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권수정 정의당 서울시의원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서울시장 출마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권수정 정의당 서울시의원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서울시장 출마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의당까지 포괄하는 범진보진영 단일화는 더 난관이다. 정의당은 오는 21일부터 경선 후보 등록을 받은 뒤 내달 5일 재보선 후보를 선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권수정 서울시의원이 지난 11일 "서울시 최초의 성평등 시장, 최초의 노동자 서울시장이 되겠다. 40대 젊은 시장이 역동적인 서울을 만들겠다"면서 출사표를 던졌다.

더욱이 양대 광역단체장 보궐선거가 박원순·오거돈 등 민주당 광역단체장의 성추문 귀책으로 초래된 만큼 여당과의 후보 단일화는 논외라는 것이 정의당의 입장이다. 정의당은 민주당이 지난해 11월 무(無)공천 당헌 개정을 전당원 투표에 부치자 이를 맹렬하게 성토한 바 있다.

정의당 관계자는 뉴시스에 "우리는 진보정당으로서 서울과 부산 선거에 정책과 비전으로 뚜벅뚜벅 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민주당은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안 하는데 김칫국을 마시는 것 같다"고 일축했다.

정의당은 나아가 보선 선거전략에 '기득권 양당 심판'을 명문화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의외의 유탄을 맞게 된 것은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으로 보인다. 열린민주당에서 정봉주 전 의원이 선출되거나 범여권 후보 단일화로 김진애 의원이 중도 하차할 경우 김 의원의 의원직 사퇴 이유가 사라지면서 자연히 비례대표 승계도 물 건너가기 때문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